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storage

검색결과 439건 처리시간 0.023초

가을철 기온이 높은 지역에 위치한 '후지'/M.9 사과원의 수확시기에 따른 과실품질과 저장성 (Fruit Quality and Storability by Harvest Time at 'Fuji'/M.9 Apple Orchard Located in the Area with a High Air Temperature during the Fall Season)

  • 사공동훈;권헌중;송양익;박무용;강석범;윤태명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4호
    • /
    • pp.437-446
    • /
    • 2013
  • 본 시험은 가을철 기온이 높게 유지되는 대구지역에서 성숙기 동안 '후지'의 과실품질 변화와 수확시기별 과실품질과 저장성을 3년(2007년, 2009년, 2010년) 조사하였다. 성숙기 동안 과실품질의 변화는 만개 후 120-135일부터 만개 후 183-198일까지 조사하였다. 수확시기별 과실품질과 저장성 비교는 만개 후 180일 이후에 수확한 과실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과실 성숙기 동안 대구지역 '후지'의 문제점은 $20^{\circ}C$의 높은 기온에 따른 착색불량이었다. 수확시기별 과실품질 비교에 있어, 수확시기가 연장될수록 가용성 고형물 함량과 착색은 높아졌다. 수확 시의 과중은 수확시기에 영향을 받지 않았고, 수확 시의 경도와 산 함량은 동결피해가 발생했을 때 심하게 감소되었다. 저온저장 20주 동안의 에틸렌 발생량 및 경도, 산 함량은 수확시기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2009년 만개 후 216일에 수확한 과실들의 저온저장 중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수확시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과 비교해 비슷하였으나, 2009년 만개 후 201일에 수확한 과실들은 수확시보다 높아졌다. 그러나 동결피해를 받은 후 수확한 과실의 저온저장 후 경도, 가용성 고형물 함량 및 산 함량은 동결피해 발생 전에 수확한 과실보다 낮았다. 결론적으로 가을철 기온이 높은 지역에서 '후지' 과실을 만개 후 180-200일 대비 2-4주 정도 수확시기를 연장시키면 수확시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 및 착색이 증가되었으나, 11월 중순 이후로 최저기온이 $-3.0^{\circ}C$ 이하로 떨어지기 시작하기 때문에 11월 중순 이후로 과실을 수확하는 것은 위험하였다.

수출 전 저장기간과 모의 수출에 따른 '후지' 사과의 상품성 변화 (Market Quality Changes of 'Fuji' Apples Influenced by the Duration of Preshipment Storage and Packaging during Simulated Export)

  • 박일용;이재창;황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29권1호
    • /
    • pp.15-23
    • /
    • 2002
  • 관행적인 수확기인 11월 6일에 수확한 '후지' 사과는 80% 이상이 밀증상을 나타내었으나 에틸렌 발생량을 기준으로 볼 때 climacteric stage에 도달하지는 않았다. 모의 수출 전 2 개월 저장기간 중 밀증상은 점차 감소하였다. 저장기간 중 가용성 고형물 수준은 일정하지 않았으나 경도와 생체중 감소가 저장기간일 길수록 증가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라 모의 수출과 소매과정을 경과시킨 과실의 품질은 전반적으로 낮아졌지만 무처리에 비하여 30 um 플라스틱 필름 포장, 에틸렌제거제 처리는 전반적으로 과실의 품질을 소매단계까지 우수하게 유지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반면에 왁스처리는 외관품질을 우수하게 유지시켰지만 갈변장해를 일으켜 바람직하지 않았다. 따라서 수출용 과실은 건조한 환경에서 장기간 수송되고 판매되므로 품질저하가 심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moisture barrier 및 에 틸렌 제거 환경으로 선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n vitro shoot initiation of Artocarpus heterophyllus Lam. (Jak Fruit) Effect of the explant type and the season of explant collection

  • Kahk, Kasturiarachchi;Wtpsk, Senarath;Lee, Kui-Jae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3년도 심포지엄
    • /
    • pp.9-18
    • /
    • 2003
  • A method for rapid propagation of mature Jack fruit was developed. Four types of explants (mature embryos, apical meristems of young seedlings, apices from mature plants and nodal segments) were used. It has been found 88% of young apical meristems produced shoots in Campbell and Durzan (CD) medium compared to 60% i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Only 1/3 of them produced multiple shoots. Shoot idtiation from nodal segments was very rare. Mature apices produced callus. Although removed of the sheathing cover around mature buds enhanced the shoot initiation but success rate was low in growth regulator free medium. Embryos respond to the CD medium but not to the MS medium. Embryos from seeds soaked in water for 24 hours produced shoots after 8 weeks of incubation and the success rate was 70% while embryos from dry seeds only produced roots.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cold storage (refrigeration) for 7 days on shoot initiation from mature embryos (65%) but the ability for shoot induction declines with storage time (55% after 21 days of cold storage). Mature axillary buds were established in Modified Campbell and Durzan (CD) medium supplemented with 0.5mg/1 and IB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owth performance of shoots according to the period of the year in which explants were collected. Highest (60%) was observed in November-January period. It was only 30% when the explants were collected in February-April or May-July and decreased to 20% in August-October. The shoots produced in November-January showed a higher vigor than those produced in other months. Since Jak fruit show seasonal changes in fruit bearing and shedding of leave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difference in growth performances of tissues cultured in artificial culture media would have been affected by endogenous rhythms.

  • PDF

플럼코트 '하모니' 과실의 수확 후 품질에 미치는 저장온도 및 1-MCP 처리의 영향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and 1-MCP Treatment on Postharvest Quality in Plumcot Hybrid cv. Harmony)

  • 임병선;윤석규;남은영;천종필;조미애;정대성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2호
    • /
    • pp.203-210
    • /
    • 2013
  • 본 실험은 자두와 살구의 종간잡종인 플럼코트 '하모니' 과실의 수확 후 적정저장 온도를 구명하고 에틸렌작용 억제제인 1-MCP 처리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과실은 숙기를 3가지로 구분하여 수확 후 각각 0, 5, 10 및 $20^{\circ}C$의 온도에 저장하였고, 1-MCP($1{\mu}L{\cdot}L^{-1}$) 처리는 $10^{\circ}C$에서 24시간 처리 후 $10^{\circ}C$에 저장하였다. 온도가 낮은 저장조건일수록 플럼코트 '하모니' 과실의 호흡량을 현저히 낮추었고 온도가 높을수록 호흡량의 증가와 함께 품질이 빨리 저하되었다. 저장온도 $20^{\circ}C$는 과실의 부패가 빠르게 촉진되어 유통조건으로 부적합하였다. 숙기에 따른 품질은 30-50% 정도의 붉은 착색 과실이 양호하였는데 특히, $10^{\circ}C$에 저장할 때, 식미가 가장 양호하였다. 1-MCP는 플럼코트 '하모니' 과실의 연화, 색도 변화, 산도 변화 등 전체적인 품질의 변화를 지연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지베렐린 도포와 폴리아민 살포에 의한 배 품질과 저장성의 변화 (Changes of Fruit Characteristics and storage by Gibberellin and Polyamine Treatment of Oriental Pear (Pyrus Pyriflia))

  • 최동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85-193
    • /
    • 2004
  • 배의 과경부에 지베렐린을 처리하면 과실비대에 효과는 있으나 저장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시험은 지베렐린 처리가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아민의 처리부위와 처리농도에 따른 과실의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시험품종은 '황금배', '영산배', '추황배'로 하여 제베렐린을 만개 30일 후에 처리하고 폴리아민을 수확 7일 전에 과총 엽과 수관에 100, 200, 500ppm으로 엽면살포 하였다. 지베렐린 처리에 의하여 과중은 모든 품종에서 $10\%$ 정도 커졌고 경도는 $0.3\~0.4kg/\phi5mm$만큼 낮아졌으나 당도와 식미는 차이가 없었다. 과경부의 형태적 특성은 지베렐린 처리가 무처리에 비하여 수(髓, pith) 부분에서 내피세포까지의 거리와 내피에서 표피세포까지의 거리가평균 $42.0\%$신장되어 양 수분의 이동이 활발해지고 그에 따른 공급량이 많아져 과실의 무게가 비대해 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저장 30일 후 과실의 특성을 보면 '황금배'는 과총엽 살포의 스퍼미딘 200ppm이, 수관살포는 스퍼미딘 500ppm에서 과육의 경도가 높게 유지되어 식미가 양호하였다. '영산배'와 '추황배'도 비슷한 경향으로 주당 살포량이 적은 과총엽 200ppm살포처리가 저장성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특 등급 품질 후지사과 선도유지를 위한 플라스틱 용기 포장 효과 연구 (Applications of Functional Tray Form Packaging to Extend the Freshness of High-Quality 'Fuji' Apples)

  • 정대성;이윤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17-823
    • /
    • 2009
  • 특 등급 품질 후지사과의 상온 저장에서의 호흡율 특성을 분석한 결과 전형적인 climacteric형 패턴을 보여 주었으며 저장 유통 중 선도유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LDPE 필름을 밀봉한 난좌형태의 포장 구조를 설계하여 저장 온도에 따른 품질 변화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본 실험 연구 결과 필름 밀봉 용기 포장 적용이 관행 난좌보다 신선도 유지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LDPE 필름 덮개로 밀봉한 난좌형태의 용기 포장은 낱개의 난좌컵 형태에 과실을 적용함으로써 포장된 과실의 호흡작용과 증산억제를 유도하여 신선도를 유지하는 MA 조건을 가졌음을 나타낸다. 우수 품질 과실에 대한 차별화된 포장재 용기 적용 연구는 기존 과실 포장재로 닥터의 품질 개선 및 상품성 효과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Improvement of Shelf-life and Quality in Fresh-cut Tomato Slices

  • Hong, Ji-Heun
    • 식품저장과 가공산업
    • /
    • 제3권1호
    • /
    • pp.42-46
    • /
    • 2004
  • Quality of fresh-cut tomato slices was compared during cold storage under various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conditions. Chilling injury of slices in containers sealed with Film A was higher than with Film B; these films had oxygen transmission rates of 87.4 and 60.0 ml h-1 m-2 nun-1 at $5^{\circ}C$ and $99\%$ RH, respectively. While slices in containers with an initial atmospheric composition of air, $4\%$ CO2 + 1 or $20\%\;O_2, \;8\%\;CO_2+1$ or $20\%\;O_2$, or $12\%\; CO_2+\;20\%\;O_2$ showed fungal growth, slices in containers with $12\%\;CO_2 +\;1\%\;O_2$ did not. Low ethylene in containers enhanced chilling injury.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provided good quality tomato slices with a shelf-life of 2 weeks or more at $5^{\circ}C$.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ompare changes in quality of slices of red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Sunbeam') fruit from plants grown using black polyethylene or hairy vetch mulches under various foliar disease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no fungicide applications (NF), a disease forecasting model (Tom-Cast), and weekly fungicide applications (WF), during storage at $5^{\circ}C$ under a modified atmosphere. Slices were analyzed for firmness, soluble solids content (SCC), titratable acidity (TA), pH, electrolyte leakage, fungi, yeasts, and chilling injury. With both NF and Tom-Cast fungicide treatments, slices from tomato fruit grown with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mulch were firmer than those from tomato fruit grown with black polyethylene mulch after 12 days storage. Ethylene Production of slices from fruit grown using hairy vetch mulch under Tom-Cast was about 1.5- and 5-fold higher than that of slices from WF and NF fungicide treatments after 12 days,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water-soaked areas (chilling injury) for slices from tomato fruit grown.

  • PDF

과실 쥬스를 냉동저장온도에서 액체상태로 저장할수 있는 방법 연구 (Methods to Store Fruit Pulps in The Liquid State at The Frozen Storage Temperature)

  • 이영춘;신동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9-124
    • /
    • 1987
  • 딸기쥬스와 오렌지쥬스 농축액의 빙점을 ${-15}^{\circ}C$로 강하시킬수 있는 복합cryoprotectants를 선정하고, 이를 쥬스에 첨가하여 액체상태로 $-15^{\circ}C$에서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딸기쥬스에 적합한 복합 cryprotectants의 조성은 설탕25.5%(w/w), 포도당 12.7%, glycerol 1%, propylene glycol 1% 및 ascorbic acid 0.1%였다. 그리고 48% 고형분을 함유하는 농축 오렌지쥬스에 적합한 것으로는 포도당 5%, 과당 5%, glycerol 4% 및 citricacid 1%였다. 저장중 과실쥬스의 종합적 품질은 복합 cryprotectants를 첨가한 것과 대조구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4개월 저장한 딸기쥬스로만들은쨈의 품질에 있어서도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성 있는 품질차이가 없었다. 이들 결과로 보아 과실쥬스에 복합 cryoprotectants를 첨가하여 냉통온도에서 액체상태로 저장하면 보통 방법으로 냉동저장한것과 대등한 품질을 보존할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과실(果實)의 점탄성(粘彈性) 특성(特性)(I) - 응력이완거동(應力弛緩擧動) - (Viscoelastic Properties of Fruit Flesh(I) - Stress Relaxation Behavior -)

  • 김만수;박종민;최동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17권3호
    • /
    • pp.260-271
    • /
    • 1992
  • Fruits are generally subjected to mechanical forces during harvesting, handling, and transportation that may cause damage in the form of bruises, punctures, and cracks. In order to prevent damage, and insure better quality fruits for consumers, it is very essential to study physical properties of these materials. The studi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torage period, storage condition, and other factors, such as loading rate and initial strain, on the stress relaxation behavior of the fruit flesh, and develop nonlinear viscoelastic models to represent its stress relaxation behavior.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study : 1. Since the viscoelastic behavior of the fruits flesh was nonlinear, the behavior was satisfactorily modelled as follows ; $${\delta}({\varepsilon},\;t)={\varepsilon}^A[B\;{\exp}(-Ct)+D\;{\exp}(-Ft)+G(-Ht)]$$ But, for the every strain applied, the stress relaxation behavior of the fruit flesh, such as apple and pear, could be well described by the Generalized Maxwell model, respectively. 2. The effect of loading rate on the stress relaxation behavior was remarkable. The higher loading rate resulted in the higher initial stress, and the faster stress relaxation. 3. The higher initial strain resulted in the higher initial stress, and stress relaxed at the large initial strain was also much higher than at the small initial strain. 4. Stress relaxation rate and quantity stored in the fruits at the low temperature storage were much higher than those at the normal temperature storage in the same storage period. Also, in all fruits tested, the longer storage period was the more relaxation rate and quantity were shown. These trends in the normal temperature condition was the more significant than in the low temperature condition.

  • PDF

Fruit Qualities of De-astringent Persimmon 'Fuyu' Affected by Various Light Sources under Low and High Temperatures before Storage of Harvested Fruit

  • Kim, Tae-Choon;Kim, Chul Min;Kim, Ho Cheo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260-267
    • /
    • 2019
  • Harvested de-astringent persimmon 'Fuyu' were treated with various lighting sources under low (3℃) and high (22℃) temperatures. The weight loss rate of fruits was lower in those with Red LED than Fluorescence and Blue LED under both temperature conditions. Hardness and soluble solid content of fruits were higher in those with 3℃ / Blue LED or mixed LED (Blue+Red LEDs). Beta-carotene and lycopene content of fruit peel were higher in those with 3℃ than 22℃ and with Red LED or light sources with mixed red wavelength under both temperatures. When the fruits treated with light and temperature were stored for 4 days under 3℃ / dark condition, the hardness of the fruits did no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s. Taken together all the results, it would be best to treat it light sources mixed red wavelength under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