• 제목/요약/키워드: gastric cells

검색결과 760건 처리시간 0.036초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과 Leuconostoc mesenteroides의 프로바이오틱 효과 (Probiotic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Isolated from Kimchi)

  • 이경희;봉연주;이현아;김희영;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2-1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김치에서 분리한 우점유산균인 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352P(LPpnu)와 Leuconostoc mesenteroides KCCM 11353P(LMpnu)의 프로바이오틱 효과를 프로바이오틱 효과가 높기로 잘 알려진 Lactobacillus rhamnosus GG(LRgg)의 효능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LPpnu는 Lab. rhamnosus GG(LRgg)보다 프로바이오틱 효과가 더 뛰어났으며, LMpnu 또한 LRgg와 거의 유사한 수준의 효능을 나타냈다. LPpnu와 LMpnu는 모두 내산, 내담즙성, 장 부착능, 열 안정성의 프로바이오틱의 기본 특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LPpnu는 가장 높은 프로바이오틱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LMpnu 및 LRgg와 비교했을 때 LPpnu는 DPPH radical과 hydroxyl radical 소거능 측정에서 더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고, Bcl-2 유전자 발현억제와 Bax 유전자 발현 증가를 통해 apoptosis를 유도함으로써 HT-29 human colon cancer cell에서 높은 암세포 성장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김치유래 LPpnu와 LMpnu는 프로바이오틱으로서 이용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되며, 특히 LPpnu는 항산화 및 항암 활성에 뛰어난 효능을 나타내었기에 중요한 프로바이오틱 균주라고 하겠다.

송이(Tricholoma matsutake)의 자실체에서 추출한 조다당류가 생쥐의 Sarcoma 180에 미치는 항암 및 면역증강 작용 (Antitumor and Immuno-potentiating Activity against Mouse Sarcoma 180 by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Fruiting Body of Tricholoma matsutake)

  • 허현;최연일;이태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9호
    • /
    • pp.1290-1298
    • /
    • 2008
  • 송이는 담자균문, 주름버섯목, 송이과에 속하며 맛이 좋은 식용 버섯으로 예로부터 사람의 위궤양이나 위암의 치료효과는 물론 생쥐의 Sarcoma 180과 Ehrlich Sarcoma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송이의 자실체로부터 중성염용액, 열수 및 메탄올을 이용하여 조다당류를 추출하고 ICR mice에 주사하여 항암 및 면역증강 효과를 조사하였다. NIH3T3, Sarcoma 180, HepG2, HT-29 등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을 조사한 결과 각각의 암세포는 2 mg/ml의 조다당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Sarcoma 180이 접종된 ICR mouse에 자실체에서 추출한 각각의 조다당류를 투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평균수명이 각각 23.4$\sim$37.2% 연장되었다. 메탄올과 열수로 추출한 조다당류를 0.2$\sim$0.5 mg/ml의 농도로 투여한 실험군 생쥐의 B 임파구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각각 2.17$\sim$11.9배의 증가하였다. 중성염추출 조다당류를 50 mg/kg body weight의 농도로 투여한 생쥐의 총 복강 세포 수와 백혈구의 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6배와 1.5배 증가하였다. 따라서 송이의 자실체에서 추출한 조다당류는 생쥐의 Sarcoma 180에 대해 항암작용 및 면역증강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식품용 프로바이오틱 비스루트균의 주요 생균제 특성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for Oral Bacteriotherapy of Gastrointestinal Disorders)

  • 백현동;정민용;정황영;김원석;김기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3-7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식품용 프로바이토틱 생균인 비스루트균의 인공위액과 인공담즙산에 대한 내성, 효소활성, 항생물질과 알콜에 대한 내성, 그리고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기작 등 주요 생균제 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인공위액 내성 실험에서는 pH 2.5로 조성된 인공위액을 통과한 생존율이 매우 높았으며 균수가 $2.4{\times}10^7\;CFU/mL$의 수준이었다. 인공담즙산에 대한 내성에서는 pH 2.5의 인공위액을 통과한 비스루트균의 인공담즙산의 내성은 oxgall이 함유되지 않은 대조구$(1.6{\times}10^7\;CFU/mL)$에 비해 오히려 균수가 증가되었으며, 최종적인 생존수가 $3.3{\times}10^7\;CFU/mL$ 으로 확인됨으로써 프로바이오틱 생균으로 매우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효소활성을 측정한 결과, 비스루트균은 발암효소인 ${\beta}-glucuronidase$${\beta}-glucosidase$ 의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항생물질에 대한 내성은 rifamycin $10\;{\mu}g/mL$ 이상의 농도에 대해서는 생육 저해를 보였으나, $nisin(100\;{\mu}g/mL)$, $streptomycin(20\;{\mu}g/mL)$, $tetracycline(20\;{\mu}g/mL)$에 대해 내성을 보였다. 그리고 비스루트균의 알콜에 대한 내성은 4%의 농도에서 저해를 받았으며, 8%의 농도에서 더욱 저해를 받으나, $8{\sim}32%$ 범위의 농도에서는 균수가 더욱 크게 감소를 하지는 않았다. Listeria에 대한 향균기작을 측정한 결과, 24시간이내에 L. monocytogenes ATCC 19111을 완전히 저해를 하였으며, bactericidal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비스루트균의 프로바이오틱 특성은 기능성 식품의 개발 등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초기 생활사 동안 생존율 향상을 위한 생물학적 연구 - III. 성체 소화관의 미세구조 (Biological Study on the Increment of Survival Rate during Early Life Cycle in the Rockfish, Sebastes schlegeli(Teleostei: Scorpaenidae) - III. Ultrastructure of the Adult Digestive Tract)

  • 진평;이정식;신윤경;김학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5-127
    • /
    • 1998
  • 조피볼락의 소화관은 인두, 식도, 위, 장, 항문 그리고 10~11개의 유문수로 이루어져 있다. 유문수는 위의 유문부 말단에서 유래하며 바나나 형태의 맹낭을 형성하고 있다. 어체 체장에 대한 식도에서 항문까지의 소화관 길이의 비 (relative length of gut: RLG)는 1.56(n=10)이다. 식도의 근육층은 바깥쪽의 앓은 종주근층과 안쪽의 두꺼운 환상근층으로 구성된다. 점막상피층은 정단부에 짧은 미세융모를 가진 원주상피로 구성되며, 다수의 점액분비세포들을 가진다. 위의 점막주름은 규칙적으로 배열되었으며, 근육층은 종주근, 사주근, 환상근층으로 구성된다. 위선의 주세포는 관상의 미토콘드리아와 소포체 그리고 전자밀도가 높은 다수의 분비과립을 가지지만, 부세포는 소형의 미토콘드리아와 소포체 그리고 전자밀도가 낮은 액포를 가진다. 유문수와 장의 점막상피층은 주로 원주상피세포, rodlet cell 그리고 dark cell로 구성된다. 흡수기능을 가진 원주세포들은 발달된 미토콘드리아, 소포체,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상 물질, 음작용포 그리고 다포체를 가진다. Rodlet cell은 발달된 cytoplasmic capsule을 가지며 세포질에는 소포체가 잘 발달되어 있다. Dark cell의 세포질에는 전자밀도가 높고, 미토콘드리아들이 잘 발달되어 있다. 원주상피세포는 세포연접이 발달되어 있고, 상부에는 미세융모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미세융모의 내부에서는 세포질에서부터 시작된 actin filament를 관찰할 수 있다. 장 상피의 미세융모는 유문수의 미세융모 보다 길며, 배상세포의 수도 정상피에 더 많다.

  • PDF

Roles of E-Cadherin (CDH1) Genetic Variations in Cancer Risk: a Meta-analysis

  • Deng, Qi-Wen;He, Bang-Shun;Pan, Yu-Qin;Sun, Hui-Ling;Xu, Ye-Qiong;Gao, Tian-Yi;Li, Rui;Song, Guo-Qi;Wang, Shu-Ku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8호
    • /
    • pp.3705-3713
    • /
    • 2014
  • E-Cadherin (CDH1) genetic variations may be involved in invasion and metastasis of various cancers by altering gen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epithelial cells. However, published studies on the association of CDH1 gene polymorphisms and cancer risk remain contradictory, owing to differences in living habits and genetic backgrounds. To derive a more better and comprehensive conclusion, the present meta-analysis was performed including 57 eligible studies of the association between polymorphisms of CDH1 gene promoter -160 C>A, -347 G>GA and 3'-UTR +54 C>T and cancer risk. Results showed that these three polymorphisms of CDH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ncer risk. For -160 C>A polymorphism, -160A allele carriers (CA and CA+AA) had an increased risk of cancer compared with the homozygotes (CC), and the similar result was discovered for the -160A allele in the overall analyses. In the subgroup analyses, obvious elevated risk was found with -160A allele carriers (AA, CA, CA+AA and A allele) for prostate cancer, while a decreased colorectal cancer risk was shown with the AA genotype. For the -347 G>GA polymorphism, the GAGA genotype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cancer risk in the overall analysis with homozygous and recessive models. In addition, results of subgroup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levated risks were observed in colorectal cancer and Asian descendants. For +54 C>T polymorphism, a decreased risk of cancer was found in heterozygous, dominant and allele models. Moreover, +54T allele carriers (CT, CT+TT genotype and T allele) showed a potential protective factor in gastric cancer and Asian descendants.

관상동맥우회 이식편으로서의 우위대망동맥의 조직학적 특징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ght Gastroepiploic Artery fo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 이현우;송현;유동곤;임한중;이재원;송명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0호
    • /
    • pp.883-890
    • /
    • 1999
  • Long term patency of arterial graft has been better than venous graft and redo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has been increasing, therefore,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need for alternative arterial grafts except internal thoracic artery(ITA). Material and Method: Right gastroepiploic arteries(RGEA) were harvested from 100 patients who had received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or ulcer. ITAs were obtained from 10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The length of RGEA was measured from the pyloric ring. Items of the morphometric and histologic study at the pyloric ring and sites of the 10cm and 20cm RGEA from the pyloric ring were luminal diameter, intimal thickness, medial thickness, wall thickness, degree of intimal hyperplasia, intimal thickness, medial thickness, wall thickness, degree of intimal hyperplasia, intimal thickness index, medial thickness index, and the number of discontinuities of the internal elastic lamina. Similar items were applied to the proximal site of ITAs. Result: The length of RGEA was 23${\pm}$2.7cm(range 17∼31cm). Comparing the 20cm RGEA with ITA, intimal thickness, medial thickness, wall thickness, and degree of intimal hyperplasia did not show any difference(p>0.05). However, 20cm RGEA was greater than ITA at the luminal diameter, intimal thickness index, and the number thickness and wall thickness in each site of the RGEA(pyloric ring, 10cm, 20cm) decreased from the pyloric ring to the distal sites(p<0.05). The degree of intimal hyperplasia and the number of discontinuities of the internal elastic lamina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the pyloric ring and 10cm, however, those of 20cm were smaller than these sites(p<0.05). RGEA had more number of discontinuities of the internal elastic lamina and rich smooth muscle cells in the media than ITA. Conclusion: The length and diameter of RGEA is good enough to reach most of the coronary arteries. Moreover, long term patency of RGEA may be improved, if anastomosed in the distal site.

  • PDF

국내산 및 수입산 참돔의 중금속 함량 및 항산화 활성과 세포독성 효과 비교 (Heavy Meta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 Effect of Red Sea Bream (Pagrus major): Comparative Studies in Domestic and Imported Red Sea Bream (Pagrus major))

  • 황성연;배진한;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50-45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주로 소비되는 국내산 및 수입산 참돔의 일반성분과 중금속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고 생리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참돔을 용매의 극성에 따라 추출하여 항산화 및 세포독성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수입산과 비교했을 때 국내산 참돔은 높은 함량의 수분과 낮은 함량의 조지방, 조단백질 및 회분을 나타내었다. 국내산 및 수입산 참돔의 중금속 함량을 비교한 결과 원산지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며 국내산 참돔의 수은 함량은 0.08 mg/kg으로 수입산 참돔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납의 경우 원산지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국내산 및 수입산 참돔의 A+M 및 MeOH 추출물을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에 처리하였을 때,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 저해효과를 살펴 본 실험 결과, 국내산 및 수입산 참돔 추출물들에 의한 활성산소종 생성 억제효과를 비교해 보면 수입산 참돔 추출물에 의한 저해효과가 높았으며 두 추출물들 중 MeOH 추출물에 의한 저해효과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인체 암세포들(AGS 및 HT-29)들에 대한 세포독성 활성 결과에서 AGS 암세포의 경우 국내산 참돔 A+M 및 MeOH 추출물들에 의한 세포독성 효과가 수입산 참돔A+M 추출물들보다 높았다. HT-29 암세포에 대해서는 국내산 참돔A+M 추출물에 의한 세포독성 효과가 수입산 참돔 A+M 추출물에 의한 것보다 높았고 MeOH 추출물에 의한 세포독성 효과는 유사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기초자료로 하여 향후 참돔의 다양한 생리활성 규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araquat에 의한 백서의 폐섬유화증에서 비선택적 Endothelin-1 receptor blocker($Bosentan^{(R)}$)의 치료효과 (The Effect of Nonspecific Endothelin-1 Receptor Blocker ($Bosentan^{(R)}$) on Paraquat Induced Pulmonary Fibrosis in Rat)

  • 정혜철;정기환;김병규;이승헌;김민경;김정열;박상면;이신형;신철;조재연;심재정;인광호;김한겸;유세화;강경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2호
    • /
    • pp.182-195
    • /
    • 2001
  • 연구배경 : IPF에 의한 유병률과 사망률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나 좋은 치료는 없는 상태이다. 폐 섬유화 과정에서 TGF-${\beta}_1$, TNF-$\alpha$, ET-1, IFN-$\gamma$등의 사이토카인이 중요한 역할을 함이 알려져 있다. 본 실험은 파라콰트를 기관지 내로 주입하여 섬유화가 유발되는 과정의 백서의 폐 조직 내에서 ET-1과 TGF-${\beta}_1$의 발현을 살펴보고, 또한 비선택적 ET-1 receptor blocker인 Bosentan이 폐 섬유화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웅성 7-8 주령의 백서 120 마리를 세 그룹으로 나누고 제 1그룹은 대조군으로 하여 기관지 내로 생리 식염수를 투여하였고, 제2그룹은 파라콰트를 투여하였으며, 제3그룹은 첫날 파라콰트를 투여한 후 매일 gastric gavage 방법으로 보센탄을 투여하였다. 파라콰트 혹은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지 1, 3, 5, 7, 10, 14일째 각각 세 그룹의 일정 수를 희생하여 폐의 병리조직을 보고 면역세포화학염색으로 ET-1과 TGF-${\beta}_1$의 발현 율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폐 섬유화의 정도는 H&E 염색과 Masson trichrome 염색을 하여 컴퓨터 영상분석을 시행하였고, 면역세포화학염색은 염색정도에 따라 반정량화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파라콰트를 투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콜라겐의 침착이 실험 3일째부터 현저히 증가하였고, ET-1과 TGF-${\beta}_1$의 발현이 주로 실험 초기에 증가하였다. 그러나 보센탄을 투여한 경우 콜라겐이 침착된 양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고 파라콰트군과 비교해서 ET-1과 TGF-${\beta}_1$의 발현에 뚜렷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파라콰트를 투여한 경우 폐 섬유화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ET-1과 TGF-${\beta}_1$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ET-1 에 대한 receptor blocker인 보센탄이 폐 섬유화를 막지는 못하였다. 파라콰트에 의한 폐 섬유화에 ET-1이 연관성이 있으나 그 역할에 대해서는 추후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배추김치의 표준화 연구 (Studies on the Standardiza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

  • 조은주;이선미;이숙희;박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24-332
    • /
    • 1998
  • 배추김치의 표준화를 위하여 조리서 및 관련 연구 논문과 김치공장에서의 담금방법과 재료배합비의 표준값을 구하여 표준화김치로 선정하고 뚜렷한 차이가 있었던 고춧가루의 첨가농도는 관능검사 및 이화학적 실험과 항돌연변이 효과와 in vitro 항암 기능성을 검토하여 결정하였다. 배추김치 담금시 사용빈도가 50% 이상인 부재료는 무, 파였으며, 양념류로는 고춧가루, 마늘, 생강, 젓갈, 설탕으로 나타났다. 또 재료배합비는 절인배추 100에 대해 무 $13.0{\pm}7.0$, 파 $2.0{\pm}0.5$, 마늘 $1.4{\pm}0.4$, 생강 $0.6{\pm}0.3$, 멸치액젓 $2.2{\pm}1.6$, 설탕 $1.0{\pm}0.3$, 최종염도 $2.7{\pm}0.3$로 결정되었으며, 고춧가루의 배합비는 차이를 보여 $2.5{\pm}0.3$$3.5{\pm}0.8$로 나타났다. $15^{\circ}C$에서 0, 2, 4, 6, 8, 10일간 김치를 발효시키면서 관능검사및 이화학적 실험을 실시한 결과 발효 기간은 4일이 가장 적당히 익은 상태였다. 고춧가루의 배합비는 3.5%인 경우가 2.5%인 경우에 비해 관능적으로 우수하였고, pH가 서서히 감소되어 보존성도 있었으며, 김치의 맛에 관여하는 젖산균인 Leuconostoc속 젖산균수도 높게 나타났다. 특히 선정된 표준화 배추 김치 즙액은 $AFB_1$에 대한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보였고, SRB assay에서는 AGS 인체 위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는데 고춧가루의 배합비는 3.5%인 경우가 2.5%인 경우에 비해 항돌연변이 및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가 더 뛰어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표준화 배추김치의 재료 및 배합비는 배추 100에 대해 고춧가루 3.5, 무 13.0, 파 2.0, 마늘 1.4, 생강 0.6, 멸치 액젓 2.2, 설탕 1.0, 최종염도 2.7로 결정되었다. 배추김치의 담금방법은 배추를 10% 소금물에서 10시간 절이고, 물기를 뺀 후, 무, 파는 채 썰어 고춧가루 갠 것을 넣은 다음, 멸치액젓을 넣고, 마늘, 생강, 설탕을 섞은 후 고루 버무린다.

  • PDF

제주산 블루베리와 상동열매의 일반성분, 항산화 및 항증식 활성 비교 (Comparison of proximate compositions,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between blueberry and Sageretia thea (Osbeck) M.C.Johnst fruit produced in Jeju Island)

  • 고경아;고소예;류지연;김소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2호
    • /
    • pp.161-17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블루베리의 형태 및 풍미와 유사한 상동열매의 일반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열량, 조단백, 조회분, 탄수화물 및 유리당은 상동열매가 블루베리에 비해 더 높았으며 수분은 블루베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동열매의 주요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및 maltose로 나타난 반면, 블루베리에서는 maltose가 검출되지 않았다. 상동열매와 블루베리를 각각 80% 메탄올로 추출한 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층으로 용매 분획하여 이들의 폴리페놀 및 안토시아닌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상동열매 메탄올 추출물이 블루베리 메탄올 추출보다 폴리페놀 함량과 안토시아닌 함량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아울러 DPPH, alkyl,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또한 더 우수하였다. 용매 분획물들을 대상으로 항산화 효능을 비교했을 때, 상동열매와 블루베리 모두 폴리페놀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DPPH와 alkyl radical 소거 활성이 가장 우수했으며,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은 부탄올 분획물의 ABTS radical 소거 활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특히, 안토시아닌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상동열매 부탄올 분획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블루베리 부탄올 분획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상동열매와 블루베리 메탄올 추출물은 피부세포에서의 $H_2O_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냈으며, 블루베리와 비교하여 상동열매에서 그 효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동열매와 블루베리의 헥산 분획물과 클로로포름 분획물이 위암(AGS)와 유방암(MDA-MB-231)세포에 대한 증식억제 활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초로 상동열매와 블루베리의 일반성분,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비교하였으며, 상동열매가 블루베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의 폴리페놀과 안토시아닌을 함유할 뿐만 아니라 블루베리보다 우수하거나 그에 필적한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나타내고 있어, 항산화 식품 및 천연 항산화 소재 로서의 활용가치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