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rland chrysanthemum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5초

Plant Regeneration Depending on Explant Type in Chrysanthemum coronarium L.

  • Chae Won-Byoung;Choi Geun-Won;Chung In-Sik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253-258
    • /
    • 2004
  • Plant regeneration depending on explant type was inves-tigated with cotyledon, hypocotyl, and leaf explants of garland chrysanthemum (Chrysanthemum coronarium L.) cultured on MS basal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SAP and NAA combination. Among the three different types of explants, hypocotyl explants grown on MS medium containing $1.0{\mu}M\;NAA,\;1.0{\mu}M\;BA\;and\;6{\mu}M\;AgNO_3$ produced the highest adventitious shoots (4.67 per explant). Hypocotyl explants not only produced more vigorous shoots, which regenerated aster than the cotyledon and leaf explants. An efficient root formation was observed in MS medium containing $3\%$sucrose. The concentration of NAA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on root formation. Results from this experiment suggested that hypocotyl explants were efficient for the regeneration of garland chrysanthemum.

치커리(Cichorium intybus L.)와 쑥갓(Chrysanthemum coronarium L.)의 기내 종자발아 개선 (Improvement of In Vitro Seed Germination in Chicory (Cichorium intybus L.) and Garland Chrysanthemum (Chrysanthemum coronarium L.))

  • 황현정;최근원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97-305
    • /
    • 2008
  • 치커리와 쑥갓에 있어 기내 파종 시 발아 및 무균묘 생산을 증진시키기 위한 적절한 방법을 제안하기 위해 일련의 실험들이 수행되었다. NaOCl의 적정 처리농도와 시간 검정을 통해 치커리 'Precole'과 'Chiavari' 및 쑥갓 'Okiku 3' 모두 Naocl 5%로 15분간 처리하는 것이 발아 및 유묘형성을 촉진시키고 오염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배지조성에 있어 MS와 1/2 MS처리구들의 발아반응성은 뚜렷이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sucrose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발아 및 유묘형성이 지연되었다. 배양용기에 따른 반응성의 차이는 치커리 'Precole'의 경우 petri-dish에서 양호한 발아율 및 유묘형성율을 보여주었지만, 치커리 'Chiavari'와 쑥갓 'Okiku 3'에서는 용기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초음파 처리는 치커리의 발아율 및 유묘형성율을 증가시켰지만, 쑥갓 'Okiku 3'에서는 초음파 처리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치커리와 쑥갓 모두에서 NaOCl 5%, 15분간 종자소독하고, sucrose가 무첨가된 1/2 MS 배지로 petri-dish를 이용하며, 초음파 처리는 NaOCl 5% 용매에서 120분간 하는 것이 기내 발아향상에 적당한 조건으로 선정되었다.

유기염소제농약의 작물에의 흡수잔류에 관한 연구 (Residue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soils and absorption in crops)

  • 노창배
    • 약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9-38
    • /
    • 1974
  • In order to study the residual amounts of absorbed organochlorine pasticides in vegetables, heptachlor and endrin were sprayed 2,4 and 6kg per 10a., respectively, before sowing the seeds in the station. The experiemental study is primarily concerned with the absorption in lettuce nad garland chrysanthemum. The absorption of each pesticide into lettuce and garland chrysanthemum, and residual pesticides in soil by timne have been analyzed by the gas chromtographic method, and the ratio of residual pesticides in vegetablesand soil were estimated. Heptachlor, heptachlor epoxide and endrin in lettuce nad garland chrysanthemum at the market in Seoul area hvae also analyzed and found extremely low level of pesticides in comparison with the level in above experimental vegetables as well as same vegetables in Japan.

  • PDF

Occurrence of Sclerotinia Rot on Composite Vegetable Crops and the Causal Sclerotinia spp.

  • Kim, Wan-Gyu;Cho, Weon-Dae
    • Mycobiology
    • /
    • 제30권1호
    • /
    • pp.41-46
    • /
    • 2002
  • Composite vegetable crops grown in greenhouses and open fields in Korea were surveyed from 1995 to 1999. Occurrence of Sclerotinia rot was observed in 123 of 277 lettuce fields, in 11 of 18 head lettuce fields, in 12 of 14 endive fields, and in 4 of 38 garland chrysanthemum fields surveyed during the growing seasons. The disease most severely occurred up to 80% on lettuce. Incidence of the disease was as high as 20% at its maximum on endive and garland chrysanthemum but relatively low on head lettuce. Symptoms of the disease developed on leaves of all the composites, crowns of lettuce and head lettuce, and stems of garland chrysanthemum. Out of 240 isolates of Sclerotinia species obtained from the diseased composites, 169 isolates were identified as Sclerotinia sclerotiorum, and the others as S. minor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S. sclerotiorum was isolated from all the composites, and S. minor only from lettuce and endive. Eight isolates of S. sclerotiorum and four isolates of S. minor were tested for their pathogenicity to the composites by artificial inoculation. All the isolates of the two Sclerotinia spp. induced rot symptoms on the plants of the composites by artificial inoculation, which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the fields. The pathogenicity tests reveal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irulence of the isolates to the composites and in susceptibility of the composites to the isolates.

엽채류의 환경제어 모델연구 II. 인공광 조건에 따른 식물의 생육변화 (Studies on the Modelling of Controlled Environment in Leaf Vegetable Crops II. Effects of various light sources on the growth)

  • 박권우;신영주;이용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35-141
    • /
    • 1992
  • 자연광과 자연광에 인공광을 이용한 보광처리시 형광등, 백열등, 고압나트륨등으로 인공광의 종류를 달리하였을 때 백경채, 탑채, 상추, 쑥갓 및 잎들깨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반적으로 대조구보다 보광처리구의 생육이 양호하였다. 2. 고압나트륨등처리구에서는 생육이 양호하여 엽중량비가 낮고, 엽면적이 넓으며 엽중이 무거워 외관상 상품가치가 높았으며 백열등처리구에서는 생체중은 무거웠으나 도장하여 상품성이 저하되었다. 형광등처리구에서는 고압나트륨등에 비하여 생육이 크게 떨어지지 않았다. 3. 엽록소의 상대적 함량은 전반적으로 큰 차이는 없었으나 고압나트륨등의 처리구에서 다소 높았다. 4. Vitamin C의 함량은 처리간 큰 차이는 없었으며 광 종류에 따라 작물마다 다른 반응을 나타내었다.

  • PDF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VI - 쑥갓(Chrysanthemum coronarium L.)으로부터 sterol의 분리 - (Deveo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VI - Isolation of Sterol Compounds from the Aerial Parts of Garland (Chrysanthemum coronarium L.) -)

  • 송명종;홍윤희;김동현;김대근;정인식;이윤형;김성훈;박미현;김인호;권병옥;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4호
    • /
    • pp.376-379
    • /
    • 2003
  • 쑥갓의 지상부를 MeOH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물로 분배, 추출하였다. EtOAc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3종의 sterol을 분리하였다. 각각의 화학구조는, NMR및 MS등의 스펙트럼을 해석하여, $stigmast-5-en-3{\beta}-ol\;(1,\;{\beta}-sitosterol),\;stigmast-4-en-6{\beta}-ol-3-one$ (2), $stigmast-4-en-6{\alpha}-3-one$ (3)으로 동정하였다. 화합물 2와 3은 육상식물에서는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Glycerides from the Aerial Parts of Garland (Chrysanthemum coronarium L.) and Their Inhibitory Effects on ACAT, DGAT, FPTase, and $\beta$-Secretase

  • Song, Myoung-Chong;Yang, Hye-Joung;Cho, Jin-Gyeong;Chung, In-Sik;Kwon, Byoung-Mog;Kim, Dae-Keun;Baek, Nam-I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95-102
    • /
    • 2009
  • The aerial parts of garland (Chrysanthemum coronarium L.) were extracted in 80% aqueous methanol (MeOH) and the concentrated extract was then partitioned using ethyl acetate (EtOAc), n-butanol (n-BuOH), and $H_2O$, successively. EtOAc and n-BuOH fractions resulted in 4 glycerides with the application of octadecyl silica gel and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glycerides were determined using several spectroscopic methods, includ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and mass spectrometry (MS) as (2S)-1-O-palmitoyl-sn-glycerol (1), (2S)-1-O-oleoyl-2-O-oleoyl- 3-O-$\beta$-D-galactopyranosyl-sn-glycerol (2), (2S)-1-O-palmitoyl-2-O-linoleoyl-3-O-phosphorouscholine-sn-glycerol (3), and (2S)-1-O-linolenoyl-2-O-palmitoyl-3-O-[$\alpha$-D-galactopyrasyl-($1{\rightarrow}6$)-$\beta$-D-galactopyranosyl]-sn-glycerol (4). The free fatty acids of these glycerides were determined with gas chromatography (GC)-MS analysis following alkaline hydrolysis and methylation. These glycerides demonstrated an inhibitory effect on 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ACAT, compound 1: $45.6{\pm}0.2%$ at $100{\mu}g/mL$),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DGAT, compound 1: $59.1{\pm}0.1%$ at $25{\mu}g/mL$), farnesyl protein transferase (FPTase, compound 2: $98.0{\pm}0.1%$; compound 3: $55.2{\pm}0.1%$ at $100{\mu}g/mL$), and $\beta$-secretase ($IC_{50}$, compound 4: $2.6{\mu}g/mL$) activity. This paper is the first report on the isolation of these glycerides from garland and their inhibitory activity on ACAT, DGAT, FPTase, and $\beta$-secretase.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Bio-com)시용(施用)이 상치와 쑥갓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Growth and Yield of Leaf Lettuce and Garland Crysanthemum)

  • 김정제;조병옥;이상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9-177
    • /
    • 1987
  • 균체유기질비료(菌體有機質肥料)(Bio-com.)의 시용(施用)이 상치와 쑥갓의 생육수량(生育收量)과 토양(土壤)의 화학성(化學性)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고자 중동통의 미사질토양(微砂質土壤)을 공시(供試)하여 Pot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상치와 쑥갓 공(共)히 Bio-com.시용(施用)으로 엽수(葉數), 초장(草長), 엽면적(葉面積)과 근장(根長)의 생육(生育)이 양호(良好)하였다. 2. Bio-com. 시용구(施用區) 모두가 3요소(要素)+퇴비구(堆肥區)에 비하여 123~1,170%의 증수(增收)를 보였고 Bio-com. 2,250kg/10a시용구(施用區)에서 가장 증수(增收)하였다. 3. Bio-com. 시용구(施用區)는 퇴비시용구(堆肥施用區)에 비하여 비효(肥效)의 발현속도(發現速度)가 빠른 경향이었다. 4. Bio-com. 시용구(施用區)의 식물체중(植物體中)에는 $K_2O$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N, $P_2O_5$ 및 MgO의 함량(含量)은 현저히 많이 흡수(吸收)됐다. 5. Bio-com. 시용(施用)한 쑥갓 식물체중(植物體中)에는 N, $P_2O_5$와 MgO의 함량(含量)이 높았다. 6. Bio-com. 시용(施用)으로 토양중(土壤中) $P_2O_5$의 함량(含量)이 가장 높았으며 pH, Ca와 Mg의 함량(含量)도 높았다.

  • PDF

쑥갓의 화아분화에 미치는 일장, 차광 및 관수 처리의 영향 (The Effect of Daylength, Shading and Irrigation on the Flowering of Chrysanthemum coronarium L.)

  • 장매희;박권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36-146
    • /
    • 1993
  • 쑥갓의 개화에 미치는 한계일장을 구명하고 차광처리, 관수량 및 생장조절제 처리에 따른 쑥갓의 개화반응을 보고자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일장을 12, 14 및 16시간으로 처리한 결과 일장이 증가할수록 초장은 증가하였으며, 개화시기는 빨라졌다. 또한 생육이 진전될수록 일장에 민감하게 감응하고, 화기 발육도 빨라졌으며, 특히 엽수가 8매 이상일 때 장일처리 효과가 뚜렷하였다. 쑥갓의 개화 유도에 필요한 장일처리 일수는 10일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차광처리시 65% 차광구(40,0001ux)는 대조구보다 약 20일 늦게 개화하여 개화지연 효과가 나타났다. 관수량은 증가시킬수록 개화가 억제되었다.

  • PDF

엽채류의 환경제어 모델연구 III. 배지와 양액 종류에 따른 식물의 생육변화 (Studies on the Modeling of Controlled Environment in Leaf Vegetable Crops)

  • 박권우;신영주;원재희;이용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15
    • /
    • 1993
  • 양액재배시 배지 및 양액종류의 차이가 백경채, 탑채, 상추, 쑥갓 및 잎들깨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한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반적으로 순수담액처리구와 혼합상토의 생육이 크게 차이나지는 않았으나 순수담액처리구의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고, 모래배지에서의 생육이 가장 저조하였다. 백경채, 탑채, 상추와 잎들깨의 생육은 순수담액의 산기양액처리구에서 가장 좋았으며 쑥갓의 경우 양액종류에 관계없이 순수담액처리구에서 생육이 양호하였다. 2. 엽록소의 상대적 함량은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3. Vitamin C의 함량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공시작물 공히 전반적으로 양액의 종류에 상관없이 혼합상토처리구가 가장 높았고, 모래배지가 가장 낮았다. 그러나 잎들깨에서는 모래배지와 순수담액배지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