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healthy drink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39초

약용식물과 커피 혼합물로부터 기능성 건강음료의 항균 및 항산화 효과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Effects of Functional Healthy Drinks from Some Medicinal Herbs and Coffee Mixture)

  • 김인혜;김진균;이재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225-1231
    • /
    • 2016
  • 본 연구에서 기존의 생리활성이 알려진 차가 버섯(Inonatus obliquus), 모링가(Moringa oleifera), 그라비올라(Anona muricata), 단풍마(Dioscorea quinquelaba), 가시오가피(Acanhopanax senticosus), 음양곽(Epimedii herba),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그리고 오디(Morus alba) 추출물과 원두커피를 혼합하여 기능성 음료를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음료를 C1에서 C7으로 명명하였다. 각 음료의 항균, 항곰팡이, 항산화 활성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을 조사하였다. 항균 및 항곰팡이에 대한 활성은 Gram positive bacteria인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C4, C5, C6 및 C7이 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C7인 경우 항생제 내성균주인 MRSA에 대하여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Gram negative bacteria에 대한 결과는 E. coli D31에 대하여 1.0 mg/ml의 농도에서 C1에서 C7 모든 음료가 활성을 나타내었고, 반면에 곰팡이인 Candida albicans에 대하여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C6의 경우가 7.37 mg/g으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C5의 경우는 3.78 mg/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로 항산화 능력을 측정한 결과, C1에서 C7 모두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C7인 경우 0.5 mg/ml의 농도에서 88%라는 높은 free radical 소거능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각 기능성 음료의 생리활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다양한 기능성 건강음료뿐 만 아니라 고부가가치 기능성 제품을 창출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 것으로 생각된다.

참취의 고부가 식품이용화를 위한 품질특성 및 기능성 건강음료 개발 (Quality characteristics of Aster scaber and development of functional healthy drinks using its extract)

  • 김수정;김재광;김건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0-316
    • /
    • 2004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잘 알고 있고 널리 섭취하고 있는 산채류 중 취나물의 일종인 참취의 이용가치를 높이기 위해 실시하였다. 품질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섬유소, 탄닌, 무기질, 색도, texture를 측정하였다 참취에는 섬유소가 0.68g/100g 함유되어 있었고, 수렴작용을 갖는 탄닌은 35.6ppm/g 함유 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 Fe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참취에서 290.98mg/kg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부가 식품이용화 가치를 판단하기 위해서 참취를 생잎, 나물과 샐러드로 제조해서 관능검사를 시행한 결과 참취 나물에 대한 전반적인 선호도가 다른 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20대보다는 30대, 40대 이상에서 전체적인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참취 곰취 추출물을 이용하여 현대인의 건강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음료를 개발하였다. 참취ㆍ곰취 음료의 제조조건 확립을 위하여 관능검사를 통해 recipe를 결정하였다. 결정된 recipe로 음료를 제조한 후 유통기한 설정을 위해 가용성 고형물, optical density, pH, 적정산도 및 미생물 등의 품질분석을 실시하여 유통기한을 18개월로 정하였다.

여성의 연령에 따른 한국 전통음료의 음용실태 및 선호도에 관한 조사 분석 (An Analysis of Consumption and Preferences of the Korean Traditional Drinks by Women in Different Age Groups)

  • 한은숙;노숙령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397-40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omen's consumption and preferences of the Korean traditional drinks. For this purpose, 205 women aged between teens and 60s living in Seoul were sampled randomly for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from August 21 to 27, 2003.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ercentile of age groups accounted for 15.6% of the subjects in their teens, 19.5% in 20s, 18.0% in 30s, 20.5% in 40s, 13.7% in 50s, and 12.7% in 60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ose who graduated from colleges accounted for most (49.8%) of the subjects, those employed by companies for most (23.9%) and those earning 2 million wons or more for most (40.5%). Subjects' preferences about the traditional drinks were as follows: The most popular traditional drink across all age groups was Sikhe (29.8%: fermented rice drink), followed by Sujonggwa (10.7%: dried persimmons punch) and green tea (8.8%). Most of those in their teens and 60s consumed the drinks to relieve from the thirst, while those between 20s and 50s to be healthy. The majority (31.7%) of the subjects were consuming the traditional drinks once or twice per week. Those in their teens and 40s consumed the drinks between 3 and 5 o'clock in the afternoon, while those in their 20s, 30s and 50s as they want, and those in their 60s after exercise and as they pleased. 63.4% of the subjects across all age groups bought the drinks at supermarkets, and 60.5% of them were consuming 200ml each time. The reasons of subjects' preferences of the traditional drinks were as follows: The most important factor perceived by all age groups was taste (61.0%), followed by nutrition (15.6%). The most preferred point of taste was 'light' (51.7%). Those in their teens preferred the drinks without grains, while the other age groups preferred the drinks with some grains. Those in their teens preferred canned drinks, while the other age groups preferred the bottled drinks. Consumers' desire for improvement of traditional drinks were as follows: Those in their teens and 20s were satisfied with the current prices of the drinks, while the other age groups hoped for lower prices. On the other hand, those in their 50s answered that the drinks should not be sweet, while the other age groups hoped that the tastes of the drinks would be improved in diverse ways. 53.2% of the consumers hoped that the flavors of the traditional drinks would be diversified. 67.3% of them hoped that the traditional drinks would be improved to be functional drinks, while 54.6% of them hoped that the drinks would be processed in a more hygienic way.

  • PDF

생맥산의 처방을 응용한 전통음료의 개발 (Development of Traditional Drinks using Sangmaksan)

  • 백은경;허남윤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66-178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healthy and functional drink using red ginseng, maekmoondong and omija using Saengmaeksan. Since the red ginseng extract was used as a raw material, it was diluted from 1,000 to 1,500 times using distilled water and the highest sensory score was obtained when the red ginseng extract was diluted to 1,500 times. When the red ginseng extract was mired with omija and maekmoondong,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ratio of 1: 20 : 1, 1 : 21 : 1 and 1: 22: 1 (red ginseng : omija : maekmoondong). In case of sweetener, honey showed the highest sensory store compared to sucrose, pear extract apple extract, sucralose and aspartame. Additionally, the sweetness was evaluated using all sweeteners and 10 brix or 11 brix showed the highest sensory score. Therefore, red ginseng extract was first mixed with omija and maekmoondong in the ratio of 1 : 20 : 1, and distilled water was added to 1,500 times of the amount of red ginseng extract. Honey was finally added to the mixture to obtain 10 brix concentration and this was highly acceptable.

  • PDF

탈지 홍화씨박 에탄올추출물 함유 기능성 건강음료의 제조 (Preparation of Functional Healthy Drinks by Ethanol Extracts from Defatted Safflower Seed Cake)

  • 김준한;김종국;강우원;김귀영;최명숙;문광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039-1045
    • /
    • 2003
  • 탈지 홍화씨박 에탄올추출 동결건조분말을 첨가한 기능성 건강음료의 제조와 유용성분을 조사하였다. 수율은 60% 에탄올추출 동결건조분말이 8.42%로 가장 높았고, 당도는 10.6∼ 13.8%, pH는 2.90∼3.68, 적정산도 0.10∼0.83 수준이었다. L값은 DSD-I가 94.82$\pm$2.45, a값과 b값을 DSD-V가 27.15$\pm$2.65와 28.67$\pm$2.69로 높은 값을 보였다. Glucose는 6015.3∼7918.2mg%, sucrose는 1511.4∼2091.0mg% 수준으로 음료의 주된 당으로 확인되었고, 유기산으로는 citric acid가 179.2∼981.3mg% 수준이었다. 총페놀 함량은 60% 에탄올추출 동결건조분말이 99.17mg%와 DSD-II 307.84mg%와 DSD-V에 224.06mg%로 많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80% 에탄올추출 동결건조분말에 50.29mg%와 DSD-V에 125.20mg%로 다소 많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 Serotonin-I 함량은 80% 에탄올추출 동결건조 분말에 18.81 ppm과 음료는 2.42∼2.89 ppm 수준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Serotonin-II함량 역시 80% 에탄올추출 동결건조분말에 30.17 ppm과 음료는 3.79∼4.59 ppm 수준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Acacetin 함량은 amyloglucosidase 가수분해 후 60% 에탄올추출 동결건조분말에 9.83 ppm과 음료는 0.98∼1.26ppm 수준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EDA(%)는 amyloglucosidase 가수분해 후 60% 에탄올추출 동결건조분말이 93.97$\pm$2.21%와 음료는 DSD-I이 94.79$\pm$2.26%와 DSD-II가 94.69$\pm$1.37%로 BHA 100 ppm 농도 93.83$\pm$1.49%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음료의 관능평가에서는 1% 인삼추출액과 홍화 황색색소를 첨가하여 제조한 DSD-II가 전반적으로 높은 관능 점수를 얻었다.

가시오가피를 이용한 기능성 건강음료의 제조 (Preparation of Functional Healthy Drinks by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s)

  • 성미선;정회윤;최준혁;이성철;최보화;박성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9호
    • /
    • pp.959-96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가시오가피 줄기를 이용하여 농축액을 제조한 후 운동수행능력 증진 효과를 확인하고, 관능검사를 통해 가시오가피의 유용한 기능적인 특성을 살린 기호성 있는 건강 음료를 제조한 후 그 품질 특성을 조사하여 가공식품 및 식품소재로서 가시오가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건가시오가피 줄기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함량 $6.50{\pm}0.12%$, 조단백질 $5.89{\pm}0.16%$, 조지방 $1.18{\pm}0.11%$, 조회분 $3.03{\pm}0.40%$로 나타났다. 건가시오가피 줄기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가시오가피 농축액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증류수로 희석한 10% 농축액에서 $87.42{\pm}1.63%$로 나타나 positive control인 butylated hydroxy anisole (BHA) 1%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 $88.65{\pm}2.42%$와 비슷한 수준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최대운동수행능력을 측정한 결과 가시오가피 농축액을 섭취한 생쥐에서 대조군 생쥐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운동수행 거리와 시간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관능검사를 통해 선호도가 가장 높은 가시오가피 음료를 제조하여 그 특성을 확인한 결과 당도는 $14.9^{\circ}Brix$, pH는 4.51, 색도는 L값(명도) -62.70, a값(적색도) 3.67, b값(황색도) -6.12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가시오가피 농축액을 이용한 기호도가 증진된 기능성 음료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발효천마분말의 품질특성과 기호도 조사 (Quality Properties and Preference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 김정미;문용선;윤경영;서상곤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3호
    • /
    • pp.507-514
    • /
    • 2010
  • 본 연구는 불쾌한 맛과 향으로 인해 식품재료로서의 한계가 있는 천마를 식품재료로써의 이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천마를 발효한 후 일반성분, pH, 항산화 활성, 색도 및 분산성과 용해성 등을 일반 천마분말과 측정 비교 하였다. 또한 일반 및 발효천마분말에 오렌지주스 및 요구르트를 첨가하여 혼합음료를 제조하고 이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발효천마의 일반 성분분석 결과 탄수화물의 함량은 발효에 의해 감소하였으나, 조지방, 조회분, 조단백, 조섬유에서 일반천마보다 더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pH는 발효천마분말이 일반천마분말보다 알칼리성을 나타내었으며, 발효천마분말은 비타민C 또는 일반천마분말과 유사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입자가 클수록 분산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용해성은 60-70mesh의 분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60-70mesh 입자크기에서 용해성과 분산성이 가장 우수했다. 명도는 일반천마분말이 더 밝은 빛을 띠어 색 선호도에서 높은 평가를 얻었다. 천마의 관능검사 결과 발효천마분말과 혼합음료가 맛, 향, 조직감, 기호도에서 일반 천마분말보다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그 중 발효천마분말과 요구르트 혼합음료의 맛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따라서 천마가 발효 되면서 천마특유의 불쾌한 맛이나 냄새가 적어져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성분, 항산화 효과도 천마분말보다 발효천마분말이 우의를 나타내 일반천마분말에 비해 발효천마분말이 식품재료로서의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