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maric acid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32초

제주산 감귤류 성분과 그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Citrus Fruits Produced in Cheju)

  • 김성학;고정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6호
    • /
    • pp.541-545
    • /
    • 1995
  • 제주산 감귤의 표준시료에 대한 성분분석 및 그 특성을 검토하였다. 온주 밀감의 가용성고형물(Brix)은 $10.4{\sim}11.0^{\circ}$였고 총당은 $8.24{\sim}8.79%$였으며, 산함량은 $1.04{\sim}1.20%$였다. 비타민 C함량은 $41.19{\sim}46.55\;mg/100g$으로서 조생온주에 비해 보통온주에서 높았다. 온주밀감에서 무기물 함량의 경우 K가 $108.66{\sim}132.65\;mg/100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고 있었으며, 잡감류의 경우는 온주밀감에 비해 무기물 함량이 높았다. 감귤쥬스 중의 당종류는 잡감류를 포함하여 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자당이 $46.8{\sim}64.6%$로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외로는 포도당과 과당이 각각 $18.4{\sim}26.9%$$15.2{\sim}30.2%$로서 비슷한 수준이었다. 유기산 종류로는 구연산이 $75.7{\sim}96.2%$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그외로 malic acid, oxalic acid, fumaric acid 순으로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 PDF

분쇄도 및 로스팅 조건이 수프리모 커피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upremo Coffee according to Grinding and Brewing Conditions)

  • 강난기;민관식;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9-96
    • /
    • 2015
  • 배전도와 분쇄도를 달리하여 가공한 수프리모 커피 추출물의 일반성분, pH, 당도, 색도 및 미네랄 조성 등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분 함량은 약배전보다 강배전 시 감소하였고, 탄수화물은 강배전 후 감소하였다.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은 강배전 후 증가하였다. pH의 변화는 약배전보다 강배전 시 높아졌고, 당도와 총 당 함량은 배전강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밝기 정도를 나타내는 L값은 생두는 강배전할수록 낮아지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약배전에서 높고, 강배전에서 낮아졌다. 배전도가 클수록 L값, a값, b값은 낮아지고 분쇄도가 클수록 L값은 낮아졌으며, a, b 값은 배전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프리모 커피의 Ca, Fe, K, Na, P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K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식이섬유 함량은 약배전 약분쇄 시 가장 높아 다른 배전 조건과 비교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강배전 약분쇄 4.25 g/100 g, 불용성 식이섬유소는 약배전 약분쇄 63.49 g/100 g으로 가장 높아 배전 조건에 따라 식이섬유소 함량이 유의적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수프리모 커피에 함유되어 있는 지방산 중에 특히 palmitic acid 및 linoleic acid의 함량이 다른 지방산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다. 하지만 배전도와 분쇄도에 따른 지방산 조성에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배전도와 분쇄도를 달리한 수프리모 커피의 유기산은 acetic acid, propionic acid, oxalic acid, citric acid, fumaric acid가 검출되었다. 특히 수프리모 커피의 생두는 휘발성을 갖는 유기산인 acetic acid가 높았고, 배전강도와 분쇄도를 달리하여 가공 처리한 수프리모 커피는 fumaric acid의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 커피 품종에 따라 배전도와 분쇄도를 달리하면 다양한 이화학적인 특성을 지닌 커피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s of Dietary Buffering Characteristics and Protected or Unprotected Acids on Piglet Growth, Digesti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Gut Content

  • Bosi, P.;Jung, H.J.;Han, In K.;Perini, S.;Cacciavillani, J.A.;Casini, L.;Creston, D.;Gremokolini, C.;Mattuzzi,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7호
    • /
    • pp.1104-1110
    • /
    • 1999
  • We condicted two experiments to evaluate the interaction among fumaric acid (FA), protected acids (PA), or no additional acid (NO) and two different levels of acid buffering capacity (BC) in diets for 14-d-old weaned pigs. BC was varied substituting mono-calcium phosphate and calcium sulfate for dicalcium phosphate and calcium carbonate. In the high BC diet plus PA, FA was also added. In Exp. 1, 48 gilts were raised for 31 days on the six diets, evaluating growth performance and fecal digestibility. In Exp. 2, 42 gilts were raised. With each diet three subjects were sacrificed after 19 days and four after 38 days. In addition, six subjects were sacrificed at weaning. Growth and carcass performance, ileal digestibility, bacterial populations and pH in the gut were assessed. The piglet performance and stomach, ileal and cecal pH, and empty body composition were not affected by the diets. Empty body composition other than ash content was affected by piglet age (p<0.01). The BC did not influence digestibility. The dietary inclusion of PA improved fecal digestibility of protein (p<0.05) compared to the addition of FA and NO. Ileal digestibility slightly increased with both acid additions (p<0.10), the groups receiving PA showing the higher values. Piglets fed diets with low BC had lower Lactobacillus and E. coli counts in the ileum (p=0.07) and higher Lactobacillus in the colon (p=0.08). Acidified diets tended to reduce E. coli counts in the ileum (p=0.10) and increased Lactobacillus in the colon (p=0.09). The addition in the diet of PA increased Lactobacillus in the ileum compared to the sole addition of free fumaric acid (p=0.07). The addition of protected acids, combined with free fumaric acid in the case of high BC diets, increased protein digestibility and Lactobacillus counts and reduced E.coli counts. Only some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of bacterial population can be expected with a diet of low BC.

백일주 양조중 알코올, 유리아미노산, 비휘발성유기산 및 지방산조성의 변화 (Changes of Alcohol, Free Amino Acid, Non-Volatile Organic Ac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during Brewing of Backilju)

  • 박석규;박필숙;김귀영;강우원;이영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03-109
    • /
    • 1994
  • Changes in taste components of Backilju, 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of Korea, were investigated. Ethanol(17%) was the most abundant, and then isoamylalcohol(23mg%) and methanol(8mg%) were also detected in a small amount in Backilju. Major non-volatile organic acids were lactic and malic acid, followed by citric, fumaric and succinic acid. Arginine, phenylalanine and glutamic acid were major free amino acids and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was 230∼560 mg%, which was 45∼48% of total free amino acids. The major fatty acid of total lipid was palmitic acid(37∼43%). It has been found that the Backilju contained more free amino acids and alcohols than other Korean Yokjus.

  • PDF

천마추출물을 이용한 음료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 of Beverage with Gastrodia elata Blume Extract)

  • 홍선표;정해상;정은정;신동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1-3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천마추출물을 이용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고 그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천마 음료의 개발을 위한 관능검사 결과 추출물의 첨가량이 50%일 때 색상, 향, 맛, 전반적기호도 등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올리고당의 첨가량은 10%, 구연산은 0.02%, 사과즙은 7%, 증류수는 32.98%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조합비로 제조한 천마 음료의 당도 및 pH는 각각 16.97, 4.27이었으며 색도는 L값 50.72, a값 25.16, b값 13.85이었다. 천마 음료의 유리당은 glucose(3417.72 mg/100g), fructose(2215.68 mg/100g), sucrose(1615.68 mg/100g) 순이었으며 유기산은 malic acid(472.60 mg/100g), citric acid(290.27 mg/100g), succinic acid(276.63 mg/100g), fumaric acid(1.73 mg/100g) 순으로 나타났다.

꽃송이 버섯의 균사생장을 위한 최적요인 (The optimal Factors for the Mycelial Growth of Sparassis crispa)

  • 심재욱;손서규;윤상욱;이윤수;이태수;이상선;이갑득;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1호통권84호
    • /
    • pp.39-46
    • /
    • 1998
  • 꽃송이 버섯의 균사생장은 $25^{\circ}C$의 온도와 pH4의 조건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Hamada 배지에서 가장 조밀한 생장을 나타낸 반면, Hoppkins 배지에서 가장 큰 직경생장을 나타내었다. Maltose, Arabinose 및 Mannitol 같은 탄소원은 꽃송이 버섯의 양호한 생장을 촉진하였다. 또한, 질소원의 하나인 Glycine도 양호한 균사생장을 나타내었다. 배지에 탄소원을 1%로 고정시킨후 C/N비를 20:1로 하였을 때, 꽃송이 버섯 균사의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유기산으로서 Fumaric acid와 Lactic acid의 처리를 하였을 때, 꽃송이 버섯의 생장이 좋았다.

  • PDF

도토리의 탄닌 성분이 약주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annic Substances from Acorn (Quercus acutissima Carruthers) on the Storage Quality of Rice Wine)

  • 최성현;복진영;남세현;배정설;최우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420-1425
    • /
    • 1998
  • 도토리 약주의 저장 중 성분을 대조구와 비교 분석한 결과 660 nm에서 흡광도 값이 초기 0.116에서 $4^{\circ}C$로 저장 10일 후에는 급격히 감소하여 $0.06{\sim}0.075$로 낮아졌고 대조구는 감소폭이 작아서 도토리 성분이 약주의 청징화에 효과적이었다. 유기산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적었다. GLC에 의한 유기산 정량 결과 lactic, succinic, citric, malic, oxalic 및 fumaric acid의 순이었으며 탄닌 성분인 gallic acid 함량은 0.39 mg%이었다. 도토리 약주의 농축액을 lard에 첨가하여 POV를 측정한 결과 9일 후에 대조구는 $265\;meq\;kg^{-1}$ lard로 증가된 반면에 도토리 약주는 $2{\sim}3\;meq\;kg^{-1}$ lard로서 거의 그대로 머물러 있었으므로 항산화효과가 인정되었다. 저장기간 중 도토리의 탄닌성분에 의한 술의 청징화와 산도저하의 방지에 효과가 있었다.

  • PDF

매실의 성숙중 향기 성분과 유기산의 변화 (Change of Flavor Components and Organic Acids during Maturation of Korean Apricot)

  • 손영아;신승렬;김광수
    • 식품산업과 영양
    • /
    • 제7권2호
    • /
    • pp.40-44
    • /
    • 2002
  • 매실의 향기성분은 50여종 중 알콜류가 benzyl alcohol, linalool, 1,6-octadien-3-ol, n-haxanol 등 10종, aldehyde류가 2-hexenal, benzaldehyde, n-hexanal 등 3종, acid류가 butandeionic acid, acetic acid, 2종, 2-iodo-hexane 등 hydrocarbon류가 5종, butanedioic acid-diethyl estet를 포함한 ester류가 3종, B-ionone을 포함한 ketone류가 3종 그리고 기타 성분이 2종이었다. 매실이 성숙함에 따라 향기성분의 수가 증가하고 그 함량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매실의 비휘발성 유기산의 조성은 succinic, fumaric, oxalic, malic, tartaric 및 citric acid이었다. 매실이 비휘발성 유기산은 성숙 초기에는 malic acid와 oxalic acid의 함량이 높았다. Citric acid의 함량이 증가한 반면에 대부분의 유기산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휘발성 유기산은 성숙중에 formic acid함량은 감소하고 butyric acid의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총 유기산의 함량은 매실 성숙에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 PDF

노화된 전분식품을 이용한 당화고추장의 제조 및 숙성 중 성분 분석 연구 (Study on the preparation of the saccharification kochujang with retrogradated starch food and changes in physiochemical properties during the aging)

  • 김경자;차은정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3권1호
    • /
    • pp.23-29
    • /
    • 1997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the preparation of saccharification kochujang with retrogradated cooked rice, bread, rice cake and sensory evaluation during 60days aging. 1. Moisture content in 4 samples were slowly increased and pH of kochujang was slowly decreased during aging. 2. Reducing sugar content were about 1.4~2 times higer than $T_3$ and $T_2$ at 50days of aging. 3. In no significant difference 4 samples, the level of adip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was the most and that of acetic acid, iso-butyric acid, fumaric acid, lactic acid, tartaric acid was smaller. 4. Sensory evaluation conducted by fifteen university students as panelist showed that their were mo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four samples and notable preferance for $T_3$ over $T_0$, $T_1$, $T_2$.

  • PDF

"플라멩고" 딸기의 수확 후 Ultraviolet-C와 이산화염소수 또는 푸마르산 병합 처리에 따른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bined Treatment of Ultraviolet-C with Aqueous Chlorine Dioxide or Fumaric Acid on the Postharvest Quality of Strawberry Fruit "Flamengo" during Storage)

  • 김주연;김현진;임금옥;장성애;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38-145
    • /
    • 2010
  • 수출용 딸기 "플라멩고" 품종의 수확 후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와 저장성 증대를 위해, 50 ppm 이산화염소수 또는 0.5% 푸마르산 용액과 5 $kJ/m^2$ UV-C 조사 병합처리에 따른 저장 중 미생물 수 감소 및 품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비가열 처리 후, 딸기는 $4\pm1^{\circ}C$에서 12일 동안 저장하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딸기의 초기 미생물 수에 있어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푸마르산-UV-C 병합 처리구에서 총 호기성 세균과 효모 및 곰팡이를 각각 2.09, 2.02 log CFU/g 감소시켰다. 또한, 저장 12일에 푸마르산과 UV-C 병합 처리구의 효모 및 곰팡이 수는 1.72 log CFU/g으로 대조구의 5.10 log CFU/g과 비교하여 3.38 log CFU/g의 유의적인 차이로 가장 큰 감균 효과를 나타냈다. 비가열 처리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딸기의 저장 중 Hunter 색도 값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관능검사에 있어서는 병합 처리구가 대조구와 다른 처리구보다 높은 점수를 얻어 저장 중 관능적 품질유지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딸기의 종합적 기호도는 저장 5일부터 두 병합 처리구가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50 ppm 이산화염소 또는 0.5% 푸마르산과 UV-C 조사의 병합처리가 수확 후 딸기의 저장 유통 중에 오염될 수 있는 위해미생물의 감소와 외관적 품질유지에 효과적인 살균 처리기술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