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impression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6초

Evaluation of functional suitable digital complete denture system based on 3D printing technology

  • Deng, Kehui;Chen, Hu;Wang, Yong;Zhou, Yongsheng;Sun, Yuchu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3권6호
    • /
    • pp.361-372
    • /
    • 2021
  • PURPOSE. To improve the clinical effects of complete denture use and simplify its clinical application, a digital complete denture restoration workflow (Functional Suitable Digital Complete Denture System, FSD) was proposed and preliminary clinical evaluation was done. MATERIALS AND METHODS. Forty edentulous patients were enrolled, of which half were treated by a prosthodontic chief physician, and the others were treated by a postgraduate student. Based on the primary impression and jaw relation obtained at the first visit, diagnostic denture was designed and printed to create a definitive impression, jaw relation, and esthetic confirmation at the second visit. A redesigned complete denture was printed as a mold to fabricate final denture that was delivered at the third visit. To evaluate accuracy of impression made by diagnostic denture, the final denture was used as a tray to make impression, and 3D comparison was used to analyze their difference.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 of FSD, visual analogue scores (VAS) were determined by both dentists and patients. RESULTS. Two visits were reduced before denture delivery. The RMS values of 3D comparison between the impression made via diagnostic dentures and the final dentures were 0.165 ± 0.033 mm in the upper jaw and 0.139 ± 0.031 mm in the lower jaw. VAS ratings were between 8.5 and 9.6 in the chief physician group, while 7.7 and 9.5 in the student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FSD can simplify the complete denture restoration process and reduce the number of visits. The accuracy of impressions made by diagnostic dentures was acceptable in clinic. The VASs of both dentists and patients were satisfied.

하악 치조제가 심하게 흡수된 환자에서 중립대 인상을 통한 총의치 수복 증례 (The neutral zone approach for restoration of patient with severe mandibular ridge resorption: A case report)

  • 남궁철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15
    • /
    • 2023
  • 심하게 위축된 하악 치조제의 경우, 총의치의 통상적인 기능인상 과정을 통해서는 의치의 적절한 유지력과 안정성을 얻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환자에서는 중립대 인상기법을 사용하는 방식이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중립 영역은 근육 신경계의 정상적인 구강 기능 동안 입 바깥쪽으로 향하는 혀의 압력과 안쪽으로 향하는 뺨과 입술의 압력이 균형을 이루는 영역으로 정의됩니다. 중립 영역 인상을 통해 만들어진 총의치는 유지력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구치 부위에 적절한 혀 공간을 제공합니다. 또한 인공치아 주변 부위의 음식물 찌꺼기가 줄어들고 적절한 안면 지지대를 통해 미관이 개선됩니다.

수종의 조직 양화재의 침수시간과 분액비에 따른 표면 거칠기의 변화 (Changes of the surface roughness depending on immersion time and powder/liquid ratio of various tissue conditioners)

  • 김경수;문홍석;심준성;정문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08-118
    • /
    • 2009
  • 연구목적: 1961년 Chase에 의해 처음 소개된 기능 인상법(functional impression technique)은 기존 의치에 이장된 조직 양화재(tissue conditioner)를 이용하여 실제 기능 운동 하에서 동적인 지지 조직의 인상과 기능적이며 생리적인 의치 변연부의 형태와 길이를 기록하는 술식이다. 조직 양화재가 기능 인상법의 재료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체적 안정성, 미세부 재현성, 흐름성 등의 특성과 함께 치과용 석고와의 적합성(compatibility)을 고려하여야 한다. 하지만 기능 인상법 재료로 조직 양화재를 사용할 경우 구강내 환경 속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석고 표면 거칠기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또한 그에 따라 석고 표면의 변화를 고려하여 어느 정도 기간 동안 구강 내에 유지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 양화재를 기능 인상법의 재료로서 사용할 경우, 조직 양화재의 종류와 분액비, 침수시간이 치과용 석고 표면 거칠기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임상적으로 많이 쓰이는 3종의 조직 양화재(Coe-Comfort, Visco-Gel, Soft-Liner)로 제조사에서 추천하는 분액비(P/L ratio)를 기준으로 표준 분액비에 따라 혼합한 군(R), 분말의 양을 20% 많이 혼합한 군(M), 분말의 양을 20% 적게 혼합한 군(L)으로 나누어 조직 양화재를 혼합하여 직경 20 mm, 두께 2 mm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각 조직 양화재 시편들을 다시 인공 타액 속의 침수시간(0시간, 1일, 3일, 5일, 7일)에 따라 5개의 군으로 나눈 뒤 인공 타액에 완전히 담구어 $37^{\circ}C$에서 보관하였다. 정해진 침수시간이 경과한 시편을 꺼내서 초경석고를 부어 석고 시편을 제작한 뒤 조직 양화재와 접해있던 석고 시편 표면의 거칠기를 접촉식 표면 조도기(Surfcoder SEF-30D, Kosaka laboratory Ltd., Tokyo, Japan)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결과 및 결론: 1. 조직 양화재로 부터 만들어진 석고 모형의 표면 거칠기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능 인상을 채득하기 위해 구강 내에 조직 양화재를 위치시키는 기간이었고, 그 외에 조직 양화재의 종류와 분액비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2. 3가지 P/L ratio 실험 조건 모두에서 Visco-Gel과 Soft-Liner 간에는 석고 모형의 표면 거칠기값이 침수시간이 변함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Coe-Comfort의 경우에는 침수시간이 변함에 따라 Soft-Liner와 Visco-Gel보다 석고 모형의 표면 거칠기값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더 큰 값을 보였다. 3. 3종의 실험 대상 조직 양화재 모두에서 R(recommended)와 M(more) group 간에는 석고 모형의 표면 거칠기값이 침수시간이 변함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L(less) group의 경우에는 침수시간이 변함에 따라 R과 M group보다 석고 모형의 표면 거칠기값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더 큰 값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석고 모형의 표면 거칠기에는 구강 내에서의 시간이 가장 큰 영향을 나타내며, 조직 양화재의 종류와 분액비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술자가 기능 인상 채득 시에 적절한 구강 내 적용시간에 대해서 잘 이해하고 있고, 기능 인상에 적합한 조직 양화재를 선별할 수 있다면 조직 양화재를 이용하여 유용하게 기능 인상을 채득할 수 있을 것이다.

FCST의 구강내 균형장치를 이용한 경추부 근긴장 이상증 증례보고 (Spasmodic Torticollis Case Managed by Intraoral Balancing Appliance of FCST)

  • 이영준;인창식
    • 턱관절균형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4-26
    • /
    • 2016
  • 경추부 근긴장 이상증에 대해 턱관절 자세균형 개념에 따라 구강내 균형장치를 활용한 자세훈련법 등의 치료로 긍정적인 호전을 관찰했다. 증례 보고이기는 하지만 턱관절 자세균형을 활용한 치료법에서 긍정적인 치료효과가 이어지고 있어서 앞으로 더욱 체계적인 관찰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전악 발치 환자에서 캠퍼그나 트레이를 적용한 즉시의치 수복 증례 (Fabrication of immediate complete denture using Campagna tray technique)

  • 김남훈;김종은;오경철;정문규;문홍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331-335
    • /
    • 2017
  • 잔존 자연치의 발치가 필요한 환자에서 즉시의치의 제작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즉시의치를 장착함으로써 환자가 무치악으로 지내는 기간 없이 심미 및 기능을 회복해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인상 채득이 어렵다는 점, 장착 후의 결과를 예측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잔존 자연치를 모두 발치해야 하는 49세 남환에서 캠퍼그나 트레이를 이용하여 최종 인상을 채득하고 수술용 형판을 이용하여 발치 및 치조골 성형술을 시행한 후, 즉시의치를 제작 및 장착하여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치료 결과를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치조제 흡수가 심한 환자에서 중립대를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Neutral zone approach for rehabilitation of severely atrophic maxillary and mandibular ridges: A case report)

  • 이자연;최순영;이지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07-412
    • /
    • 2016
  • 심하게 흡수된 치조제를 지닌 환자에게 적절한 의치를 제공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써 중립대 인상 기법을 이용한 의치의 제작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중립대 내에 인공 치아를 배열하는 것은 다음의 두 가지 목적을 이루고자 함이다. 첫째, 치아가 정상적인 근육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 둘째, 의치에 저항하여 가해지는 근육 조직의 힘이 안정과 유지에 더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증례의 환자는 심한 잔존 치조제의 흡수를 보이는 78세 여자 환자로 오랜 기간 불안정한 상 하악 총의치를 사용하고 있었다. 의치의 안정과 유지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중립대 인상 기법을 통한 새로운 의치의 제작을 계획하였다. Modeling compound를 이용하여 중립대를 인기하였으며 치아 배열 후 external impression을 시행함으로써 정확한 연마면을 형성할 수 있었다. 완성된 상 하악 총의치는 보다 향상된 안정과 유지를 보였으며 환자 역시 새로 제작된 의치에 만족감을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Accuracy of intraoral scans of edentulous jaws with different generations of intraoral scanners compared to laboratory scans

  • Kontis, Panagiotis;Guth, Jan-Frederik;Schubert, Oliver;Keul, Christine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3권5호
    • /
    • pp.316-326
    • /
    • 2021
  • PURPOSE. Purpose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determine the accuracy of different intraoral scans versus laboratory scans of impressions and casts for the digitization of an edentulous maxilla. MATERIALS AND METHODS. A PEEK model of an edentulous maxilla, featuring four hemispheres on the alveolar ridges in region 13, 17, 23 and 27, was industrially digitized to obtain a reference dataset (REF). Intraoral scans using Cerec Primescan AC (PRI) and Cerec AC Omnicam (OMN), as well as conventional impressions (scannable polyvinyl siloxane) were carried out (n = 25). Conventional impressions (E5I) and referring plaster casts were scanned with the inEOS X5 (E5M). All datasets were exported in STL and analyzed (Geomagic Qualify). Linear and angular differences were evaluated by virtually constructed measurement points in the centers of the hemispheres (P13, P17, P23, P27) and lines between the points (P17-P13, P17-P23, P17-P27). Kolmogorov-Smirnov test and Shapiro-Wilk test were performed to test for normal distribution, Kruskal-Wallis-H test, and Mann-Whitney-U test to detec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ueness, followed by 2-sample Kolmogorov-Smirnov test to detect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cision (P < .008). RESULTS. Group PRI showed the highest trueness in linear and angular parameters (P < .001), while group E5I showed the highest precision (P < .001). CONCLUSION. Intraoral scan data obtained using Primescan showed the highest trueness while the indirect digitization of impressions showed the highest precision. To enhance the workflow, indirect digitization of the impression itself appears to be a reasonable technique, as it combines fast access to the digital workflow with the possibility of functional impression of mucosal areas.

Gingival recontouring by provisional implant restoration for optimal emergence profile: report of two cases

  • Son, Mee-Kyoung;Jang, Hyun-Seo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1권6호
    • /
    • pp.302-308
    • /
    • 2011
  • Purpose: The emergence profile concept of an implant restor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esthetics and health of peri-implant soft tissue. This paper reports on two cases of gingival recontouring by the fabrication of a provisional implant restoration to produce an optimal emergence profile of a definitive implant restoration. Methods: After the second surgery, a preliminary impression was taken to make a soft tissue working cast. A provisional crown was fabricated on the model. The soft tissue around the implant fixture on the model was trimmed with a laboratory scalpel to produce the scalloped gingival form. Light curing composite resin was added to fill the space between the provisional crown base and trimmed gingiva. After 4 to 6 weeks, the final impression was taken to make a definitive implant restoration, where the soft tissue and tooth form were in harmony with the adjacent tooth. Results: At the first insertion of the provisional restoration, gum bleaching revealed gingival pressure. Four to six weeks after placing the provisional restoration, the gum reformed with harmony between the peri-implant gingiva and adjacent dentition. Conclusions: Gingival recontouring with a provisional implant restoration is a non-surgical and non-procedure-sensitive method. The implant restoration with the optimal emergence profile is expected to provide superior esthetic and functional results.

의치의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고려 요소: 증례보고 (Considerations for increasing denture stability: a case report)

  • 김지연;김형섭;배아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11-317
    • /
    • 2012
  • 총의치 장착시, 환자는 생리적으로 안정된 범위 내에서 자연스럽게 기능하기를 원하며 이를 위해서는, 안모의 회복(심미적 효과), 생물학적으로 안정된 인공치 배열과 외형, 의치 동요가 없는 교합접촉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증례보고에서는 총의치를 제작하기에 불리한 조건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인상면, 연마면, 교합면에 있어서의 의치의 안정을 증대시키기 위해, 기능적 변연 형성을 통한 인상채득, 중립대 확인, 생리적 중심위 재확립, 안정된 교합을 형성시켜 주었으며, 임상적으로 기능과 심미적인 측면에 있어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실리콘 폴리머의 비닐그룹에 대한 가교제의 Si-H 비율이 폴리비닐실록산 치과용 인상재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Variation of Silyl Hydride-to-Vinyl Ratios in Dental Polyvinylsiloxane Impression Materials)

  • 주동현;정영화;송호준;최창남;박영준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4권2호
    • /
    • pp.150-155
    • /
    • 2009
  • 본 연구는 폴리비닐실록산 치과용 고무인상재의 조성에서 실리콘 프리폴리머 내 비닐그룹에 대한 가교제내 Si-H 그룹의 함량비 차이가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SiH/Vinyl 비가 1.6으로 가교제 함량이 낮은 $\underline{C6}$군(Cross-linker $\underline{6}$ parts 함유)은 인장강도가 실험군 중 가장 높았으나 경화속도가 너무 느렸고, SiH/Vinyl 비가 3.2인 C12군은 기계적 성질은 좋았으나 경화가 너무 빠르게 진행되어 조작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을 보였다. 그러나 C14군은 가교제 함량이 더 낮은 실험군들에 비해 낮은 인장강도를 보였으며, C16군은 경화반응이 오히려 더 지연됨을 보여 과다한 가교제 첨가는 기계적 성질과 조작성에 불리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