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ture happiness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3초

코로나 전후 행복 이슈 변화 분석 및 행복 증진 방안 연구 (A Topic Modeling Approach to the Analysis of Happiness Issues Before and After Pandemic)

  • 김가혜;이소현
    • 지능정보연구
    • /
    • 제28권3호
    • /
    • pp.81-103
    • /
    • 2022
  • 전 세계적으로 정신건강과 웰빙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세계 행복 보고서를 통해 꾸준하게 대중의 행복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2019년 중국에서 발생한 코로나19는 사람들의 일상적인 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전염병의 장기화로 인한 스트레스 누적이 사람들의 행복에 영향을 주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팬데믹 이후 '우울', '불안'과 같은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알렸고, 수치상으로 행복 지수가 낮아졌음을 밝혔다. 전염병 이후 한국 사회에서 대중들이 느끼는 행복의 이슈 변화에 대한 구체적인 이슈를 분석하는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한국인의 행복이슈에 생긴 변화를 파악하고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코로나19 이전 데이터는 2018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코로나19 이후 데이터는 2020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로 시기를 나누어 수집하였다. ERG 이론에 기반한 하위 키워드 32가지를 검색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코로나19 전후 토픽 모델링 결과를 국회 미래연구원에서 발표한 '행복 지표 2.0'의 '건강', '안전', '경제', '교육', '관계 및 사회참여', '여가', '삶의 만족' 영역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토픽과 키워드의 세부적인 의미에서 코로나19 전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각 영역의 관점에서 행복 증진 방안을 토픽과 키워드를 비교 해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실제 대중들의 '행복' 관련 의견을 마이닝하여 코로나19로 인한 심리적 변화에 대한 연구를 확장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 시사한다. 또한, 기존 행복 증진 불행 경감 방안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객관적인 행복 지표 영역을 활용해 행복 증진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예비보육교사의 목표, 만족도, 자기효능감 및 우울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oals,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Depression on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 윤갑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13-131
    • /
    • 2012
  •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의 행복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특성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예비보육교사의 심리적 특성 중 긍정적 심리상태는 자기효능감과 만족도, 부정적 심리상태는 우울, 그리고 예비보육교사로서 가지는 목표의 각 변인들이 이들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대학의 보육교사 양성학과에 재학 중인 1-4학년 예비보육교사들로 총 269명이었다. 분석결과 첫째, 예비보육교사의 목표내용은 이들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만족도는 학교생활만족도와 학과공부 흥미도가 모두 행복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우울은 이들의 행복에 각각 정적,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복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에서 자기효능감과 우울이 행복을 예언하였으며 그 중 우울이 예비보육교사의 행복을 가장 많이 예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보육교사의 행복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한국인의 행복과 불행 탐색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Happiness and Unhappiness Among Koreans based on Text Mining Techniques)

  • 박상현;도강혁;김학영;박가은;윤진혁;김경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0-2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통해 한국 사회에서 행복과 불행이 갖는 의미를 탐색하였다. 자료수집 및 분석을 위하여 온라인 뉴스 포털에서 Word2Vec과 TF-IDF 방법을 사용하여 '행복' 및 '불행' 키워드와 유사한 단어를 추출했다. 또한 K-LIWC 사전을 사용하여 행복 및 불행과 연관된 단어들의 감성 속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TF-IDF 분석 결과, 행복과 불행은 사회적 요인과 해당 년도의 사회적 이슈들과 각각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관찰됐다. Word2Vec 분석에서는 '희망'이 6년 연속으로 행복과 유사성이 높은 단어로 나타났다. K-LIWC 분석에서 '돈재정적이슈', '학교', '의사소통'은 행복 및 불행과 모두 관련성이 높았다. 그밖에 '몸 상태와 증상'이 불행과 높은 관련성이 있는 범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청년세대 삶의 인식 수준과 행복도의 영향요인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awareness of Life and Happiness Perceived by Youth Generation)

  • 김지경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3호
    • /
    • pp.209-24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청년들이 자신의 삶의 수준과 삶에 대한 전반적인 행복의 정도를 어떠한 수준에서 인식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와 서열로짓모델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청년들은 자신의 삶에 대한 인식수준 보다는 전반적인 행복의 정도에 대한 인식 수준이 더 높았다. 청년세대의 삶의 인식수준과 행복의 정도를 평가하는데 작동되는 기제와 요인은 상이하며, 집단에 따라 서로 다른 요인이 작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 삶의 인식수준과 행복도에 사회 인구학적 특성의 객관적인 요인보다 심리 정서 특성의 주관적인 요인이 더 큰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단, 취업 청년집단의 경우 일자리 만족도가 삶의 인식과 행복을 좌우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임이 발견되었다. 미래에 대한 절망으로 현재의 행복정도에 대해 역설적으로 긍정응답을 하는 경향성은 청년세대 전반에서 나타나기 보다는 일부 하위집단(중위소득미만+취업집단)에서 만 나타날 가능성이 발견되었다.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사회적지지와 자아존중감 및 행복감 간의 인과적 관계 -Process Macro를 적용한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Causal Relationships of Social Supports, Self-esteem, and Happiness of Adolescent Athletes- Focusing on the Mediation Analysis Using Process Macro)

  • 전욱휴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85-9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행복감 사이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청소년 운동선수 191명과 비교를 위한 일반고등학생 196명으로 총 387명이었으며, 검사지가 활용되었고, SPSS 22.0과 Process Macro를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를 통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운동선수들은 일반고등학교 학생들보나 사회적지지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자아존중감과 행복감도 모두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지지는 자아존중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직접영향이 있었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행복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직접영향이 있었다. 넷째, 사회적지지는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고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행복감에 간접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추후 학생들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마련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거주지역별 노인의 신뢰 유형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ust on Happiness among Korean Older Adults: The Role of Place of Residence)

  • 최명진;김기연
    • 한국노년학
    • /
    • 제40권2호
    • /
    • pp.341-357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의 신뢰 유형을 분석하고, 신뢰가 행복을 예측하는지를 대도시와 지방에 거주하는 노인으로 나누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2014년 정부역할과 삶의 질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5년 이상 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60세 이상 노인 1,599명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상호작용항을 포함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신뢰와 사회신뢰가 행복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특수신뢰와 일반신뢰에서 지역과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특히 대도시에 거주하는 노인에게는 일반신뢰가, 지방에 거주하는 노인에게는 특수신뢰가 행복의 영향요인임을 밝혔다. 이는 노인의 신뢰가 환경적 맥락에 의해 해석되어 행복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년기 신뢰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을 논의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미니멀리즘, 사회적 가치와 행복의 관계 (Minimalism, Social Values and Happiness)

  • 신홍임
    • 감성과학
    • /
    • 제25권4호
    • /
    • pp.21-32
    • /
    • 2022
  • 최근 주목받고 있는 미니멀리즘은 더 적은 소유에 대해 심사숙고하는 삶의 방식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미니멀리즘의 이득에 대해 학문적으로 검증한 연구가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미니멀리즘에서 소유를 줄이는 방식이 사회적 가치 및 주관적 행복감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분석하려 한다. 연구 1에서는 참가자들에게 비대칭 도형 사진을 제시하고, 버리기 또는 추가의 방식으로 안정감있는 대칭구조로 변환하는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버리기의 방식을 많이 사용한 참가자일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행복감이 높을수록 내면적 가치추구경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소비지향 또는 미니멀리즘과 연관된 자극을 제시한 후, 물질주의 추구경향, 주관적 행복감 및 사회적 봉사활동의 참여의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미니멀리즘이 유도된 조건에서 소비지향의 조건보다 물질주의 추구경향이 더 낮게 나타났다. 또한 버리기의 방식을 자주 사용할수록 주관적 행복감 및 사회적 활동의 참여의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적게 소유하는 미니멀리즘이 사회적 삶과 행복감을 변화시키는 대안적 삶의 방식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논의에서는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의 방향을 다루었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행복에 대한 은유분석 (Analysis of Metaphor for Teacher Happiness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강유진;고희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205-218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analyze the wa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nk about teacher happiness through metaphor analysis. Methods: A total of 225 pre-service teachers were selected from 4-year universities in the Gyeongnam area and ope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participants. A total of 207 out of the 225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Results: First, based on psychological well-being,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acceptance, autonomy, environmental control, and life purpose were deriv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ypified teacher happiness into five types: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acceptance, autonomy, environmental control, and life purpose.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eacher happiness as positive. Thir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acceptance, and purpose of life as positive, while environmental control and autonomy were perceived as negative.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s' education and to develop a program to raise positive awareness of futur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se study results can also be used as basic data for high quality teacher education.

The Influence of Purchase Types on Happiness: A Review

  • ZONG, Lu;DUAN, Xiaowei;DUAN, Shen
    • 융합경영연구
    • /
    • 제10권3호
    • /
    • pp.9-19
    • /
    • 2022
  • Purpose: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consumers feel more happiness when they have experiential purchases than material purchases. This experiential advantage has aroused great concern of researchers in the field of social and consumer psychology. Focusing on this issue, the paper aims to tease out the relevant academic work and to further provide with some significant implication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paper has divided the review into the following parts. Firstly, the connotation of experiential purchase and material purchase has been simply defined; Secondly, based on the logical framework of pre-factor variables, intermediary variables and regulating boundary conditions, this paper has collated the causal chain of the influence of purchases types on happiness; Finally, this paper has reviewed and summarized the shortcomings of existing studies, and have pointed out specific objectives of future research. Results: From the perspective of time utility and space form, this paper has expounded the substantiv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ypes of purchase, which lays a foundation for the explanation of the follow-up mechanism. Moreover, the paper has mainly interpreted the intermediary mechanism from two aspects, namely, individual elements of consumers and social elements of consumption situations. Conclusions: This study expands the scope of previous happiness research and strengthens the negative events adaptation research.

간호대학생의 우울 및 사회불안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Social Anxiety on Happiness of Nursing Students)

  • 손미라;김신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247-253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우울과 사회불안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간호대학생 316명으로 2018년 10월부터 11월까지 자료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행복과 우울, 사회불안은 부적관계, 행복에 우울과 사회불안이 부적영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의해 간호대학생의 행복증진을 위해 간호대학생이 경험하는 우울, 사회불안을 감소하기 위한 방안마련이 필요하다. 향후 간호대학생의 행복 영향요인을 보다 다양한 요인과 환경을 고려한 탐색적 연구가 계속적으로 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