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image

검색결과 740건 처리시간 0.024초

수술 중 신경계감시검사에서 검사에 따른 전극의 삽입 및 제거방법 (Principles of Intraoperative Neurophysiological Monitoring with Insertion and Removal of Electrodes)

  • 임성혁;박순부;문대영;김종식;최영두;박상구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53-461
    • /
    • 2019
  • 수술 중 발생하는 신경계 손상 여부를 감별하는 검사인 수술 중 신경계 모니터링(intraoperative neurophysiological monitoring, INM) 검사는 다양한 수술에서 안정적으로 수술이 잘 진행되고 있음을 확신하며 수술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매우 중요한 검사다. 수술실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검사의 최적화를 위하여 침 전극을 사용하여 검사를 진행하며, 수술실검사에 대하여 정확한 자극부위와 측정부위에 대한 교재나 안내책자가 없는 것이 실정이다. 그래서 이번 논문에서 운동유발전위검사, 체성감각유발전위검사, 청각유발전위검사, 시각유발전위검사에서 올바른 자극부위와 측정부위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을 하였다. 그리고 자유진행 및 유발근전도검사(free-running and triggered EMG)는 근육에서 발생하는 근전도의 관찰로 대부분의 뇌신경(cranial nerve)과 척수신경근(spinal nerve root)의 기능상태 파악을 한다. 검사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각각의 해당 근육에 전극을 삽입하는 사진을 첨부하였고, 척수신경근에 따른 해당근육도 표로 제시하였다. 검사 후 전극제거를 할 때에도 환자와 검사자 모두 안전한 방법을 제시하여 보다 완벽한 검사가 되었으면 한다.

Morphologic Alterations in Amygdala Subregions of Adult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 Lee, Hyun-Jae;Han, Kyu-Man;Kim, Aram;Kang, Wooyoung;Kang, Youbin;Kang, June;Won, Eunsoo;Tae, Woo-Suk;Ham, Byung-Joo
    • 생물정신의학
    • /
    • 제26권1호
    • /
    • pp.22-31
    • /
    • 2019
  • Objectives Previous studies have revealed inconsistent results on amygdala volume in adult bipolar disorder (BD) patients compared to healthy controls (HC). Since the amygdala encompasses multiple subregions, the subtle volume changes in each amygdala nucleus might have not been fully reflected in the measure of the total amygdala volume, causing discrepant results. Thus, we aimed to investigate volume changes in each amygdala subregion and their association with subtypes of BD, lithium use and clinical status of BD. Methods Fifty-five BD patients and 55 HC underwent T1-weighted structur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We analyzed volumes of the whole amygdala and each amygdala subregion, including the anterior amygdaloid area, cortico-amygdaloid transition area, basal, lateral, accessory basal, central, cortical, medial and paralaminar nuclei using the atlas in the FreeSurfer. The volume difference was analyzed using a one-way analysis of covariance with individual volumes as dependent variables, and age, sex, and total intracranial volume as covariates. Results The volumes of whole right amygdala and subregions including basal nucleus, accessory basal nucleus, anterior amygdaloid area, and cortico-amygdaloid transition area in the right amygdala of BD patients were significantly smaller for the HC group. No significant volume difference between bipolar I disorder and bipolar II disorder was found after the Bonferroni correction. The trend of larger volume in medial nucleus with lithium treatment was not significant after the Bonferroni correction.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llness duration and amygdala volume, and in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ere found between right central nucleus volume and depression severity. Conclusions Significant volume decrements of the whole amygdala, basal nucleus, accessory basal nucleus, anterior amygdaloid area, and cortico-amygdaloid transition area were found in the right hemisphere in adult BD patients, compared to HC group. We postulate that such volume changes are associated with altered functional activity and connectivity of amygdala nuclei in BD.

CNN을 활용한 새싹삼의 품질 예측 모델 개발 (A Quality Prediction Model for Ginseng Sprouts based on CNN)

  • 이충구;정석봉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30권2호
    • /
    • pp.41-48
    • /
    • 2021
  • 농촌 인구의 감소와 고령화가 지속되면서 농업 생상성 향상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농작물 품질에 대한 조기 예측은 농업 생산성 및 수익성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최근 CNN 기반의 딥러닝 기술 및 전이 학습을 활용하여 농작물의 질병을 분류하거나 수확량을 예측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수확 후 농작물의 품질을 식재단계에서 조기에 예측하는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 주목받고 있는 새싹삼을 대상으로, 수확 후 새싹삼의 품질을 식재단계에서 조기에 예측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묘삼의 이미지를 촬영한 후 수경재배를 통해 새싹삼을 재배하였고, 수확 후 새싹삼의 품질을 분류하여 실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다수의 CNN 기반의 사전 학습된 모델을 활용하여 새싹삼 조기 품질 예측 모델을 구축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모델의 학습 및 예측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예측 모델에서 80% 이상의 예측 정확도를 보였으며, 특히 ResNet152V2 기반의 예측 모델에서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인력에 의존하던 기존의 묘삼 선별 작업을 자동화하여 새싹삼의 품질을 높이고 생산량을 증대시켜 농가의 수익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화 속 클래식 음악의 기능분석:영화 <체실비치에서>를 중심으로 (Functional Analysis of Classical Music in Film: Focused on )

  • 강은수;안수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52-164
    • /
    • 2022
  • 이 논문은 도미니크 쿠크(Dominic Cooke)감독의 영화 <체실비치에서>(On Chesil Beach, 2017)의 줄거리와 클래식 음악과 영화의 의미연합 관계를 탐구하는 것으로, 내러티브에 의한 정보가 클래식 음악이 지닌 정보와 어떻게 연합하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베쉬위너(David Bashwiner)가 분석한 영화 <킹스 스피치>(King's Speech, 2010)의 마지막 장면과 베토벤 심포니의 음량 및 기악법 변화와의 관계, 그리고 안수환이 분석한 <그린 북>(Green Book, 2018)의 호텔 대화 장면과 드뷔시의 아라베스크에서 나타나는 변화에 의한 의미 연합 연구를 방법론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악곡이 지닌 음악 외적인 정보를 통하여 어떻게 청각적 의미를 생성하는 지를 슈만의 '트로이메라이'를 활용한 분석을 선행연구로 삼아 방법론으로 활용하였다. 영화 <체실비치에서>에는 모차르트의 K.593과 하이든의 Op.77 No.1, 그리고 슈베르트의 D. 810이 활용되었다. 본 연구는 <체실비치에서>에 나타난 모차르트, 하이든, 슈베르트의 곡이 어떤 기능을 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영화는 등장인물들의 관계와 내면적 의도를 표현하기 위하여 악기 간의 관계, 음악적 정보와 음악외적 정보 등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클래식 음악의 정보들과 영화의 줄거리적 핵심 정보는 감상의 이해를 향상시키는 기능이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다.

미백 기능성 화장품 원료의 유효성 평가를 위한 In Vitro 색소화피부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n In Vitro Pigmented Skin Model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Whitening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s)

  • 김설영;이건희;곽은지;김수지;이수현;임경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97-30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미백 기능성 화장품 및 원료의 효능을 평가하는 동물대체시험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세포수준과 색소화피부모델(KeraSkin-MTM)에서 기존에 잘 알려진 4종의 미백기능성원료(arbutin, ascorbic acid, kojic acid, niacinamide)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특히 기존 시험법의 보완을 위해 인체피부유래 케라틴세포와 멜라닌세포를 혼합하고 공배양하여 색소화피부모델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색소화피부모델을 이용하여 미백효능을 평가함으로써 세포수준에서는 확인이 어려웠던 각 피부세포층에 따른 멜라닌 과립과 멜라닌캡(melanin cap)의 분포 등의 지표들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미지분석을 통한 정량화로 음성대조군 대비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KeraSkin-MTM을 이용한 미백효능평가법이 기존에 사용하던 총멜라닌함량와 타이로시나아제 저해 평가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평가법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웹뷰어를 이용한 기공실과 진료실 측 간의 보철물 설계 형태의 공유: 증례 보고 (Web viewer for sharing of prosthesis design between laboratory and clinic: Case report)

  • 장성원;이호진;김소연;이두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276-282
    • /
    • 2022
  • 성공적인 보철 수복물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치과의사와 치과기공사 간의 긴밀한 의사소통은 중요한 요소이다. 치과기공사와 의견 교환은 주로 기공의뢰서와 사진촬영의 형태로 이루어져 왔으나 정보 전달이 제한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현재는 디지털 기술에 기반을 둔 보철물 제작이 일반화됨에 따라 영상 객체를 웹상에 저장하고 모바일 브라우저를 통해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CAD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설계하고 웹뷰어를 통해 치과의사와 설계된 보철물을 검토하여 보철물의 설계를 개선한 증례들을 소개한다. 본 프로토콜을 통해 교합면 및 치관 형태, 대합치 치료, 치은측 치간 공극의 크기, 가공치 하방 형태 등을 개선할 수 있었다. 이러한 웹뷰어를 통한 보철물 설계를 3차원적으로 치과의사와 공유하고 토의하여 수정하는 과정은 구강내 조건의 다양성과 개별화된 요구를 반영하는 데 기여하여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보철물을 제작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비대면 미디 수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Non-Face-to-Face Midi Classes)

  • 백성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67-277
    • /
    • 2021
  •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교수자와 학습자는 비대면 수업을 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갑작스러운 상황에 충분한 준비를 하지 못한 상태에서 비대면 수업이 진행되었고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했다. 본 연구는 비대면 미디 수업 시 생기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면과 비대면 수업 시 사용할 수 있는 기자재의 차이로 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컴퓨터 운영 체제에 상관없이 설치 가능하고 기능에 제한 없이 무료 사용할 수 있는 DAW인 리퍼(Reaper)를 사용하는 것으로 개선 방안을 찾을 수 있었다. 둘째, 줌(Zoom)의 화면 공유 기능을 사용할 시 DAW에서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드라이버를 선택할 수 없어 레이턴시(Latency)를 줄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교수자 관점에서는 오디오 아웃풋을 인풋으로 다시 받아 송출하는 방식으로 개선하였다. 또한 Windows 운영체제를 사용하며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없는 학습자는 실습 시 레이턴시로 인한 불편함이 생기는데 Asio4all을 설치하여 레이턴시를 줄일 수 있었다. 셋째, 컴퓨터의 리소스 부족으로 화질 저하 및 화면 끊김 현상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캡처 보드를 사용하여 2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리소스를 분산하여 고화질을 유지하면서 화면 끊김 현상을 개선할 수 있었으며, 비엔나 앙상블 프로를 사용하여 1대의 컴퓨터를 더 연결하여 추가 리소스를 확보하여 더 많은 플러그인을 사용하면서 비대면 미디 수업을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에 성공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면 미디 수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었다.

초음파 결합형 압통계를 활용한 압통시 소화불량 환자와 건강인의 복강내 조직 변화 비교: 비무작위 대조군 예비 임상시험 (Investigation of changes in abdominal cavity between dyspepsia patients and healthy participants when pressure pain occurs using an algometer combined with an ultrasound device: a non-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 임진웅;정태성;정호석;강선이;최창민;김동웅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3-52
    • /
    • 2023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the abdominal cavity between functional dyspepsia patients and healthy people using an algometer combined with an ultrasound device. Methods : A non-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was conducted. Thirty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fifteen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were recruited. We collected demographical data, and measured abdominal circumference, height of the body cavity, subcutaneous fat thickness, visual analogue scale of dyspepsia symptoms in the experimental group, depth of algometer and pressure of algometer when pressure pain occurred, and the whole ultrasonic image from the beginning of pressurization to the time when pressure pain occurred. The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twice with the duration of 1 week. Generalized linear regression was conducted to adjust baseline characteristics. Results : A total of 45 participants (30 in experimental group, 15 in control group) were recruited and finished the trial. Females were recruited m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ifference in thickness of abdominal cavity between a second before the pressure pain and at the time when pressure pain occurre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1st visit, and other measuremen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rom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differences in the thickness of stomach and up to abdominal aorta on 1st visit, and the thickness of stomach on 2nd visit, and other measurement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bdominal examination when pressure pain occurred between dyspepsia patients and healthy people.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assess the abdominal examination using devices including algometer and ultrasound devices, regarding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노인장기요양보호 인력의 소진 예측 요인 (Predictors of Burnout among Staff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 이주재
    • 한국노년학
    • /
    • 제31권1호
    • /
    • pp.97-109
    • /
    • 2011
  • 이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호 인력의 소진 예측 요인을 살펴보고,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인력의 소진 예방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호는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을 혼자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 등에게 신체활동 또는 가사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전남지역 노인장기 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직원 216명이고, 자료수집은 자기기입식 방법의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 12.0을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인력의 소진 척도는 22개 항목의 3가지 하위척도, 즉 정서적 고갈, 탈인격화, 자아성취감의 감소로 구성된 MBI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직무요인인 클라이언트 요인, 업무과중, 역할갈등, 수급자 가족과 갈등이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고, 동료의 정서적 지지가 소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노인장기요양보호 인력의 전문적 지위와 평판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 보완과 소진을 예방하는데 동료의 정서적 지지 체계가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결론으로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인력의 소진 예방을 위한 제도적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생명 현상에 대한 과학적 가설 생성과 수리 연산에서 나타나는 두뇌 활성: fMRI 연구 (Brain Activation in Generating Hypothesis about Biological Phenomena and the Processing of Mental Arithmetic: An fMRI Study)

  • 권용주;신동훈;이준기;양일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3-104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 가설 생성 과정의 두뇌 활성화 특성을 수리 연산 과정과 비교하여 3.0T fMRI를 이용하여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6명의 건강한 남자 피험자가 실험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으며, 과학적 가설 생성 과제와 수리 연산 과제를 684초 동안 수행하여 fMRI 영상을 측정하였다. 측정한 후 언어적 보고 자료를 수집하여 fMRI 영상 자료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언어적 보고의 분석 결과 수집한 fMRI 영상 자료 전부를 통계적 분석 대상 자료에 포함시켰다. SPM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과학적 가설 생성 과정은 수리 연산 과정과 다른 독립적인 두뇌 네트 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적 가설 생성 과정에서는 측두엽의 방추이랑(fusiform gyrus)에서 의문 상황 분석으로 이끌어내진 의미가 전두엽에서 부호화하는 과정이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 수리 연산 과정은 전두엽과 두정엽의 연합된 영역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기능적 숙련도는 두정엽 영역이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과학적 가설 생성 과정에서는 과학적 감성의 생성도 동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과학적 가설 생성 과정을 두뇌 과학적 측면에서 고찰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과학적 가설 생성 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과학적 가설 생성 학습 프로그램은 두뇌-기반 학습의 한 전형으로 제안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