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ma fatty acid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29초

감마선 조사된 대두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amma-Irradiated Soybeans)

  • 이현자;김정옥;육홍선;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58-565
    • /
    • 1996
  • 감마선 조사된 대투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에서 일반성분 지방산 조성 및 무기질 성분은 모든 조사선량에서 변화가 없었으며, 질소 용해도파 추출성 phents 및 phytate 함량은 5 kGy까지의 조사군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10 kGy와 20 k0y의 고선량 조사군에서는 다소의 영향이 화인되었으며, 1년 저장후에는 모든 시험군에서 감소현상을 보였다. 산가 및 유기산 함량도 2.5 kGy 조사군까지는 비조사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5kGy 이상 조사군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1년 저장 후 모든 시험군에서 증가함을 보였다. 조사된 대두의 총 아미노산 함량과 조성은 10 kGy 선량까지는 변화가 없었으나, 10kGy 이상의 조사군에서 cysteine과 methionine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대두 색도는 감마선 조사선량의 증가와 저장기간의 경과로 명도와 황색도의 감소가 적색도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 PDF

들깨의 볶음 조건에 따른 들기름의 성분 및 관능적 특성 변화 (Changes in components and sensory attribute of the oil extracted from perilla seed roasted at different roasting conditions)

  • 김인환;정숙영;조재선;김영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2호
    • /
    • pp.118-122
    • /
    • 1996
  • 들깨의 볶음 조건에 따라 착유한 들기름의 성분 변화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때 들깨의 볶음 온도는 150, 170, 190, $210^{\circ}C$로 볶음 시간은 10, 20, 30분으로 하였다. 볶음 조건에 따라 볶은 들깨로부터 압착법으로 들기름을 착유시 볶음 온도가 높고 볶음 시간이 길어질수록 수율은 증가하였다. 볶음 조건에 따라 볶아 착유한 들기름중의 지방산 조성은 차이가 없었으며 linolenic acid가 약 60%로 가장 주된 지방산이었고 불포화 지방산이 전체 지방산의 88% 이상이었다. 들기름중의 인 함량은 들깨의 볶음 온도가 높아지고 볶음 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특히 $190^{\circ}C$에서 30분, $210^{\circ}C$에서 $20{\sim}30$분 볶아 착유한 경우에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한편, 들기름중의 tocopherol 함량은 들깨의 볶음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v-tocopherol이 총tocopherol 함량의 약 92%로 가장 주된 tocopherol이었다. 들기름의 관능검사 결과 들깨의 볶음 조건에 의해 들기름의 향미, 맛, 색깔, 종합적 기호도등이 1% 이내의 유의차를 보였으며 $190^{\circ}C$에서 20분 볶아 착유한 들기름이 기호도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증숙면 튀김 과정 중 대두유, 우지, 팜유의 가열 산화 안정성 (Thermooxidative Stability of Soybean Oil, Beef Tallow and Palm Oil during Frying of Steamed Noodles)

  • 최은옥;이진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88-292
    • /
    • 1998
  • 대두유, 우지, 팜유에서 증숙면을 튀겨내면서 튀김유의 가열산화안정성을 살펴보았다. 튀김유를 $150^{\circ}C$로 가열하고 증숙면을 30분 간격으로 70초간 튀기는 도중 8시간 간격으로 튀김유를 채취하여 과산화물가와 유리지방산의 함량, 지방산 조성의 변화, 토코페롤 및 토코트리엔올을 분석하였다. 튀김과정중 대두유에서의 과산화물가 및 유리지방산가는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우지와 팜유에서는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구성 지방산의 불포화도는 대두유가 가장 높았고 다음이 팜유, 우지의 순이었다. 대두유의 지방산 조성은 튀김과정 동안 거의 변하지 않았으나 우지와 팜유에서는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줄어드는 대신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증가하여 산화에 대한 민감성을 나타내었다. 리놀레산과 팔미틴산의 함량비는 대두유의 경우 튀김시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우지와 팜유에서는 튀김시간에 따라 높은 상관관계로 감소하였고 우지보다는 팜유에서 그 속도가 빨랐다. 이것은 대두유가 가열 산화에 가장 안정하고 우지, 팜유가 그 뒤를 따르고 있음을 암시한다. 토코페롤은 대두유에서 튀김과정에 의해 파괴되어 8, 16, 24시간 후 87.5, 81.1, 73.1%가 잔존하였으며 그 파괴 속도는 ${\gamma}$-토코페롤이 가장 컸고 ${\beta}-,\;{\alpha}$-토코페롤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조군 우지와 팜유에 각각 34.2, 169.0 ppm 존재하던 토코페롤과 토코트리엔올은 튀김 8시간을 지나면서 모두 파괴되었다. 따라서 높은 불포화도에도 불구하고 대두유에서 나타난 가열산화안전성은 토코페롤의 높은 잔존량에 기인하였고, 팜유가 우지보다 낮은 가열산화안전성을 보인 것은 구성 지방산의 높은 불포화도에서 일부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해동시킨 재래흑돼지육과 개량종 돼지육의 냉장저장중 품질비교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Black Pork and Modern Genotype Pork during Refrigerated Storage after Thawing)

  • 강선문;강창기;이성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7
    • /
    • 2007
  • 본 연구는 해동후 냉장시킨 재래흑돼지육과 개량종 돼지육의 육질을 비교함으로서 재래흑돼지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생시체중이 65.3 kg인 재래흑돼지 거세돈 5두와 114.3 kg인 개량종 돼지 거세돈($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5두의 등심(M. longissimus)을 $-80^{\circ}C$에서 1개월 동안 냉동하고 해동한 후 $2{\pm}0.3^{\circ}C$에서 7일 동안 저장하였다. 도체중과 지육율은 재래흑돼지가 개량종 돼지보다 낮았다(p<0.05). 일반성분에서 수분 함량은 재래흑돼지육이 개량종 돼지육보다 낮았지만(p<0.05), 조지방 함량은 높았다(p<0.05). pH는 재래흑돼지육이 저장 5일까지 높았으며(p<0.05), 드립감량은 재래흑돼지육이 저장기간 동안 낮았다(p<0.05). TBARS는 재래흑돼지육이 저장 5일부터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표면육색은 저장기간 동안 $L^*,\;h^0$ 값에서 재래흑돼지육이 낮았으며(p<0.05), $a^*,\;b^*,\;C^*$ 값에서는 높았다(p<0.05). 지방산 조성은 myristic acid, gamma-linolenic acid, linolenic acid, cis-5,8,11,14,17-eicosapentaenoic acid에서 재래흑돼지육이 개량종 돼지육보다 낮았으며(p<0.05), 신선육과 가열육의 관능적 기호도는 재래흑돼지육이 높았다(p<0.05). 따라서 재래흑돼지육은 개량종 돼지육보다 수분 및 일부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낮고 저장중 지방산화가 촉진되었지만, 조지방 함량이 높고 보수력, 관능적 기호도 및 색택이 우수하였다.

Properties of Cholesterol-reduced Butter and Effect of Gamma Linolenic Acid Added Butter on Blood Cholesterol

  • Jung, Tae-Hee;Kim, Jae-Joon;Yu, Sang-Hoon;Ahn, Joungjwa;Kwak, Hae-So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1호
    • /
    • pp.1646-1654
    • /
    • 2005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cholesterol-reduced and gamma linolenic acid (GLA)-added butter and to examine the changes in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and cholesterol lowering effect of GLA addition. The cholesterol removal rate reached 93.2% by $\beta$-cyclodextrin in butter before GLA addition. The thiobarbituric acid value of cholesterol-reduced and GLA-added butter increased slowly up to 4 week and plauteaued thereafter. TBA valu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2% GLA addition, compared with no GLA addition. The production of short-chain free fatty acids (FFA) increased with storage in all treatments. From 4 weeks storage, the amount of short-chain FFA in 2% GLA-add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other groups. Among sensory characteristics, color, greas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mostly affected by GLA addition, however, the rancidity value of 2% GLA addi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control and GLA-unadded and cholesterol-reduced butter at 0, 6 and 8 week storage. Among groups, no difference was found in texture in all storage periods. The smallest increase of total blood cholesterol in rats was found in the group fed 2% GLA-added and cholesterol-reduced butter for 8 week, compared with that in controls. The present results showed the possibility of cholesterol-reduced and GLA-added butter development without much difference in chemical, rhe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and indicated a slow increase effect on blood total cholesterol in rats.

감마선 조사가 저염 명란(Theragra chalcogramma) 젓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salt Fermented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Roe)

  • 남기호;이현진;박노현;김동환;송민규;김종일;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302-309
    • /
    • 2022
  • Low-salt fermented pollack Theragra chalcogramma roe (Myungran Jeotgal, MJ),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eafood, was prepared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method and irradiated using gamma rays (0-10.0 kG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mma irradiation (GI) on food quality. After irradiation with 2.5 kGy gamma rays, the number of viable cells in MJ was reduced by one log compared to that observed in non-irradiated MJ, and no living cells were detected after 7.5 kGy GI. Though up to 2.5 kGy GI had no effect on color quality, over 7.5 kGy GI resulted in significantly poor quality MJ surface color. 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increased slightly in irradiated MJ, while those of polyenes and monoenes decreased slightly as the GI dose increased. Exposure of MJ to GI had no effect on the free amino acid and mineral composi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appropriate GI dose for MJ ranged from 2.5 to 5.0 kGy, which may be recommended for industrial application.

$PPAR_{\gamma}$ Ligand-binding Activity of Fragrin A Isolated from Mace (the Aril of Myristica fragrans Houtt.)

  • Lee, Jae-Young;Kim, Ba-Reum;Oh, Hyun-In;Shen, Lingai;Kim, Naeung-Bae;Hwang, Jae-Kwa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6호
    • /
    • pp.1146-1150
    • /
    • 2008
  •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PPAR_{\gamma}$), a member of the nuclear receptor of ligand-activated transcription factors, plays a key role in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or adipocytes differentiation. A lignan compound was isolated from mace (the aril of Myristica fragrans Houtt.) as a $PPAR_{\gamma}$ ligand, which was identified as fragrin A or 2-(4-allyl-2,6-dimethoxyphenoxy)-1-(4-hydroxy-3-methoxyphenyl)-propane. To ascertain whether fragrin A has $PPAR_{\gamma}$ ligand-binding activity, it was performed that GAL-4/$PPAR_{\gamma}$ transactivation assay. $PPAR_{\gamma}$ ligand-binding activity of fragrin A increased 4.7, 6.6, and 7.3-fold at 3, 5, and $10{\mu}M$, respectively, when compared with a vehicle control. Fragrin A also enhanced adipocytes differentiation and increased the expression of $PPAR_{\gamma}$ target genes such as adipocytes fatty acid-binding protein (aP2), lipoprotein lipase (LPL), and phosphoenol pyruvate carboxykinase (PEPCK). Furthermore, i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level of glucose transporter 4 (GLUT4).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ragrin A can be developed as a $PPAR_{\gamma}$ agonist for the improvement of insulin resistance associated with type 2 diabetes.

노간주나무(Juniperus rigida Sieb. et Zucc.) 열매의 지질 및 향기성분 분석 (Analyses of Lipid and Volatile Components in Juniper Seed(Juniperus rigida Sieb. et Zucc.))

  • 신원선;하재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95-800
    • /
    • 2003
  • 우리 나라의 해안지역 및 전국의 산야에 분포하고 있는 노간주나무는 예로부터 열수추출하거나, 알코올로 추출하여 민간요법에 이용해온 예는 다수 있으나, 현재에는 그 이용여부가 보고된 바 없다. 노간주나무의 잎 및 열매로부터 추출한 지질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노간주나무의 잎과 열매의 지질의 일반성분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고 굴절률, 산가, 검화가, 요오드화가, 인 함량 등을 측정하였다. 노간주나무의 열매로부터 추출한 지질의 경우, 산가는 91.04, 요오드가는 133.60, 굴절률은 1.4724, 검화가는 82.38, 불검화가는 15.52, 인 함량은 11.02 ppm이었다. 열매의 지방산조성을 분석한 결과, 8월에 채취한 시료로부터 추출한 지질에서는 중쇄 지방산인 lauric acid 및 caprylic acid 등이 약 50% 정도 차지하고 있었으나, 열매의 성수기에 접어드는 10월에 채취한 시료에는 전체 지방함량중 linoleic acid가 47.64%, linolenic acid가 17.55%, oleic acid가 16.05%, palmitic acid가 11.19%의 순으로 계절에 따른 지방산의 분포 및 조성비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간주나무의 열매로부터 SPME를 이용하여 추출한 정유성분의 휘발성성분의 조성을 GC-MSD로 분석한 결과, 주된 향기성분은 $\beta$-myrcene, $\alpha$-pinene, $\beta$-farnesene, $\beta$-cubebene, limonene 등이었으며, transcaryophyllene, $\alpha$-terpinolene 등과 camphene, sabinene, $\beta$-pinene, ${\gamma}$-terpinene, 1,4-terpineol, $\alpha$-fenchyl acetate, 2-undecanone, neryl acetate, jupinene, $\delta$-cadinene, germa acrene, farnesol 등이 검출되었고 원자방출검출기 (AED)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특이적인 황화합물 및 질소화합물 등이 검출되지 않았다.

AMPK/Sirt1/PGC-1α 신호 전달 경로의 조절을 통한 오미자 추출물의 비만 개선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Schizandrae Fructus Water Extract through Regulation of AMPK/Sirt1/PGC-1α signaling pathway)

  • 이세희;박해진;신미래;노성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1
    • /
    • 2022
  • Objectives : Although the anti-obesity effect of Schizandrae Fructus water extract has been demonstrated, its underlying mechanism is still unclear. Therefore, we aimed to evaluate the anti-obesity effect of Schizandrae Fructus water extract through the p-AMP-activated protein kinase (p-AMPK), sirtuin1 (Sirt1),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coactivator 1α (PGC-1α) signaling in 60% high-fat diet (HFD)-induced obese mouse model. Methods : Male C57BL/6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he Normal group was fed a normal diet and the obese groups were fed 60% HFD. Except for the Control group, the GG group was supplemented with 0.5% Garcinia gummigutta and the SCW group was supplemented with 0.5% Schizandrae Fructus water extract. After 6 weeks, obesity-related biomarkers in serum were measured and the expressions of protein for lipid-related factors in liver tissue were analyzed by western blot. Results : Treatment with SCW significantly down-regulated body weigh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CW down-regulated levels of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in serum and significantly increased p-AMPK, Sirt1, and PGC-1α in liver tissue. In addition, the expressions of fatty acid oxidation-related proteins such a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α (PPARα),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1A (CPT-1A), uncoupling protein 1 (UCP1), and uncoupling protein 3 (UCP3)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However, fatty acid synthesis-related proteins including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1 (SREBP-1), phospho-Acetyl-CoA Carboxylase (p-ACC), and fatty acid synthase (FAS) we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Conclusions : Taken together, SCW treatment showed anti-obesity effect by regulating both fatty acid oxidation-related and fatty acid synthesis-related proteins through AMPK/Sirt1/PGC-1α signaling in 60% HFD-induced obese mice.

비파 부위별 분말의 영양성분 비교 (A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nent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Lindl.) Powder in Different Aerial Components)

  • 이환;김연경;이재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41-549
    • /
    • 2015
  • This study compares the major nutritional components of the leaf, flesh, and seed of dry loquat (Eriobotrya japonicaLindl.). Among proximate compositions, the crude fat, crude ash, and dietary fiber of the leaf exceeded those of the seed and flesh, whereas the carbohydrate content of the leaf was lower than that of the seed and flesh. The main component of free sugars in the leaf, flesh, and seed was fructose. Total amino acids of the leaf, flesh, and seed were 552.43, 63.00, and 260.29 mg%, respectively. Although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the leaf, flesh, and seed varied, glutamic acid and ${\gamma}$-aminobutyric acid were the major amino acids in the leaf, flesh, and seed. Major fatty acids of total lipid were oleic acid and stearic acid in the leaf and seed, and the major acid was linoleic acid in the flesh. Major organic acids were oxalic acid in the leaf, maleic acid in the flesh, and citric acid in the seed. Vitamin C content was higher in the seed than in the leaf and fle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