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in recovery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5초

광섬유 증폭기에서의 입력 펄스 열에 의한 Cain Recovery 특성 (The effect of gain recovery at the optical fiber amplifier by the input pulse train)

  • 이재명;이영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459-463
    • /
    • 2002
  • 본 논문은 광섬유 증폭기에서 입력 펄스 열에 따른 gain recovery 특성을 고찰하였다. 1.3$\mu\textrm{m}$대역에서 증폭특성을 갖는 PDFA(Praseodymium-Doped Fiber Amplifier)의 WDM 적용시 short pulse 열을 인가한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이득 포화 및 복구의 시간적 한계를 이론적으로 해석하였다. 펄스열의 간격과 펌프 파워, 그리고 펄스 간격에 따른 이득 포화 및 복구 시간이 광 펄스의 증폭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할 수 있었다.

광섬유 증폭기에서의 입력 펄스 열에 의한 Cain Recovery 특성 (The effect of gain recovery at the optical fiber amplifier by the input pulse train)

  • 이재명;이영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2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505-508
    • /
    • 2002
  • 본 논문은 광섬유 증폭기에서 입력 펄스 열에 따른 gain recovery 특성을 고찰하였다. 1.3$\mu\textrm{m}$ 대역에서 증폭 특성을 갖는 PDFA(Praseodymium-Doped Fiber Amplifier)의 WDM 적용 시 short pulse 열을 인가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이득 포화 및 복구의 시간적 한계를 이론적으로 해석하였다. 펄스열의 간격과 펌프 파워, 그리고 펄스 간격에 따른 이득 포화 및 복구 시간이 광 펄스의 증폭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Effect of 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 on the Gain Recovery of a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 Lee, Hojoon
    • 한국광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2-39
    • /
    • 2018
  • The impact of the 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 (ASE) on the gain recovery time of a bulk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SOA) is investigated. The gain-recovery time is obtained by determining the time evolution of the gain, carrier density, and ASE in an SOA, after the propagation of a short pump pulse and continuous-wave (CW) probe of gain dynamics. In the simulation, a wide-band-semiconductor model, which can be characterized by the material gain coefficient over a wide wavelength range, is used, because the gain bandwidth of a practical SOA is very wide. The pump pulse and counterpropagating CW probe field are considered in the simulation, with the ASE noise spectrum equally divided.

$Tm^{3+}$가 첨가된 광섬유 증폭기의 이득회복 특성 (A Study of the Gain Recovery Properties at the Thulium-doped fiber Amplifier)

  • 이재명;황대석;김규식;이영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2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533-53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1.47$\mu\textrm{m}$ 대역에서 증폭 특성을 갖는 TDFA(Thulium-Doped Fiber Amplifier)의 WDM 적용시 short pulse 열을 인가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이득 포화 및 복구의 시간적 한계를 이론적으로 해석하였다. 펄스열의 간격과 펌프 파워, 그리고 펄스 간격에 따른 이득 포화 및 복구 시간이 광 펄스의 증폭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MAC 방식 TV 시스템용 IC의 설계 - III. 신호 및 클럭 복원기 (VLSIs for the MAC TV System - Part III. A Data and Clock Recovery Circuit)

  • 문용;정덕균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2B권12호
    • /
    • pp.1644-1651
    • /
    • 1995
  • A data and clock recovery integrated circuit for MAC (Multiplexed Analog Component) TV standard is described. The chip performs the recovery of a system clock from a digitally encoded voice signal, clamping of a video signal for DC-level restoration, and precise gain control of a video signal in the presence of a large amplitude variation. A PLL (Phase Locked Loop) is used for timing recovery and a new gain control circuit is proposed which enhances its accuracy and dynamic range by employing two identical four-quadrant analog multipliers. The chip is designed in full custom with 1.5um BiCMOS technology, and layout verification is completed by post-simulation with the extracted circuit.

  • PDF

감각자극이 미숙아의 체중증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Sensory Stimulation on Weight Gain in Premature Infants)

  • 이군자;조결자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5권3호
    • /
    • pp.250-261
    • /
    • 1999
  •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on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in quasi experimental basis and newly born premature infants from intensive care unit of G Medical University Hospital in Inchon Metropolitan were selected in two groups of 21 infants each. The first group for experimental and the other for control. Data has been collected form October 30, 1997 to August 29, 1998. For the experimental group tactile and kinesthetic stimulation was applied 2 times a day for 10 days(10:00~ll:00 hours in the morning and 17:00~18:00 in the afternoon). As, a weight weighing instrument, electronic indicator scale(Cas Co. korea) was us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AS program using x²-test, studen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Pearson correlated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 were as follow. 1. As for the daily weight ga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first change in weight and this group also showed higher weight in the average weight than the control group. Statisticall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factor between the two groups. 2. In the correlation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weight gain, gestation Period. apgar score, admission Period before study, N.P.O. period after birth, recovery Period to birth weigh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negative correlation with weight gam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3. In the factor with affected the weight gain by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recovery period to birth weight and head circumfere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 showed recovery period to birth weight, N. P. O. period after birth. admission period before study, feeding amount, weight of study. In conclusion. the sensory stimulation in this study showed a Positive aspect thr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weight gam. Tn the correlat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weight gam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negative correlation The main factor which affected the weight gain by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recover period to birth weight.

  • PDF

$Pr^{ 3+}$이 첨가된 광섬유 증폭기의 이득회복 특성 (Characteristics of Gain Recovery Effect in $Pr^{3+}$ -Doped Fiber Amplifier)

  • 이재명;이영우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발표회
    • /
    • pp.44-45
    • /
    • 2002
  • 1.3$mu extrm{m}$ 대역에서 증폭특성을 갖는 광섬유 증폭기인 Praseodymium-doped fiber amplifier(PDFA)는 Ohishi 등에 의해서 처음으로 제안되었다. 수십 nm의 이득 대역폭을 갖고, 30dB 이상의 높은 신호 이득을 갖는 PDFA는 1.3~l.6$\mu\textrm{m}$에 이르는 광대역 WDM을 위한 중요한 증폭기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1.3~1.6$\mu\textrm{m}$에 이르는 광대역 WDM을 위해 광섬유 증폭기의 이득을 shift시키고, 이득 평탄화를 위한 많은 연구가 진해되어 지고 있으나, 광섬유 내에서 초고속의 광 신호를 증폭 시 발생할 수 있는 상호채널 간섭, 상호변조 왜곡, bit rate 높은 펄스열의 증폭 시 발생할 수 있는 이득소멸(gain depletion)과 이득회복(gain recovery) 등과 같은 과도응답 현상에 관한 연구는 충분히 보고되어있지 않다. (중략)

  • PDF

Thulium이 도핑된 광섬유 증폭기의 과도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Transient Effect at the Thulium-doped Optical Fiber Amplifier)

  • 이재명;이영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1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349-35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1400nm 대역에서 이득을 갖는 TDFA의 증폭 특성과 과도응답 특성을 이론적으로 해석하였다. 수치모델은 밀도반전의 형성과정, 여기파워, 증폭기를 따라 변화하는 신호파워를 포함한다. 본 이론해석의 결과는 광섬유증폭기의 이득 포화와 복구시간을 예측할 수 있게 해주고, 펌핑율과 포화 율이 이득의 포화와 복구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할 수 있게 한다.

  • PDF

반도체 레이저의 이득스위칭을 이용한 UWB 임펄스 발생기 설계 (Design of Impulse generator Using Gain-Switched Semiconductor Laser for UWB)

  • 권순영;김범주;박종대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2권6호
    • /
    • pp.61-6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Step recovery diode와 반도체 레이저의 이득 스위칭을 이용하여 UWB(Ultra Wide Band) 통신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임펄스 발생기를 설계하였다. 구현된 임펄스 발생기는 4부분으로 구성하였으며, 1번째는 SRD를 이용하여 반도체 레이저의 이득스위칭을 위한 1차 임펄스 발생기, 2번째는 출력된 1차 임펄스를 이득 스위칭을 조건에 맞추기 위한 전류조절기, 3번째는 1차 임펄스 발생기에서 출력된 임펄스를 반도체 레이저의 이득 스위칭을 이용하여 가우시안 펄스를 발생하는 2차 임펄스 발생기, 4번째는 구현된 가우시안 펄스를 UWB를 위한 가우시안 모노펄스로 변환하는 펄스 변환부로 구성되어 있다. 측정된 가우시안 모노펄스는 시간상에서 360 psec의 펄스폭과 -70 mV에서 +50 mV의 크기를 가지며, 주파수상에서 -41 dBm의 크기와 3.6 GHz의 대역폭을 가짐으로써 UWB를 위한 임펄스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차동 연결된 Varactor를 이용한 6Gbps CMOS 피드포워드 이퀄라이저 (A 6Gbps CMOS Feed-Forward Equalizer Using A Differentially-Connected Varactor)

  • 문용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6권2호
    • /
    • pp.64-70
    • /
    • 2009
  • 0.13-um CMOS 공정을 이용하여 3GHz에서 6.2dB의 gain을 갖는 피드포워드 이퀄라이저를 구현하고 14.7dB의 감쇄를 갖는 7-m SATA 케이블을 통해 6Gbps의 데이터를 에러 없이 복원하였다. 제안한 이퀄라이저 회로는 varactor의 차동 연결을 통해서 기존 이퀄라이저에서 사용되는 varactor 면적의 1/4만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pad-frame에 집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 동작 주파수 및 3.6mW의 낮은 전력 소모를 유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