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lic content

검색결과 374건 처리시간 0.026초

볶은 마늘 분말을 첨가한 가정간편식(HMR)형 돈육 떡갈비의 품질 및 관능적 특성 (Quality and sensory properties of HMR-type pork Tteokgalbi containing roasted garlic powder)

  • 정창환;이솔희;김학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601-60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볶은 마늘의 첨가 수준에 따른 가정간편식 돈육 떡갈비의 품질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돈육 떡갈비 제조 시 볶은 마늘 분말의 첨가는 수분의 함량을 감소시키고 조단백질의 함량을 증가시켰다. 가열 전·후 명도는 볶은 마늘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감소하였다. pH는 가열 후가 가열 전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볶은 마늘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가열 수율은 볶은 마늘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전자혀 측정 결과 볶은 마늘 분말을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짠맛, 신맛 그리고 감칠맛이 강하게 감지되었다. 관능평가 결과 flavor와 overall acceptability 항목에서 볶은 마늘 분말 3% 처리구가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볶은 마늘 분말을 3% 첨가하는 것이 품질적인 측면과 관능적으로 우수한 가정간편식 돈육 떡갈비를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산지별 고아라 마늘의 주요 성분과 항균활성 비교 (Comparison of the major compound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Koara garlic cultivated in different regions)

  • 김주성;라종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58-262
    • /
    • 2019
  • 마늘의 일부 품종에서 화학적 조성 및 생물학적 특성이 조사되었지만 현재 고아라 마늘의 주요 성분 및 생리활성에 대한 조사는 부족한 현실이다. 2012년 품종으로 등록된 고아라 마늘의 주요성분 및 생리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서귀포, 담양 및 남해에서 재배하여 비교하였다. 재배된 마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서귀포에서는 황 관련 물질(알리인과 피루베이트 총량)과 항균 활성이 우수했으며 남해에서는 페놀 함량과 환원당 함량이 풍부하였으며, 담양에서는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고려할 때 재배 지역 간에는 차이가 있었지만 고아라 마늘은 지금까지 보고된 다른 마늘 품종과 비슷하게 주요 성분함량과 생리 활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역 농민, 유통 업자 및 소비자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흑마늘 추출 분말을 첨가한 기능성 머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Muffins Containing Black Garlic Extract Powder)

  • 양승미;강민정;김성현;신정혜;성낙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37-744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uffin containing black garlic extract powder that was stored for 9 days at room temperature. Black garlic extract powder was added to the muffin batter at concentrations of 0, 1, 4, 8, and 12%. Specific gravities of muffin batters increased as black garlic extract powder increased, whereas, height and specific volume of the muffins decreased. For the color of muffin crust and crumb, lightness decreased as the level of garlic extract powder increased, whereas redness and yellowness increased. For sensory evaluation, the color, flavor, softness, and chewiness of the muffins containing 1% black garlic extract powder were superior compared to those of other samples. Scores fo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the highest in muffin containing 4% black garlic extract powder.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uffins measured by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ssay increased as the level of black garlic extract powder increased. Further, the TBARS(thiobarbutric acid reactive substance) content of the muffin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black garlic extract powder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스마트팜 생산 새싹마늘의 부위별 및 생육 기간에 따른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arts of garlic sprouts produced by smart farms during growth)

  • 최유리;김수환;이채미;이동훈;이채윤;조형우;정재희;오임경;하호경;김정실;허창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72-28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팜에서 생산된 새싹마늘의 부위별과 생육기간별의 품질을 비교하였다.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과 조회분의 경우 생육기간에 따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조단백질과 조지방은 생육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모든 시료구에서 주요 유리당은 fructose로 나타났으며, 주요 유기산은 oxailc acid와 citric acid로 나타났다. 새싹마늘의 총유리당과 유기산은 생육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무기성분은 모든 시료구에서 K와 P가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났으며, 새싹마늘의 생육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새싹마늘의 유리아미노산은 생육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새싹마늘의 어린잎(SL)을 제외한 다른 시료구들의 argine은 감소하였으며, glutamic acid는 새싹마늘의 뿌리(SR) 시료구를 제외한 모든 시료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Alliin은 생육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total thiosulfinate는 일반 마늘 89.24 mmol g-1, 새싹마늘 71.16-82.36 mmol g-1으로 나타났다. 총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분석 결과 총폴리페놀 함량은 생육기간에 길어짐에 따라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플라보노이드는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새싹마늘의 DPPH와 ABTS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 및 SOD 유사 활성은 각각 37.45-65.47%, 59.12-89.81% 및 89.52-98.59%로 일반 마늘 대비 발아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생육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새싹마늘은 일반 마늘 대비 발아에 의해 기능성 성분과 생리활성이 향상되었으며, 최적 생육기간은 20일로 나타났다. 이는 기능성 및 식품 가공 소재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자이언트흑마늘의 유효성분 분석 (Analysis of Active Components of Giant Black Garlic)

  • 김담;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672-1681
    • /
    • 2015
  • 자이언트마늘을 자이언트흑마늘로 숙성시킬 시에 새롭게 생성되거나 증강되는 유효성분을 측정하여 기존의 일반마늘 및 이를 숙성시킨 일반흑마늘과 비교 분석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자이언트마늘에서 자이언트흑마늘로 숙성 후 수분은 감소하였으며 회분, 조단백, 조지방은 증가하였고, 일반마늘에서 일반흑마늘로 숙성 후에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pH는 숙성 후 감소하였고 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당은 숙성 후 증가했지만 자이언트흑마늘과 일반흑마늘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환원당의 경향도 유사하였다. 총 피루브산의 함량은 숙성 후에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자이언트흑마늘이 일반흑마늘에 비하여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 구성 아미노산 측정 결과 자이언트마늘이 자이언트흑마늘로 숙성 후에 histidine, lysine, arginine을 제외한 모든 아미노산이 많게는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자이언트흑마늘이 일반흑마늘보다 숙성 후 총 아미노산 함량의 증가비율이 더 높았다. 자이언트흑마늘이 일반흑마늘보다 arginine, cysteine, lysine, phosphoethanolamine, urea를 제외한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이 더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자이언트마늘이 자이언트흑마늘로 숙성 후에 taurine, phosphoethanolamine, ${\beta}$-alanine, ethanolamine이 신규 생성 되었다. 무기질의 측정 결과 자이언트마늘이 자이언트흑마늘로 숙성 후에 구리, 철, 마그네슘, 나트륨이 증가하였다. S-Allyl-L-cysteine의 함량은 자이언트흑마늘이 자이언트마늘에 비해 약 4배 증가했으며 일반흑마늘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S-Allylmercaptocysteine도 마찬가지로 숙성시에 함량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자이언트마늘의 가공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흑 마늘 첨가에 따른 마늘 젖산 발효물의 물성 및 기능성평가 (Effects of Black Garlic on the Rheolog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Garlic Fermented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 손세진;이삼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64-871
    • /
    • 2010
  • 흰 마늘/흑 마늘 첨가에 따른 김치 젖산균을 이용한 발효물을 제조하여 품질 및 기능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고형분 함량은 17% 흰 마늘 습식분쇄물과 22.63% 흑 마늘 습식분쇄물이다. 마늘 혼합물에 Leuconostoc mesenteroides 균주를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젖산 발효시킨 발효물의 생균수와 점도는 흑 마늘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흑 마늘을 10% 수준으로 첨가한 경우에 생균수는 $1.6\times10^{11}$ cfu/mL, 점도는 9.31 $Pa{\cdot}s^n$를 나타내었다. 마늘 발효물의 물과 70% EtOH 추출물의 polyphenol 함량은 각각 6.29 mg/mL, 5.99 mg/mL이며, DPPH 소거 활성은 $IC_{50}$ 값이 1.03 mg/mL, 1.07 mg/mL, ACE 저해 활성의 $IC_{50}$값은 68.54 mg/mL과 72.78 mg/mL이다. ACE 저해활성은 흑 마늘이 많이 첨가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그중에서 70% EtOH 추출보다 물 추출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늘 발효물의 sucrose 전환율은 흑 마늘 첨가 농도가 낮을수록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흑 마늘 20%, 10%, 0% 첨가에서 각각 20%, 65%, 85%를 보였다. 흑 마늘 10% 함유 발효물의 저장 중 점도는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며, 생균수는 냉장저장 1주 후 $1.6\times10^{11}$ cfu/mL에서 $6.5\times10^{10}$ cfu/mL로 감소하였으며, 냉동저장이 냉장저장보다 높은 생균수를 나타내었다.

마늘과 부추 추출물에 의한 고추장의 알코올 생성 억제 효과 (Inhibition Effect of Alcohol Production in Gochujang by Garlic and Chives Extract)

  • 임세미;이종숙;김명희
    • 급식외식위생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1-28
    • /
    • 2023
  •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Zygosaccharomyces rouxii are known to produce alcohol in gochujang. To reduce alcohol production, garlic and chives were applied to gochujang solution to find their inhibitory effect on S. cerevisiae and Z. rouxii. The 70% ethanol extract of garlic and chives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activity against S. cerevisiae and Z. rouxii, showing growth inhibition zone of 14.00±0.00~25.33±0.58 mm by disc diffusion method. In addition, the addition of 70% ethanol extract of garlic and chives in 10% gochujang solution spiked with S. cerevisiae and Z. rouxii reduced the numbers of total aerobic bacteria (below 7 Log CFU/g) and yeast (below 4 Log CFU/g), alcohol content (below 0.30%),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addition of garlic ethanol (70%) extract or chives ethanol (70%) extract to gochujang inhibited the growth of S. cerevisiae and Z. rouxii, resulting in reduced alcohol content in gochujang. For further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od application experiments by using real gochujang paste.

마늘(Allium sativum L.)이 콜레스테롤을 투여한 흰쥐의 혈청 성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arlic on Serum Component of Cholesterol-fed Rats)

  • 김만수;김송전;이인실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3-132
    • /
    • 1991
  • The study was accomplished to know the effects of garlic on body weight, and serum lipid, protein and glucose in male rats. The rats applied in this study were Sprague-Dawley strain of 42. In addition to basal diet, they were fed together raw garlic juice or ethanol garlic extract with 2.5% cholesterol solution solved by corn oil for 8 weeks respectively. Thes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growth rate and efficiency ratio appeared to be more increased in ethanol garlic extract groups than in raw garlic juice groups. 2. The content of serum total cholesterol appeared to be the most decreased in 0.4ml ethanol garlic extract group. 3. The level of serum HDL-cholesterol had a tendency to be increased in all garlic groups. 4. Albumin/Globulin ratio appeared to be more decreased in raw garlic juice groups than in ethanol gar lie extract groups. 5. The level of serum glucose appeared to be more decreased in ethanol garlic extract groups than in raw garlic juice groups. Therefore we think that garlic is able to have an effect on atherosclerosis and diabetes.

남해산 고사리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racken (Pteridium aquilinum Kuhn) in Namhae)

  • 심혜진;황초롱;강재란;강민정;신정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88-295
    • /
    • 2015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ried bracken (Pteridium aquilinum Kuhn) harvested in Namhae. The moisture, ash,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 was $10.79{\pm}0.31%$, $6.16{\pm}0.04%$, $33.20{\pm}0.40%$ and $2.45{\pm}0.27%$, respectively. The total mineral (Ca, Fe, K, Mg, Na, Mn) content was $36720.1{\pm}495.7mg/kg$, with K being the highest at $31890.0{\pm}503.8mg/kg$. The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was 704.41 mg/100 g, the amount of methionine, citrulline and sarcosine being higher than the others. The water and 50% ethanol extracts from the dried bracken were evaluated for the total poly phenolic compound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and xanthine oxidase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in the 50% ethanol extract ($1574.86{\pm}18.31mg/100g$) was higher than in the water extract ($1240.24{\pm}16.32mg/100g$). The DPPH and AB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bracken extract, and the activity in the 50% ethanol extract was higher than in the water extract. In addition, the xanthine oxidase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as also higher in the 50% ethanol extract than in the water extract. In conclusion, bracken has great antioxidative and antidiabetic effects and can be used as a preventive agent for oxidation and diabetes.

투석막으로 분리한 가공마늘 갈변물질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Browning Compounds from Processed Garlics Separated by Dialysis Membrane)

  • 신정혜;강민정;김라정;류지현;김미주;이수정;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57-365
    • /
    • 2011
  • 마늘 및 숙성을 통한 가공마늘 갈변물질의 생리활성을 규명하고자 생마늘, 중간숙성 마늘인 홍마늘 및 흑마늘의 수용성 갈변물질을 투석막을 이용하여 투석내액 및 외액으로 분리한 다음 동결 건조하여 항산화활성을 중심으로 생리활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생마늘 및 홍마늘 투석액의 pH는 내액에서 더 높았으나 흑마늘은 이와 상반되게 투석외액의 pH가 더 높았고, 갈변물질은 생마늘, 홍마늘 및 흑마늘 모두 투석외액에서 더 높은 함량이었다.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투석내액의 경우 홍마늘에서 가장 낮았고 흑마늘에서 가장 높았으나, 투석외액에서는 홍마늘에서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은 흑마늘 투석내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total pyruvate의 함량은 생마늘과 홍마늘의 경우 투석외액에서 더 높았으나 흑마늘은 이와 상반된 결과였다. Total thiosulfinate의 함량은 흑마늘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홍마늘, 생마늘의 순서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생마늘과 흑마늘의 경우 투석내액이, 홍마늘은 외액에서 더 활성이 높았고, tyrosinase 저해활성은 홍마늘 투석액이 생 마늘 및 흑마늘에 비해 더 활성이 높았다.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투석내액이 외액보다 높았으며, 저농도에서 홍마늘은 생마늘보다 활성이 더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생마늘과 홍마늘의 항산화 활성은 투석외액에서 더 높으며, tyrosinase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투석내액에서 더 높았고, 이들에 비해 갈변 반응이 더 많이 진행된 흑마늘의 경우 투석내액의 생리활성이 더 높아 마늘의 갈변정도에 따라 생리활성에 기여하는 갈변물질의 분자 크기가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