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vinegar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4초

수확시기 및 원료 조건에 따른 풋귤 식초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premature mandarin vinegar according to harvest period and raw material conditions)

  • 박보연;최재원;김성현;윤예랑;이영란;이영미;정지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33-341
    • /
    • 2020
  •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풋귤 식초를 개발하기 위하여 풋귤의 수확 시기(7월-9월)에 따른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3가지 원료 조건(풋귤 분쇄액, 10% 건조 청피 첨가 풋귤 분쇄액, 10% 로스팅 청피 첨가 풋귤 분쇄액)으로 제조된 풋귤 식초의 발효 특성,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7월에 수확된 풋귤 착즙액은 1.02±0.02 ㎍ GAE/mL의 가장 높은 총 페놀 함량이 확인되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수확시기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항산화 활성은 7월-8월에 수확된 풋귤 착즙액이 9월에 수확된 풋귤 착즙액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7월에 수확된 풋귤 착즙액을 식초 원료로 선정하였다. 원료 조건을 달리하여 제조된 식초의 최종 산도는 풋귤 식초가 6.0%, 건조 청피 첨가 풋귤 식초가 6.3%, 로스팅 청피 첨가 풋귤 식초가 6.7%로 모두 85%의 높은 발효 효율을 보였다. 건조 또는 로스팅 청피가 첨가된 풋귤 식초는 발효 13일차에 5% 산도에 도달하였으며, 풋귤 식초보다 발효 기간이 단축되고 높은 산 생성능을 나타내었다. 원료조건에 따라 색도의 변화가 확인되었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유기산 함량은 건조 청피가 첨가된 풋귤 식초가 acetic acid를 비롯한 총 유기산 함량이 30,201 mg/L으로 가장 높았으며, 특히 풋귤 식초보다 1.4배 높았다. 총 페놀 함량은 로스팅 청피 첨가 풋귤 식초에서 0.62±0.02 ㎍ GAE/mL으로 풋귤 식초와 약 2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으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풋귤 식초가 3.00±0.15 ㎍ CE/mL로 가장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의 EC50 값은 건조 및 로스팅 청피 첨가 풋귤 식초가 각각 5.83±1.66 nL/mL, 4.71±0.07 nL/mL으로 풋귤 식초(9.16±0.87 nL/mL)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환원력에서는 로스팅 청피 첨가 풋귤 식초가 7.47±0.28 nL/mL으로 활성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7월에 생산된 풋귤 착즙액을 원료로 로스팅 청피를 첨가한 풋귤 식초는 초산 발효가 우수하고 높은 유기산 및 페놀 함량으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기존 풋귤 식초보다 항산화능이 강화된 기능성 식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 중(中) 조리면(調理面)에서 본 반과상고(盤果床考) (A Study of Cookery of Daily Meal (Bankwa Sang: Fruit Table) in Wonheng Ulmyo Jungri Euigwae (1795))

  • 김상보;한복진;이성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41
    • /
    • 1990
  • To analyze dialy meal of royal meal, studied Bankwa Sang(Fruit Table) were on record Wonheng Ulmyo Jungri Euigwae (1795). Historic book 'Jungri Euigwae' described the king's visit to his father's royal tomb 'Hyun Neung Won', during the domain of Cheung Jo, the 22nd king of Choson Dynast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as follows. The fruit table, which similar in concept to desert in the west but quite different in service, was prepared for a guest. The table consisted of two kinds of trays, on which serveral kinds of fruit were stacked to a height of between 4 chon (4寸 : about 12 cm) and 1 chuk(1尺 : about 30.3 cm) according to Korean measurement system. The table was decorated with beautiful artificial flowers made of paper and silk. The number of sets to be arranged on the table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royal status of the eater: 12 sets-25 sets for king's mother, 7 sets-11 sets for the king. Soy sauce mixed with vinegar and pine-nu meal, mustard were ruled out from kind of sets. Kinds of dishes served with a meal generally were noodles (麵), soup (湯), fried fish (煎油花), fried meats and vegetables (花陽灸), slices of raw fish (魚膾), minced raw meat (肉膾), slices of boiled beef (片肉), stew (蒸), rice cake (餠), sweet rice dish (藥飯), patterned savory cake (茶食), fried cake made of wheat flour, honey and oil (藥果), fried glutinous rice cake (强精), various fruits preserved in honey (正果), sugar candies (各色糖), fruits (果物) honey (淸), soy sauce mixed with vinegar and pine-nut meal (醋醬), mustard (莽子).

  • PDF

시판 과일 주스와 식초의 유기산 함량과 Xanthin Oxidase 저해 활성 비교 (Comparison of Organic Acid Contents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Commercial Fruit Juices and Vinegars)

  • 황지영;표영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685-1690
    • /
    • 2016
  • 시판 과일 주스와 발효식초의 총 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함량, 유기산 함량, 그리고 xanthine oxidase(XO) 저해 활성을 비교하였다. 과일 주스와 식초에 함유된 총 페놀(mg gallic acid equivalent/100 mL)과 플라보노이드(mg catechin equivalent/100 mL) 함량은 각각 82.8~157.6 mg과 15.7~85.8 mg으로 측정되었다. 주스류에서는 사과 주스, 식초류에서는 흑초가 각각 가장 높은 총 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였다. 유기산의 함량 중 citric acid, malic acid, ascorbic acid는 주로 과일 주스에서 검출되었다. Acetic acid가 주성분인(688.3~4,413.7 mg/100 mL) 식초류 중에서 흑초는 acetic acid뿐 아니라 citr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를 함유하여 유기산의 분포가 가장 다양하였다. XO 저해 활성은 과일 주스보다 식초가 평균 34.2% 더 높게 측정되었으며, 흑초는 64.9%로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유기산의 종류 중에서 아세트산의 함량과 XO 저해 활성 간에 높은 정의 상관성이 존재하여($R^2=0.7192$) 식초류의 XO 저해 활성의 주요 지표물질로 나타났다.

오미자를 이용한 식초발효 및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Vinegar Fermented Using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모혜원;정영희;정지숙;최경호;최상원;박찬성;최미애;김미림;김미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41-449
    • /
    • 2013
  • 본 연구는 건조 오미자 추출액을 이용하여 오미자 식초를 발효하였다. 산패한 오미자 와인에서 식초산균 OV1과 OV2를 분리하고 분리균의 식초산 생성능력을 비교하였다. 분리균 OV1은 알코올농도 8%까지 발효 가능하였으며, 알코올 농도 6%의 오미자 와인으로부터 산도 5.21%의 식초를 발효하였다. 발효 오미자 식초는 시판 중인 타 식초에 비하여 관능성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오미자 와인 및 식초의 항균력을 paper disc법으로 검정한 결과 식초는 4종의 검정균(B. subtilis, S. aureus, E. coli 및 P. fluorescens)에 대하여 직경 9.5~17.00 mm의 clear zone을 형성한 반면에 오미자 와인은 S. aureus와 P. fluorescens에 대해서만 clear zone을 생성하였고 clear zone의 직경 또한 9.5 mm 이하로 추출물과 비슷하였다. 오미자 와인 및 오미자 식초의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오미자 와인(80배수)이 70.25%로 발효 전 추출액에 비하여 약 1.6배 증가하였으나 오미자 식초는 추출액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아질산염 소거능 또한 와인에서 높고 식초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보당한 건조 오미자 추출액을 사용하여 기호성과 기능성을 갖춘 고품질의 식초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홍삼과 매실식초 혼합 음료의 고강도 운동을 실시한 흰쥐에서 항피로 효과 (Anti-fatigue effect of a beverage mixture containing red ginseng and Prunus mume fruit vinegar on high-intensity exercised rats)

  • 박울림;김정호;서권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14-525
    • /
    • 2023
  • 본 연구는 매실식초 및 홍삼농축액 혼합 음료의 증진된 피로회복 효과를 확인하고자 유기산 함량과 고강도 운동 쥐모델에서 항피로 관련 인자를 측정하였다. 홍삼농축액 및 매실식초 혼합 음료 내 유기산 함량은 acetic acid가 1,654.17 ppm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malic acid와 citric acid가 각각 617.28, 600.12 ppm으로 확인되었다. 항피로 관련 인자 중 지구력을 측정한 결과, 홍삼매실식초 혼합음료(RPV)를 섭취한 군에서 138.83 min으로 가장 높은 지구력을 보였으며, 혈중 무기인산과 암모니아 및 젖산 함량은 0.67 mM, 24.28 mmol/L 및 1.75 mM으로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간 및 근육 내 글리코겐 함량에서 RPV는 각각 288.4, 22.84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RPV의 혈청 및 근육조직 내 creatine kinase 함량은 465.42와 33.05 U/L로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값으로 확인되었으며, 근육 내 lactate dehydrogenase 함량은 RPV에서 가장 높은 값인 140.13 U/L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풍부한 유기산을 가진 매실식초 및 홍삼농축액 혼합 음료의 섭취는 매실식초 또는 홍삼농축액의 단일 섭취에 비해 증진된 항피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피로회복 기능성식품 소재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Gluconacetobacter hansenii CV1에 의해 발효된 감귤식초의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Citrus Vinegar fermented by Gluconacetobacter hanenii CV1)

  • 김미림;최경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63-269
    • /
    • 2005
  • 제주 감귤복합가공공장에서 제조한 감귤농축액을 재료로 감귤식초를 발효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감귤농축액은 신선과즙에 비하여 naringin 및 hesperidin 함량이 낮을 뿐만 아니라 당도와 산도가 높아 식초발 효용으로 적합하였다. 6배 희석한 감귤농축액에 효모(CMY-28)를 접종하고 $28^{\circ}C$에서 3일간 발효하여 알콜도수 $5.6\~6.3\%$의 식초산 발효용 원주를 제조하였다. 여기에 분리한 식초산 발효균(Glucoacetobacter sp. CV1)을 접종하여 $30^{\circ}C$에서 8일간 발효하여 산도 $5.8\~6.2\%$의 감귤식초를 제조하였으며, 관능검사에서 국내에서 유통되는 천연과즙식초 중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만, 식초발효 과정에서 알콜 잔류량이 $2.5\%$를 상회하여 이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2단계 발효에 의한 양파식초 제조의 최적 조건 검토 (Analysis of Optimum Condition for Production of an Onionic Vinegar by Two-Step Fermentations)

  • 김삼웅;박재효;전홍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0호
    • /
    • pp.1410-1414
    • /
    • 2008
  • 본 연구는 양파즙으로 식초를 생성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양파는 당, 아미노산, 다양한 영양분이 풍부하기 때문에 식초의 우수한 원료로 고려된다. 초산발효를 위해 초산균은 시판되고 있는 식초와 완숙된 김치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양파즙 배지에 2-8% ethanol이 보충될 때, 4% ethanol 첨가에 의해 9일에 가장 높은 초산 생성능을 보였다. 초산 생성을 위한 적정온도는 $30^{\circ}C$였고, 통기량은 200 rpm이 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초산 발효를 위해 표면적인 넓은 삼각 플라스크가 시험관보다 높은 생성 능력을 보였다. 그러므로 초산 생성을 위한 초적 조건은 초기 5% 알코올 함량과 2% 산도로, $30^{\circ}C$에서 200 rpm으로 9일 동안 배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건으로 초산 발효될 때, 5.2% 총산도와 1% 미만의 알코올이 잔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산업자원부가 고시한 과실 음료 조건에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The Effect of Vinegar Fermentation on the Nutritional Quality of Lotus Flower Fermented Product

  • Nam, Mikyung;Chrysta, Maynanda Brigita;Lee, Eunsuk;Choi, Wonsik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61-69
    • /
    • 2019
  • All the parts of lotus, including the seed, rhizome, leaf, stalk, petal, anther, pericarp, and fruit receptacle, have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system as a health beneficial supplement. However the most usually used from lotus plant is only the root. Therefore in this study, it will be discussed more the utilization of other parts of the lotus, namely the flower of lotus. The petals and stamens of lotus actually are also rich in bioactive components such as flavonoids and alkaloids, are used in the treatment of tissue inflammation, cancer, skin disease, and also for us as antidotes. One of the biotechnological process that can be used to improve the nutritional content, sensory, and also antioxidant activities is fermentation process. The final product desired from the fermentation process in this study is vinegar. The microbial strain powder used is Uinkin fermented powder with three variations of fermentation. The variations given in this study were initial sugar 32%, 24%, and 14% with the same fermentation temperature, $35^{\circ}C$ for 3 months. The results obtained showed that the pH value and sugar content of products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were decreasing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with total polyphenol content of $283.7{\pm}97.6mg/100g\;QAE$, and total flavonoid content of $3.3{\pm}0.0mg/100g\;QAE$. For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the fermentation product also in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with ORAC activity of the product showed a high activity of $20.7{\pm}0.41{\mu}M$ TE. Therefore, fermentation process can be the one of method for improving the product. The efficiency of lotus flower vinegar fermentation can be reached with an initial sugar condition of 25% (sample B).

경기지역 남녀 중국인 유학생의 식습관, 건강관련 생활습관, 음료의 기호도와 섭취에 관한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Dietary Habits, Life Habits, Drink Preference and Intake according to the Chinese Students Gender in Gyeonggi Province)

  • 유해녕;장재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93-30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etary habits, health lifestyle, preference and intake of beverages of Chinese students in Gyeonggi area. Therefore, we try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beverage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ale and female Chinese students, there were 155 male students (49.7%) and 157 female students (50.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esidence period and the time of coming to Korea according to sex (p<0.0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ducation level, residence type and Korean ability (p>0.05).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health-related lifestyle among Chinese students of both sex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cohol drinking, smoking, and exercise according to sex (p<0.05),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uter use time (p>0.05).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ietary habits of the Chinese studen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meals per day, breakfast, lunch, dinner, snack frequency and number of midnight snacks,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ating out frequency. As a result of the preference test for general beverages, 4.11 points of water, 3.81 points of milk, 3.64 points of fruit and vegetable juice, 3.58 points of tea, 3.25 points of coffee, 3.22 points of carbonated drinks, 2.92 points of functional drinks, respectively. 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prefer water, tea, and health functional drinks while female students had higher preference for fruit, vegetable juice and vinegar drinks (p<0.05). In general, consumption of regular drinks was 4.95 in water, 3.58 in milk, 3.03 in coffee, 2.92 in carbonated drink, 2.91 in fruit and vegetable juice, 2.63 in tea, 2.07 in functional drink, and 1.44 in vinegar appear. Male students had higher intake of water, tea, carbonated drinks, and health functional drinks while female students had higher intake of fruit and vegetable juice (p<0.05).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general drinking of Chinese students are as follows. The intake of tea was related to the period of residence and dietary habits, the intake of milk for breakfast, the number of snacks and midnight snacks for carbonated drinks, and the fruit vegetable juice were related to dietary habits (p<0.01, p<0.05).

Report of eight unrecorded Acetobacter species in Korea, discovered during the survey in 2018-2019

  • Heo, Jun;Won, Miyoung;Lee, Daseul;Han, Byeong-Hak;Hong, Seung-Beom;Kwon, Soon-Wo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1권3호
    • /
    • pp.155-161
    • /
    • 2022
  • Acetic acid bacteria (AAB) convert ethanol to acetic acid through oxidation, and the fermentation pathway of AAB is important in the vinegar industry. The genus Acetobacter is the representative one of AAB, and several Korean traditional vinegars are produced using Acetobacter strains. Until now, four species in the genus Acetobacter were reported as native species in Korea. During the past two years, we isolated several AAB strains from fruits, flowers and fermented foods, and several AAB species unrecorded in Korea were found on the basis of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es. In this study, we report eight Acetobacter species as native ones which are A. fabarum C10-3 (=KACC 21483) isolated from plumcot fruit (Naju-si), A. lovaniensis KDG-EC1 (=KACC 22697) isolated from diced radish kimchi (Naju-si), A. okinawensis GAM12-M2 (=KACC 22696) isolated from persimmon fruit (Sangju-si), A. orientalis FR32C4 (=KACC 22370) isolated from fruit of Cudrania tricuspidata (Jeonju-si), A. papaya FR35B3 (=KACC 22046) isolated from grape fruit (Yeongdong-gun), A. suratthaniensis GAM15-R2 (=KACC 22694) isolated from persimmon fruit(Gimje-si), A. syzygii C25-1 (=KACC 22048) isolated from peach fruit (Namwon-si) and A. thailandicus JDF1-M1 (=KACC 22693) isolated from plum fruit(Seo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