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lic mustard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2초

상업적인 pickle product와 ingredient의 oxidant와 antioxidant로서의 역할 (Oxidants and Antioxidants Associated with Commercial Pickle Products and Ingredients)

  • 장미진;조일영;주현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5호
    • /
    • pp.408-413
    • /
    • 1995
  • Pickle성분이 linolenic acid의 산화효소인 lipoxygenase와 methemoglobin (nonenzymatic oxidant)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외, 피클 성분중 건조 양념내의 lipoxygenase, peroxidase와 catalase 활성도 조사하였다. 시중에 판매중인 일부 pickle brine은 lipoxygenase와 methemoglobin에 의한 linolenic acid의 산화를 억제하였다. Dill oil emulsion, 양파 농축액 (onion concentrate), oil cassia, polysorbate 80, turmeric acid와 같은 피클 성분들은 lipoxygenase와 methemoglobin에 의한 산화를 감소시켰다. Lipoxygenase의 활성은 garlic, mustard seed, red pepper에서 발견되었다. Peroxidase의 활성은 mustard seed에서만 존재하였으며, gall black pepper, allspice와 red pepper에서는 catalase의 활성이 있었다.

  • PDF

향신료 첨가에 의한 닭고기 분쇄육에서의 미생물 증식 억제 효과 (Effects of Spice Addition on the Inhibition of Bacterial Growth in Ground Chicken Meat)

  • 정세윤;김용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9-25
    • /
    • 2023
  • 비가열 닭고기 분쇄육의 제조 시 향신료의 첨가에 의한 세균의 증식 억제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닭가슴살 분쇄육의 일반성분은 수분 72.98±0.15%, 조단백질 23.37±0.46%, 조지방 1.00±0.03%, 조회분 1.90±0.03%였다. 향신료 첨가에 의한 미생물 증식 억제 효과는 로즈마리 > 마늘 > 겨자 순이었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억제 효과가 커졌다. 닭고기 분쇄육의 일반세균 및 대장균 증식 억제를 나타내는 향신료의 최적 첨가 농도는 로즈마리 2%, 마늘 4%, 겨자 1.2%였다. 일반세균 및 대장균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는 단독 및 혼합 첨가 시 저장기간 동안 기간별로 차이가 있었고, 저장 9일째 억제 효과는 MixA(97.4%) > 로즈마리(96.9%) > MixB(96.3%) > 마늘(53.7%) > 겨자(33.3%) 순이었다. 닭고기 분쇄육에 살균마늘과 비살균마늘을 첨가하여 비교했을 때 일반세균 수는 살균마늘 처리구가 비살균마늘 처리구에 비해 초기 2.6-3.0 log CFU/g, 9일째 2.4-3.2 log CFU/g 정도 낮았고,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그 수가 감소하였다. 비살균마늘 처리구는 대조구보다 높은 일반세균 수를 나타냈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대장균 수의 경우 살균마늘 처리구가 비살균마늘 처리구에 비해 저장 0일째 0.4-1.0 log CFU/g, 9일째 0.5-1.5 log CFU/g 정도 낮았으며,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는 일반세균 수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로즈마리, 마늘, 겨자의 다양한 혼합적용에 의해 닭고기 분쇄육 제품의 미생물적 안전성이 향상되었다.

저식염 된장의 숙성 중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ow-Salt Doenjang during Fermentation)

  • 이슬;김동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592-599
    • /
    • 2012
  • 된장의 소금농도를 10%에서 6%로 줄이고 알코올 또는 겨자, 마늘을 단독 또는 혼합 첨가한 저식염 된장의 숙성 중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된장의 amylase 활성은 숙성 2-4주에 높았으며 겨자 첨가 된장이 숙성 후기에 낮은 활성을 보였다. 메주 된장이 koji 된장에 비하여 효소 활성이 낮았으며, protease는 중성보다 산성 protease 활성이 높았다. 된장의 효모수는 겨자나 알코올, 마늘의 첨가로 현저하게 줄었으나 세균수는 겨자 첨가구에서 숙성 후기에 조금 적었다. 산화환원전위는 겨자 또는 겨자-마늘 첨가 된장에서 숙성 후기에 낮았으며, 수분활성도의 저하는 알코올 첨가구에서 심하였다. 알코올 첨가 된장이 숙성 중에 L-과 b-값이 저하가 심하였고 메주 된장은 L-값이 낮았고 a-값이 높았다. 된장의 pH는 겨자 또는 마늘 첨가구에서 낮았고 적정산도의 증가가 심하였으나, 알코올의 첨가로 적정산도와 산가는 적었다. 된장의 환원당은 알코올-마늘과 겨자-마늘 혼합 첨가구에서 높았으며, 알코올의 생성은 겨자의 첨가로 억제되었다. 된장의 아미노산성 질소는 마늘과 겨자 첨가구에서 높았으며 암모니아성 질소의 생성은 겨자 첨가구에서 낮았다. 8주 숙성시킨 된장의 맛과 종합적인 기호도는 알코올과 알코올-마늘 첨가 된장이 양호하여 저식염 된장의 제조는 소금의 일부를 알코올 또는 마늘로 대체하거나 이를 혼합하여 첨가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Crust topping 양등심 스테이크 관능적 품질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ensory Quality Features of Lamb Fillet Steaks with Crust Topping)

  • 서민석;유승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95-306
    • /
    • 2011
  • 본 연구는 4 종류{Mustard, herb & garlic, nuts, mushroom)의 crust를 제조하여 양등심 스테이크 위에 topping, 조리를 완성한 다음 관능검사를 실시 우수 시료를 선별하는 예비 실험을 하였다. 선별된 시료들을 1. Blank, 2. EC1(MU3), 3. EC2(HG2), 4. EC3(NC2), 5. EC4(MC3)로 명명한 다음, 다시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어떠한 재료로 만든 crust가 가장 우수한 선호도를 가졌는지를 찾았다. 종속변수를 종합해 보면 crust를 topping한 4종류 시료가 대조군 Blank 보다 매우 우수한 수치를 나타내어 양등심 스테이크 요리에 crust가 곁들여지는 방법이 매우 효과적임을 말해준다. 그 중에서도 parsley 8g, rosemary 3g, basil 4g, olive oil 50g을 기본 함량으로 하여 빵가루 70% (115.5g)와 마늘 찹 30%(49.5.)를 함께 mixed 하여 제조 한 HG2의 시료가 최우수 crust로 평가 되었다.

  • PDF

저장조건에 따른 전통고추장의 성분 특성 변화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 김동한;이정성;이상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66-471
    • /
    • 2002
  • 고추장의 저장성 향상을 목적으로 숙성이 완료된 고추장에 마늘이나 알콜, 키토산, K-sorbate, 겨자를 첨가하거나 저온살균 처리를 하여 포장하고 $30^{\circ}C$에서 24주간 저장하면서 화학성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고추장의 pH는 저장 중에 저하하였고 적정산도는 저장 8주 이후에 감소하나 겨자와 마늘 첨가구에서 높았다. 환원당은 저장 $16{\sim}20$주에 증가하여 K-sorbate와 알콜 첨가구에서 높았고, 알콜의 증가는 대조구와 키토산 첨가구에서 심하였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알콜이나 마늘, K-sorbate, 겨자 첨가구에서 낮았다. 유리 아미노산은 저장 중에 증가하였고 저온 살균구와 마늘, 알콜 첨가구에서 많았다. $30^{\circ}C$에서 24주 저장한 고추장의 관능치는 유의성은 없으나 맛은 K-sorbate와 마늘, 겨자 첨가구, 색은 저온 살균구와 K-sorbate, 알콜 첨가구, 향기는 마늘과 키토산 첨가 고추장이 우수하여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K-sorbate와 마늘, 알콜 첨가 고추장이 좋았다.

생태계교란식물 마늘냉이의 확산과 분포 특성 (Spread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ecosystem-disturbing plant Alliaria petiolata(M. Bieb.) Cavara & Grande in Korea)

  • 이연지;홍보람;이규송
    • 환경생물
    • /
    • 제42권1호
    • /
    • pp.62-79
    • /
    • 2024
  • 마늘냉이(Alliaria petiolata)는 미국과 캐나다를 황폐화 시킨 종으로, 생태계 파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마늘냉이의 국내분포를 확인하였고, 국내에서 가장 큰 개체군이 정착한 삼척지역에서 정밀 분포 현황을 파악하여 정밀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삼척지역의 개체군을 대상으로 생육환경, 생활사 및 개체군 동태를 파악하였다. 마늘냉이는 삼척시에서 총 301지소에서 출현하였고 총 분포면적은 2,957 m2이었다. 일년생 개체는 4월 중순에 발아하여 로제트형태로 월동한 뒤 다음 해 4월 10일부터 24일까지는 영양생장을, 4월 24일부터 5월 7일까지 개화하였다. 종자를 맺은 개체들은 6월부터 사멸하기 시작하였다. 일년생과 이년생의 개체 수는 모두 4월 27일(118일) 전후를 기준으로 증가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마늘냉이는 초봄 시기에 빛 조건이 양호하고, 낙엽층은 덜 발달하며, 길로부터의 거리가 짧고, 해발고도가 낮은 사면 중하부의 낙엽활엽수림과 숲 가장자리를 선호하였다. 삼척지역에서 적절한 제어조치가 행해지지 않는다면 갈야산 일대의 등산로를 따라서 낙엽활엽수림을 중심으로 확산이 더욱 빠르게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특히, 임상에 빛이 적은 소나무군락보다 개화기에 빛이 임상에 들어오는 참나무군락으로 확장할 가능성이 클 수 있다.

청갓과 청갓김치의 핵산관련물질의 동정 및 함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dentification and Composition of Nucleosides from Mustard Leaf and Mustard Leaf Kimchi)

  • 김재이;최재수;김우성;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96-801
    • /
    • 2000
  • Kimchi is the Korean traditional food which is fermented properly from salted Korean cabbage of raddish with other various supplements. Kimchi therefore can be the major sources for various kinds of nutrients and other biological substances. The fermentation process accompanies with complicated reaction mechanism which bacteria, fungi and yeast are involved and they produced aroma, taste and bioactive components. To identify nucleosid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freeze-dried mustard leaf, mustard leaf kimchi and fermented mustard leaf kimchi. Hexane, CH$_2$Cl$_2$, EtOAc and BuOH was used in order to extract their components. The isolated compounds I and II from mustard leaf and mustard leaf kimchi were identified as adenosine and uracil using UV, $^{1}H$-NMR, $^{13}C$-NMR and LC-MS, respectively. Compound I, II and nucleosides are the first report of its occurrence from mustard leaf and their kimchi, the standardized ratios of ingredients for kimchi were 10 of anchovy juice, 8 of red pepper powder, 3 of garlic, 1.5 of ginger, 6 of paste of glutinous rice. The nucleoside of mustard leaf and their kimchi was determined and compared. The order of nucleosides contents of mustard leaf was uridine>cytosine>uracil>adenine>guanosine>guanin, that of fresh mustard leaf kimchi was uridine>uracil>cytosine>guanine>adenosine>adenin>guanosine and that of fermented mustard leaf kimchi (5days at 15$^{\circ}C$) was guanine>adenine>adenosine>guanosine. The differences of nucleoside contents from those were due to various supplements and fermentation process.

  • PDF

한국인 남자대학생의 주요 상용식품의 불용성 및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 분석 (Analysis of Insoluble(IDF) and Soluble Dietary Fiber(SDF) Content of Koran Male College Students)

  • 황선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3호
    • /
    • pp.278-285
    • /
    • 1996
  • Contents of insoluble(IDF), soluble dietary fiber (SDF), and total dietary fiber(TDF) of 30 foods which are consumed commonly by 80 Koeran male college students were determined by Prosky and colleagues' enzymatic-gravimentric method. Foods with highest intake frequency were rice, Kimch'i, and red pepper powder. TDF, IDF, and SDF contents of rice were 0.96, 0.59 and 0.37g/100g wet wt., respectively and tose of Kimch'i were 3.07, 2.19 and 0.88g/100g wet wt., respectively. Red pepper powder contained high amount of TDF(39.37) and IDF (33.13g/100g wet wt.). The TDF content of the 30 foods ranged from 0.70 to 39.37g/100g wet wt. Red pepper (39.37), dried laver(31.36), and dried sea mustard (37.77g/100g wet wt.) contained high amounts of TDF. The IDF content of the 30 foods ranged from 0.13 to 33.13g/100g wet wt. Red pepper powder (33.13), dried laver(15.55) and sesame(15.43g/100g wet wt.) contained high amounts of IDF. SDF of the 30 foods ranged from 0.01 to 25.66g/100g wet wt. Dried sea mustard(25.66), dried laver(15.81), coffee powder (13.17), and garlic(8.72g/100g wet wt.) were good sources of SDF. % ratio of SDF to TDF of the 30 foods was lower than 50% except soybean curd(94.27%), coffee powder (88.93%), garlic(86.17%), dried sea mustard(67.94%), and dried laver(50.41%). It is recommended to increase intake of seaweeds in order to supply TDF adn SDF properly.

  • PDF

항균물질을 첨가한 저식염 된장의 저장성 (Effects of Anti-Microbial Materials on Storages of Low Salted Doenjang)

  • 김정례;김연경;김동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864-1871
    • /
    • 2013
  • 된장에 알코올 또는 겨자, 마늘을 단독 또는 혼합 첨가하고 식염농도를 6%로 줄인 저식염 된장의 저장중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된장의 amylase 활성은 저장 중에 서서히 저하되었으나 protease의 활성은 저장 4주 이후에 감소되었다. 된장의 효모수는 겨자나 알코올의 첨가로 저장 중에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세균수의 차이는 없었다. 된장의 산화 환원전위는 저장 8~12주까지 증가하였으며, 수분활성도의 저하는 식염 10%인 대조구와 메주된장에서 심하였다. 된장은 저장중 L-과 b-값이 서서히 저하되었고 a-값은 증가하였으며, 마늘의 첨가로 저장 중에 색도의 변화가 적었다. 저식염 된장에 알코올이나 겨자의 첨가로 저장 중에 가스발생은 억제되었으며, 된장 저장중 pH는 알코올 첨가구에서 높아 적정산도가 낮았다. 된장의 산가는 저식염 된장에서 높았으나 알코올-마늘 혼합 첨가구에서 낮았다. 항균물질의 첨가로 된장 저장중의 환원당은 높았으나 알코올은 겨자 첨가구에서 감소가 심하였다. 아미노산성 질소는 알코올 첨가구에서 감소가 심하였고 암모니아성 질소는 알코올과 겨자 첨가구에서 낮았다. 16주 저장시킨 된장의 맛과 향기, 종합적인 기호도는 알코올 또는 마늘을 첨가한 저식염 된장이 양호하였다.

저장조건에 따른 전통고추장의 미생물 및 이화학적 특성 변화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Micro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 김동한;권영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89-595
    • /
    • 2001
  • 고추장의 저장성 향상을 목적으로 숙성이 완료된 고추장에 마늘이나 알콜, 키토산, K-sorbate, 겨자를 첨가하거나 저온살균 처리를 하여 포장하고 $30^{\circ}C$에서 24주간 저장하면서 미생물과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수분활성도는 저장 12주 이후에 감소하나, 점조성은 저장 중 증가하였고 겨자와 마늘 첨가구에서 높았다. 고추장의 색도는 저장 중에 a 와 b값의 감소가 심하였고, ${\Delta}E$값의 증가는 키토산 첨가구에 비하여 알콜 첨가구에서 높았다. 가스발생은 저장 20일 이내에 대조구와 키토산 첨가구에서 심하였다. Capsanthin의 감소는 알콜이나 마늘, 겨자 첨가 고추장에서 심하였다. 고추장 중의 효모와 호기성 세균수는 저장 12주 전후까지 증가하나 이후 감소하였고, 효모수는 K-sorbate와 알콜 첨가구에서 적은 경향이었다. 고추장의 ${\alpha}-amylase$ 활성은 저장 중 감소하여 미약하였으나 ${\beta}-amylase$ 활성은 알콜이나 마늘, K-sorbate, 저온살균 고추장에서 높았고, protease 활성은 저장 중 낮았고 불규칙한 증감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