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migant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3초

문화재의 생물열화 방제-훈증처리를 중심으로 (Biodeterioration of Cultural Property and Fumigation)

  • 이호봉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13호
    • /
    • pp.69-80
    • /
    • 1992
  • A great numbers of cultural properties destroyed though attack by insect pests and microorganisms. Biodeterioration damage is particularly serious in this country because many cultural propertiese are made of organic materials. Recently, there are various countermeasures of biodeterioration or alternative methods are reported, such as Gamma Radiation, Micro-wave Irridation, Freezing, Inert Atmosphere (Oxygen-less atmosphere), and Environmental Control. However its practical application are limited and some difficulties for treatment of large objects. Fumigation is one of the most useful and effective methods of control biodeterioration because it gives less damage of cultural properties but rapidly eradicate infesting organisms at one action. This paper evaluated selected fumigants and fumigation methods with emphasis on the following paragraph:1) Effectiveness of selected fumigants on insects and microbes involved inbiodeterioration.2)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s of selected fumigants.3) Less toxic new alternative fumigant and its mixtures.4) Inert atmosphere (Oxygen-less atmosphere)5) Methods of fumigation : Sealed fumigation, Covered fumigation and Vacuum fumigation (Reduced-pressure fumigation)

  • PDF

대형싸이로에 있어서 훈증제의 수직적 침투력 (A Study on Gravity Penetration of Fumigants in the Jumbo Silo)

  • 하재규;오정우;유기열;김병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3-106
    • /
    • 1981
  • 이 시험은 수직싸이로에서 대두를 훈증소독하는 경우 훈증제별로 침투확산력을 조사할 목적으로 실시한것으로써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두의 표면에 M.B를 단독으로 투약한 경우 M.B Gas의 침투확산속도는 대만히 빨라 투약후 4시간 이내에 싸이로 기부에 60mg/l 이상의 M.B Gas가 검출되었으며 10시간 이후로부터는 M.B Gas의 농도가 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2. M.B Gas의 Carrier로 $CO_2$ Gas를 동시에 사용하였을 때는 M.B Gas의 침투확산속도가 M.B 단독 사용시보다 더욱 빨라져 투약후 1.5 시간이내에 싸이로 기부의 M.B Gas 농도는 70mg/l 이상을 나타내었다. 3. Phostoxin을 투약한 경우는 M.B를 투약한 경우 와는 반대로 침투확산력이 매우 미약하여 투약후 48시간동안 싸이로의 기부에서 10mg/l 이상의 농도를 검지할 수 없었다. 4. 소독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공시충으로 쌀바구미를 싸이로 기부에 삽입하였던바 M.B 및 $CO_2$구에서 는 완전한 살충효과를 얻었으나 Phostoxin 사용구에서는 대부분 생충으로 발견되었다.

  • PDF

수출분재 주요 해충인 알락하늘소와 유리알락하늘소에 대한 포스핀 훈증 효과 검정 (Evaluation of Phosphine Efficacy on Anoplophora chinensis and A. glabripennis in Export Bonsai)

  • 이상명;정영학;이병호;김봉수;박민구;이동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151-160
    • /
    • 2018
  • 알락하늘소(Anoplophora chinensis)와 유리알락하늘소(A. glabripennis)는 전 세계적으로 검역상 중요한 하늘소과 해충이다. 우리나라에서 이들은 자연 기주목과 분재에서 피해를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재에서 phosphine의 이들 두 하늘소에 대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Phosphine은 솔수염하늘소 유충과 알에 대해 높은 훈증효과를 보였다. $2g/m^3$ 농도의 phosphine을 24시간 훈증처리 시 유리알락하늘소와 알락하늘소 난은 부화하지 못하였고, 알락하늘소 유충은 동일농도에 168시간 훈증처리 시 100% 치사되었다. 분재 생육기(2월)나 휴면기(1월) 모두에서 phosphine 훈증제는 $2g/m^3$ 농도에서 두 알락하늘소를 100% 치사시켰다. 그러나 2월에 각 분재목[단풍나무(Acer palmatum)와 소사나무(Carpinus turczaninowii), 아그배나무(Malus sieboldii)]을 대상으로 훈증처리 시, 세 수종 모두에서 잎과 꽃잎의 크기가 작아지고, 꽃의 개화가 지연되는 약해가 발생되었다.

오이 시설재배시 고구마뿌리혹선충의 경제적피해한계 (Economic Threshold of Meloidogyne incognita for Greenhouse Grown Cucumber in Korea)

  • 김동근;이중환
    • 식물병연구
    • /
    • 제14권2호
    • /
    • pp.117-121
    • /
    • 2008
  • 고구마 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의 시설재배 오이에 대한 경제적 피해한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비닐하우스 내에 합판으로 만든 박스($30{\times}40{\times}15cm$)를 묻고 박스 내 토양 $100cm^3$당 뿌리혹선충 유충의 밀도를 0, 10, 30, 100, 300, 600마리로 조정된 토양을 넣었다. 각 박스에는 '장수신토좌'에 접붙인 '슈퍼만촌'오이 23일 묘를 8월 1일 1포기씩 심고 11월까지 각 구당 오이 수확량을 조사하였다. 뿌리혹선충의 유충밀도와 수량과의 회귀식은 $Y=0.82-0.04{\cdot}Log_{10}$(Pi+1)로 방제 비용을 감안한 경제적 피해 허용 수준은 정식전 뿌리혹선충 유충의 밀도가 토양 $1,000cm^3$당 5마리이면 살선충제 입제 살포가 경제적이고, 유충의 밀도가 토양 $1,000cm^3$당 25마리 이상이면 훈증제를 처리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오이 시설재배시 뿌리혹선충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정식 수개월 전에 미리 토양 선충 밀도를 조사해야 할 것이다.

토양훈증제 처리가 2년생 인삼의 생육과 화학적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fumigation treatment on the growth an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 안용준;김요태;김명수;최승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1-36
    • /
    • 1981
  • D-D외 3종의 토양훈증제를 인삼의 연작토에 15cm, 30cm 깊이로 처리하였을 때 2년생인삼의 생육과 화학적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1980년 3월 7일 처리, 4월 1일 이식, 8월 19일에 채취하여 근, 경, 엽으로 나누어 일반 무기성분(N, P, K, Ca, Mg, Na, Fe, Mn, Zn)을 분석한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훈증제처리가 2년생인삼의 지상하부의 생육을 촉진하였는데, 지하부 생체중의 경우 $2.8\~58.4\%$, 건물중의 경우 $8.1\~63.8\%$ 증가하였다. 2. 지상하부의 질소와 인산의 함량은 훈증제처리구에서 무처리구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나, a의 경우에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K의 경우에 있어서는 지하부에서는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지하부에서는 증가하였다. 3. 미량요소의 경우에 있어서는 Mn, Fe의 함량은 훈증제처리구에서 증가하였으나, Na, Zn의 함량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4. 훈증제의 처리깊이(15cm, 30cm)에 따른 차이에서 보면 2년생인삼의 생육과 화학적조성에는 별다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 PDF

이산화염소 처리에 따른 화랑곡나방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 활성 증가와 음성주광성 행동 변화 (Enhanced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of the Indianmeal Moth, Plodia interpunctella, Under Chlorine Dioxide Treatment and Altered Negative Phototaxis Behavior)

  • 김민현;권혁;권현식;김욱;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27-33
    • /
    • 2016
  • 이산화염소는 병원미생물에 대한 소독제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저곡해충에 대한 이산화염소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살충력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산화염소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대상 곤충의 체내 분자 종말점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ctella)의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가 이산화염소의 분자표적으로 가정하고 노출에 따른 이 효소의 활성을 분석하였다.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 활성은 화랑곡나방 발육 시기에 따라 상이했다. 화랑곡나방 5령 유충에서 치사를 일으킬 수 있는 이산화염소 농도 처리는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 활성을 뚜렷하게 증가시켰다. 또한 훈증제 형태의 이산화염소 처리에서도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 활성 증가가 유발되었다. 화랑곡 나방 5령 유충은 음성주광성을 보이는 데, 이산화염소 처리는 이 선천성 행동을 교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가 이산화염소 처리에 따른 산화적 스트레스의 분자표적 가운데 하나라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약충에 대한 에틸포메이트 훈증 독성의 생화학적 메커니즘 (Biochemical mechanisms of fumigant toxicity by ethyl formate towards Myzus persicae nymphs)

  • 김경남;이병호;박정선;양정오;이성은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3호
    • /
    • pp.271-277
    • /
    • 2017
  • 에틸포메이트는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훈증제로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농산업에서 해충을 박멸하기 위하여 사용된 이 물질이 일으키는 훈증독성의 작용점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복숭아혹진딧물 약충에 에틸포메이트를 훈증 처리 하였을 때 추측 가능한 작용점들을 제시하였다. 에틸포메이트 훈증 처리 후 복숭아혹진딧물 약충에 대한 생화학 및 분자적 수준에서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Cytochrome c oxidase (COX)의 활성은 에틸포메이트 훈증 처리된 복숭아혹진딧물 약충에서 약 2배 이상 증가하였다. Acetylcholinesterase (AChE)의 경우 에틸포메이트의 훈증 처리 농도가 증가됨과 함께 유전자 발현이 감소되었다. 이 두 발견은 COX와 AChE가 주요한 에틸포메이트 훈증독성의 작용점임을 시사하였다. 이 결과들과 함께 MALDI-TOF MS/MS를 이용하여 지질대사체를 분석한 후 2배 이상 증감을 보인 9종 인지질들을 동정하였고 이들이 세포막 조성에 변화를 유발함을 밝혔다. 결론적으로 복숭아혹진딧물 약충에 대한 에틸포메이트의 훈증독성은 COX 활성 변화, AChE 발현 변화, 그리고 인지질의 생성 변화에 기인하였다.

토양 훈증 및 녹비작물 재배가 인삼의 연작장해 경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Fumigation and Maize Cultivation on Reduction of Replant Failure in Ginseng)

  • 이성우;이승호;서문원;장인복;장인배;유진;문지원;서수정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8-253
    • /
    • 2018
  • Background: Dazomet are widely used as soil fumigant to solve soilborne problems, and the degradation intermediates are toxic to nematodes, fungi, bacteria, insects and weeds. Methods and Results: The effects of cultivation of green manure crop, maize before and after soil fumigation on the control of ginseng root rot disease were compared using soil where 6-years-old ginseng was harvested. Fumigant (dazomet) were used for soil fumigation in May and September, respectively. Maize was grown for soil management before and after soil fumigation. After May fumigation, the sowing date of maize was delayed by 15 days and thus its dry weight was decreased significantly. Maize cultivation after May fumigation increased pH but decreased EC, $NO_3$, $P_2O_5$, and K significantly. Maize cultivation after May fumigation decreased fungi population and the ratio of fungi and bacteria. Growth of 2-years-old ginseng was improved and the incidence of ginseng root ro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maize cultivation after May fumigation. After harvesting 2-years-old ginseng, the population of Cylindrocarpon destructans was not different between treatment of May and September, but Fusarium solani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eptember fumigation after maize cultivation. Conclusions: Maize cultivation after soil fumigation was effective in inhibiting ginseng root rot by the amendment of mineral composition and microorganism in fumigated soil.

메틸브로마이드 훈증제 작업자의 요 중 브로마이드 이온을 이용한 생물학적 노출평가 (Exposure Assessment of Biological Monitoring by Urinary Bromide Ion in Methyl Bromide Fumigation Workers)

  • 서정욱;김병권;김유미;이세영;김나영;임현주;구동철;홍영습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675-687
    • /
    • 2019
  • Objective: Methyl bromide (MB) fumigant has been shown to be fatal to human when was exposed. However, it were still used the significant amount in quarantine disinfection sit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MB exposure status and characteristics by fumigation-related workers and to provide supporting data for management plan. Methods: For this study, the three groups related to fumigation work were composed. A total of 107 workers were directly exposed, 20 field inspectors were indirect, and 20 general quarantines were not exposed. The urinary bromide ion concentrations in each group were analyzed by using HPLC/ICP-MS, and the working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Results: The urinary bromide ion concentration in the exposed group of fumigation workers was higher than the indirect and non-exposed groups. In the work characteristics of workers, there was a significant tendency to increase urinary bromide ion concentrations with higher fumigation work years (≤4 years: 2.84 (1.13-7.11) mg/g cr, >4-15 years: 5.36 (4.37-6.57) mg/g cr, >15-37 years: 6.69 (5.27-8.49) mg/g cr, p=0.034). In the comparison of the average number of working days per month, the more working days, the higher the urinary bromide ion concentr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12.5 days: 2.59 (1.19-5.65) mg/g cr, >12.5-19.25 days: 5.46 (4.62-6.44) mg/g cr, >19.25-27.25 days: 7.93 (5.93-10.59) mg/g cr, p=0.002). Conclusion: This study was the first nationwide survey including biological monitoring in workers exposed to methyl brom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expected to be used as a reference for workers' health rights in relation to fumigation, prevention of addiction accidents, and safe management p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