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sants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5초

Antimutagenic Effects on Aflatoxin $B_1$ of Soybean Pastes Fermented by Bacillus Strains

  • Lee, Eun-Ju;Lee, Hyo-Jin;Kim, Jong-Kyu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6호
    • /
    • pp.878-880
    • /
    • 2005
  • Antimutagenic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of various soybean pastes against aflatoxin B1 were examined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98 and TA100. Antimutagenic activities of boiled soybeans, Japanese Miso,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s, soybean pastes fermented by wild type strains, and soybean pastes fermented by mutants, transformants, and cell fusants were 53.6 to 54.6%, 73 to 79.7%, 78.3 to 95.7%, 85 to 97.1%, 71.9 to 78.3%, 65.5 to 77.7%, and 73.4 to 79.0%, respectively. Soybean pastes fermented by wild type strains showed higher activities than those fermented by mutant, transformant, and cell fusant strains.

Development of a Novel Yeast Strain Which Ferments Soy Sauce by Protoplast Fusion

  • Lee, Eun-Ju;Kim, Jong-Ky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권1호
    • /
    • pp.24-30
    • /
    • 1993
  • In order to develop a novel yeast which produces the charateristic aroma of soy sauce, a protoplast fusion between Zygosaccharomyces rouxii WFS4 and Torulopsis versatilis IAM 4993 was carried out. Auxotrophic mutants as selective markers were obtained from Zygosaccharomyces rouxii and Torulopsis versatilis by treatment of N-methyl-N -nitro-N-nitrosoguanidine. The conditions of the protoplast formation and the regeneration for fusion were examined. The protoplast fusion using polyethylene glycol 4000 led to the fusion frequency of $4~5{\times}10^{-7}\;cells/ml$. Among fusants, a fusant ST723-F31 presented the best results in terms of the aromaticity of fragrance, the growth pattern, the resistance against salt and the degree of growth according to pH. It makes easy to control the production and the balance of aroma components so that it gives a good flavor, shortens the fermentation period and, simplifies the preparation process when using a bioreactor into which fusant is immobilized.

  • PDF

전분분해활성과 알코올 발효능을 보유한 효모의 육종 (Breeding of Yeast Strain with Starch Utilizing and Alcohol Fermenting Ability by Protoplast Fusion)

  • 주민노;홍성욱;김관태;염성관;김계원;정건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8-164
    • /
    • 2008
  • Saccharomyces diastaticus KCTC 1804 균주와 Saccharomyces cerevisiae KOY-1 균주를 이용하여 전분분해활성과 알코올 발효능을 동시에 가지는 효모융합체를 개발하였다. Saccharomyces cerevisiae KOY-1 균주의 단수체 유도를 통하여 Saccharomyces cerevisiae KH-12 균주를 획득하였다. EMS를 사용한 돌연변이 유발을 통하여 Saccharomyces cerevisiae KH-12 균주의 Met 영양요구성 변이주를 획득하였다. Lyticase 처리로 Saccharomyces cerevisiae KOY-1 $(Met^-)$, Saccharomyces diastaticus KCTC 1804$(Trp^-)$ 균주의 원형질체 형성률은 각각 90.5%, 97.7%로 관찰되었다. 원형질체 융합은 polyethylene glycol 4,000을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이때 원형질체 융합율은 $1.79{\times}10^{-4}$으로 관찰되었다. 원형질체융합과정을 통해 총 1,000주의 융합체를 획득하였고, 획득한 융합체의 전분분해능과 알코올발효능을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전분배지 YPS24에서 알코올생성능이 가장 우수한 효모융합체인 FA 776을 최종 선발하였다 최종 선발된 효모융합체 FA 776은 10세대 계대배양 후의 revertent 복귀율이 4.64%로 유전적 안정성을 확인하였으며, 효모융합체의 total DNA 함량을 비교한 결과, 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로부터 분리된 단수체 효모 KH-12는 26.56 fg/cell, Saccharomyces diastaticus KCTC 1804 균주는 25.40 fg/cell이었고, 이들을 사용해서 얻어진 융합체 FA 776의 DNA함량은 42.67 fg/cell이었다. 전분배지 YPS24배지에서 60시간 발효하였을때 Saccharomyces cerevisiae KOY-1 균주는 알코올 생성하지 못하였지만 효모융합체 FA 776은 13 mg/mL의 알코올을 생성하였다. 이는 전분이용성 효모인 Saccharomyces diastaticus KCTC 1804 균주에 비해 1.86배나 향상된 알코올 발효능을 나타냈다.

느타리버섯의 불화합성(不和合性)이 종내(種內) 및 종간(種間)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融合)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Incompatibility on Protoplast Fusion between intra-and inter Species in Basidiomycete, Pleurotus spp.)

  • 고승주;유창현;신관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37-144
    • /
    • 1989
  • 느타리버섯의 종내(種內) 및 종간(種間)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融合)을 Polyethylene Glycol (P.E.G.M.W.4,000) 처리(處理)로 성공(成功)하였다. 종내(種內)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融合)에서 화합성(和合性) 균주간(菌株間) 융합(融合)으로 얻은 균주(菌株)는 clamp를 형성(形成)하였으며 정상적(正常的)인 자실체(子寶體)가 발육(發育)되었으나 불화합성(不和合成) 균주간(菌株間) 융합(融合)으로 얻은 균주(菌株)는 대부분(大部分) clamp 형성(形成) 및 자실체(子實體) 발육(發育)이 이루워 지지 않았다. 종간(種間)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률(融合率)은 l0% 내외(內外)로 종내(種內) 융합률(融合率)보다 낮았다. 융합률(融合率)과 동위효소(同位酵素) band에 의(依)한 생화학적(生化學的) 유사도(類似度)와는 서로 상관(相關)이 없었다. 종간(種間)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融合)의 경우도 균사체(菌絲體) 융착(融着)에 의한 교배(交配)에서 화합성(和合性)을 보인 원형질체간(原形質體間) 융합(融合)에서 얻은 융합(融合) 균주(菌株)는 정상적(正常的)인 자실체(子實體)가 발육(發育)되었으나 불화합성(不和合性) 균주간(菌株間) 융합(融合)에서 얻은 균주(菌株)는 변이(變異)로 추측되는 몇 가지 경우를 제외(除外)하고 대부분(大部分)이 clamp 형성(形成) 및 자실체(子實體) 발육(發育)이 이루워 지지 않았다.

  • PDF

느타리버섯과 잔나비걸상버섯과의 이목간(異目間)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融合) (Interorder Protoplast Fusion between Pleurotus ostreatus and Ganoderma applanatum)

  • 유영복;송문태;고승주;유창현;차동열;박용환;장권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9-123
    • /
    • 1989
  • 주름버섯목(目) 느타리버섯과 민주름버섯목(目) 잔나비걸상버섯과의 이목간(異目間) 원형질체(原形質體)를 polyethylene glycol로 유도하여 융합주(融合株) heterokaryon을 선발하였다. 버섯최소배지에서 극히 균사생장이 느렸으며 버섯완전배지에서 3번 계대배양되면서 다소 생장이 빨라졌다. 융합주 36균주의 75%는 양친의 균사가 혼합된 균총형태였으며 16.7%는 새로운 형태, 8.3%는 느타리버섯 형태이었다. 이들 중 양친의 균총(菌叢)이 혼합된 형태는 3번 계대배양 후 모두 느타리버섯 형태로 변하였다. 균사(菌絲)에는 클램프연결체가 없었고 원기(原基)도 형성하지 않았다. 융합주(融合株)를 전기영동법으로 esterase, malate dehydrogenase, peroxidase의 동위효소(同位酵素) 분석(分析)으로 비교하였는데 잔나비걸상버섯 효소는 뚜렷하지 않았으나 새로운 밴드의 형성으로 보아 두 양친 genome간의 상호작용이 존재하였다.

  • PDF

원형질체(原形質體) 융합(融合)에 의한 느타리와 여름느타리버섯의 종간(種間) 교잡(交雜)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Pleurotus ostreatus and Pleurotus sajor-caju by Protoplast Fusion)

  • 유영복;이행숙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78-385
    • /
    • 1994
  • 느타리 Pleurotus ostreatus와 여름느타리 Pleurotus sajor-caju의 영양요구주로부터 분리한 원형질체를 polyethylene glycol로 융합하여 종간 이질핵체 heterokaryon를 획득하였다. 불화합 균주간에는 9 융합조합에서 70개 융합주를 획득하여 7 융합주의 자실체를 유도하였으며 화합 균주간에는 1조합에서 모두 자실체를 형성하였다. 화합 균주간 융합주를 제외하고는 불화합성간 융합체는 꺽쇠연결체 clamp connections가 없었고 한천배지나 액체배지에서는 자실체를 형성하지 않았다. 그러나 활엽수톱밥과 미강이 혼합된 배지에서 균사가 완전히 성장한후 일정한 광과 온도를 처리한 결과 꺽쇠연결체 있는 균사가 다시 성장하였으며 이들 균사에서 버섯자실체가 형성되었다. 버섯자실체는 양친의 중간형태로 갓 색깔도 양친이 혼합된 orange grey-brownish grey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소의 자실체 형질인 자실층 hymenium, 버섯대, 생장습성은 느타리를 닮았는데 특히 여름느타리가 단생 closely scattered인데 비해 느타리는 속생 caespitose으로 느타리와 유사하였다. 자실체는 모두 꺽쇠연결체를 가졌으며 조직배앙한 결과 균사가 모두 꺽쇠연결체를 가져 본래 융합주와는 다른 형태로 변하였다. 6융합조합 8균주의 $F^2$에서의 유전형질 분리와 유전자 재조합을 분석한 결과 원영양형 prototroph이 양친 느타리형, 여름느타리형, 영양요구성 유전자 재조합형에 비해 많이 분리되었으며 3개조합에서 양친에 없는 유전자좌가 나타났다. 자실체가 형성되지 않는 융합주 P188과 사철느타리 ASI 2-3-rib와 균사접합 한 후 임성을 유도하여 유전분석한 결과 원영양형이 적게 분리되었고 여름느타리 양친형이 분리되지 않았으며 3친주 형질이 모두 유전자 재조합형으로 분리되었다.

  • PDF

잔나비 걸상버섯과 영지(靈芝)의 종간원형질체(種間原形質體) 융합(融合)과 자실체형성(子實體形成)에 관한 연구(硏究) (Interspecific Protoplast Fusion of Ganoderma applanatum and Ganoderma lucidum and Fruit Body Formation of the Fusants)

  • 박영도;유영복;신평균;유창현;차동열;박용환;이재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9-86
    • /
    • 1988
  • 잔나비걸상버섯과 영지(靈芝)버섯간(間)에 원형질체융합(原形質體融合)을 실시하여 융합(融合)된 균주(菌株)를 선발하있으며, 융합(融合)된 균주(菌株)를 배양(培養)하여 자실체(子實體)의 형성(形成)하였는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잔나비걸상버섯 영지(靈芝)버섯간(間)의 종간원형질체융합률(種間原形質體融合率)은 $0.77{\sim}l.38%$였다. 2. 융합(融合)된 균총(菌叢)은 MMM배지상(培地上)에서 균총(菌叢)의 형태적(形態的) 차이를 보이거나 균총(菌叢)의 중앙부위(中央部位)에 잃은 황양색(黃楊色)을 띄고 있었다. 3. 융합주(融合株)는 두 모균주(母菌株)의 장점을 지녔고 대체로 모균주(母菌株)보다 빠른 성장(成長)을 보였으며, 균주(菌株)에 따라서는 GCM 배지상(培地上)에서 segregation이 일어난다. 4. 융합주(融合株)의 균사체(菌絲體)에는 clamp connection이 없으나 segregation이 일어난 균사(菌絲)에서는 있는 것과 없는 균사(菌綿)가 혼재(混在)해 있있다. 5. 균사체(菌絲體)를 마쇄하여 전기영동(電氣泳動)에 의한 esterase isozyme pattern을 확인해 본 결과 모균주(母菌株)와는 전혀 다른 band를 나타내 었다. 6. 선발(選拔)한 30균주중(菌株中) 4균주(菌株)에서 자실체(子實體)가 형성(形成)되었으며 그 형태(形態)는 모균주(母菌株)의 자실체(子實體)와 차이를 보였다.

  • PDF

Bacillus natto 및 Bacillus megaterium의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Vitamin $B_{12}$의 생산 (Production of Vitamin $B_{12}$ by Using Protoplast Fusion between Bacillus natto and Bacillus megaterium)

  • 진성현;박법규;노명훈;김동규;류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11-617
    • /
    • 1990
  • Vitamin $B_{12}$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Bacillus natto와 vitamin $B_{12}$ 생산균주로 알려진 Bacillus megaterium IAM 1166 균주간의 종간 원형질체 융합을 시도하였다. 변이원 처리에 의해 활성이 우수하며 genetic marker로써 $thr^-try^-rif^r$인 Bacillus natto SH-34 및 $arg^-ade^-lys ^-str^r$의 genetic marker를 가진 Bacillus megaterium BK-13을 분리하였다. 원형질체 융합을 행하기 위하여 $500\;{\mu}g/ml$ lysozyme 처리시 원형질체 형성률과 재생률은 99% 및 67%를 나타내었다. 변이주 Bacillus natto SH-34 및 Bacillus megaterium BK-13간에 $1.0{\times}10^{-5}$을 나타내었다. 융합주 MNF-72는 vitamin $B_{12}$ 생산용 배지에서 $7.85\;{\mu}g/ml$의 높은 생산성을 나타내었으며, 융합주 MNF-72를 sodium alginate로 고정화를 하여 회분식 및 연속식 발효를 행하였을 때 72시간에 $0.58\;{\mu}g/ml.hr$$0.80\;{\mu}g/ml.hr$의 vitamin $B_{12}$를 생산하였다.

  • PDF

LOVASTATIN 고생산성 균주 개발 및 반응표면분석법 (RSM)에 의한 생산배지 최적화

  • 김제경;김경희;김현숙;이상종;장용근;정연호;정용섭;전계택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228-232
    • /
    • 2003
  • Lovastatin produced by Aspergillus terreus via polyketide pathway is a secondary metabolite with high anti-hypercholesterolemic activity.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present effective strain development strategies for lovastatin production by comparing the productivity of the mutants obtained through traditional rational screening process and protoplast fusion method. Mutants resistant against various antibiotics and/or antimetabolit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ovastatin productivity than the corresponding mother strains, demonstrating that rational screening method was very efficient in selecting high yielding producers. Recombinant fusants obtained using protoplast fusion between high producers were observed to have very different morphology and physiology as represented by the production and secretion of lovastatin, as well as cell growth pattern. In parallel with the strain development, optimization process for the production medium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optimal concentrations of the medium components using such a powerful statistical method as response surface method (RSM). It was concluded that not only the optimum production medium but also goo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igh-yielding producers led to higher lovastatin production.

  • PDF

효모의 이속간 원형질체 융합조건 (Conditions for Intergeneric Protoplast Fusion of Yeast)

  • Kim, Young-Ho;Seu, Jung-Hw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83-389
    • /
    • 1985
  • 전분을 발효할 수 있는 새로울 효모균수의 개발을 목적으로 PEG를 fusogen으로 사용하여 이속 효모간 원형질체 융합을 시도하였다. 원형질체 융합에 사용한 친균주의 genetic marker로는 상보적 영양요구성을 이용하였고 각각의 영양요구성이 상호보완되어 최소배지상에 자라는 colony를 융합체로하였다. S. cerevisiae와 C. tropicalis의 이속간 원형질체의 융합빈도는 $10^{-4}$에서 $10^{-6}$ 정도였으며, 원형질체 융합에 있어서 PEG 4,000. 30%가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최적 pH는 8.0이었으며, PEG의 처리효과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여 35$^{\circ}C$에서 최적을 나타내었고 또한 Ca이온의 첨가에 의해서도 증가하였는데 Ca 이온의 촉진효과는 1mM과 100mM 농도 사이에서 최고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