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leather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매실과육과 매실착즙박을 이용한 Fruit leather의 제조와 그 특성 (Manufacturing and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ruit Leathers Using Flesh and Pomace of Japanese Apricots (Prunus mume Sieb. et Zucc))

  • 강민영;정영민;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536-1541
    • /
    • 1999
  • 매실과육과 그 가공부산물인 매실착즙박을 대상으로 하여 과채류 가공품의 하나인 fruit leather를 제조한 후 그 성상 및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매실의 이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매실과육과 매실착즙박을 주원료로 제조된 fruit leather는 각각 엷은 황갈색과 진한 황갈색을 나타내고 유연성을 갖는 leathery sheet형태의 성상을 보였다. 매실과육을 이용한 fruit leather는 총 식이섬유 4.06%로 분석되었고, 매실착즙박을 이용하여 제조한 fruit leather의 총 식이섬유는 7.82%로 조사되었다. 매실과육과 매실착즙박을 이용한 fruit leather의 열량은 각각 386 kcal와 352 kcal로 분석되었다. 이들의 수분활성도(Aw)는 각각 0.36, 0.48로써 미생물적으로 안정함을 보였으며, 색도에 있어서는 매실과육을 이용한 fruit leather의 L, a, b 값들이 더 높았고 color 측정항목에 대한 관능검사결과에서도 더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Texture analyzer를 이용하여 fruit leather의 texture를 측정한 결과 각 항목마다 매실과육을 이용한 fruit leather의 물리적 특성들이 높은 값으로 조사되었으며, 두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1). Fruit leather의 관능검사결과 texture 항목 중 chewiness와 stickiness는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P<0.01), color의 경우 매실과육을 이용한 fruit leather의 선호도가 높았으나 flavour 및 전체적인 맛은 매실착즙박을 이용한 fruit leather의 선호도가 높았다. 색소를 이용하여 매실착즙박을 이용한 fruit leather의 색깔을 향상시킨다면 훌륭한 스낵제품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Nutritional and Sensory Quality of Prepared Tomato (Solanum lycopersicum) Leather

  • Chhetri, Arun Jung;Dangal, Anish;Shah, Rajesh;Timsina, Prekshya;Bohara, Ebika
    • 분석과학
    • /
    • 제35권4호
    • /
    • pp.169-180
    • /
    • 2022
  • Tomato has a limited shelf life and is highly perishable due to its high moisture content. As fruit leather, is a traditional food of Nepal, it can be beneficial to move towards value addit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 traditional product. The main aim was to analyze the nutritional values and phytochemicals of the tomato pulp and prepared leather, and sensory evaluation of prepared tomato leather. Five samples A, B, C, D and E were prepared with 80:20, 72.5:27.5, 95:5, 87.5:12.5 and 65:35 fruit pulp: sugar ratio respectively. Analysis of raw tomato pulp and all the five samples was performed. Sensory quality of the product sample A was found superior to that of other samples but chemical and phytochemical properties of product sample C was found superior than that of other prepared samples. Therefore, we had two best products, in terms of sensory properties and in terms of nutritional properties. The best product on the basis of nutrients (sample C) had acidity (%), TSS (°Bx), pH, total ash content (%), crude protein (%), crude fat (%), crude fiber (%), carbohydrate (%), vitamin C (mg/100 g), total energy (Kcal/100 g), TPC (mg GAE/g of dry extract), TFC (mg QE/g of dry extract), DPPH scavenging activity (% of inhibition) and lycopene content (mg/100 g) was found to be 3.70.1, 20 ± 0.02, 3 ± 0.1, 2.30 ± 0.05, 2.69 ± 0.04, 0.87 ± 0.02, 5.46 ± 0.01, 69.68 ± 0.02, 25.17 ± 1.25, 297.31 ± 0.01, 85.35 ± 0.02, 65.39 ± 0.02, 59.23 ± 0.03 and 98.57 ± 0.02 respectively. A tasty and nutritious product of tomato, leather can be prepared which can be more appealing to the consumer.

Drying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Fruit Leather

  • Lee, Gwi-Hyun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5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7-145
    • /
    • 2005
  • The effects of air temperature and sample thickness on drying kinetics of strawberry leather were investigated. The mathematical modeling was performed by using three thin-layer dying models.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ample thickness (S1 = 1.8, S2 = 2.7, and S3 = 3.6mm) and air temperature (50, 60, 70, and 80$^{\circ}$C). All samples took place in the falling rate period. The values of effective moisture diffusivity, D$_{eff}$ varied from 2.40 to 12.1$^{\times}$10-9m$^{2}$/s depending on drying conditions. The values of activation energy, E$_{a}$ were 35.57, 33.14, and 30.46 KJ/mol for each sample of S1, S2, and S3. The two-term exponential model was found to satisfactorily describe the thin-layer drying kinetics of strawberry leather.

  • PDF

매실의 다양한 이용을 위한 가공 저장 및 포장방법

  • 은종방;김철암;차환수
    • 식품저장과 가공산업
    • /
    • 제3권1호
    • /
    • pp.68-80
    • /
    • 2004
  • 매실을 다양하게 이용하고 부가가치를 높이며 매실의 품질저하 방지 및 이용성 증대를 도모하기 위하여 실시된 지금까지의 매실의 가공, 저장 및 포장 방법에 대한 것을 조사하였다. 매실의 저온저장 시청매실은 $0\~1^{\circ}C$의 저온보다도 $5\~8^{\circ}C$에서 저온 장해가 발생하기가 쉽다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장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확직후에 $0^{\circ}C$정도의 냉수로 급속히 청매실의 품온을 저하시키면 $5\~8^{\circ}C$의 저장에서도 저온장해가 경감되고 추숙도 억제한다고 한다. 상온 CA저장 조건 하에서 청매실의 선도를 유지하기 하는데 대량으로 발생하는 에틸렌의 제거와 저산소($2\%$ 하한), 고이산화탄소($8\%$)의 가스조성이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다. 청매실의 저장 중 선도유지를 위하여 청매실을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20${\mu}m$) 필름 봉투에 포장하여 에틸렌 제거제를 넣고 $20^{\circ}C$에 저장한 결과, 에틸렌생성량은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었고 연화에 의한 품질저하가 현저히 억제된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MA포장(LDPE 30${\mu}m+$에틸렌제거제)에서도 청매실의 녹색유지 효과가 탁월하였고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을수록 황화가 억제된 것이 연구에 의하여 밝혀졌다. 포장재의 두께를 달리할 때 청매실의 선도유지 효과도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고 보고되었다. 청매실을 두께가 다른 필름에 포장, $25^{\circ}C$에서 8일간 저장한 매실은 LDPE 20, 30 필름에 포장한 것이 저장 8일에도 녹색을 그대로 유지한 것을 보아 선도유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중량감소은 LDPE 30, 40이 적게 나타났고 장해정도는 LDPE 20, 30 적게 나타났다. 청매실의 저장 중 선도유지가 가장 양호한 LDPE 30 포장재에 청매실과 함께 탄산가스흡수제, 에틸렌제거제를 각각 또는 혼합첨가하고 밀봉한 후 $25^{\circ}C$에서 10일간 저장한 매실은 에틸렌제거제 첨가한 것이 녹색유지효과와 선도유지효과가 좋았으며 매실의 장해발생도 가장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매실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가공식품으로는 매실주, 매실차, 매실 Fruit leather, 매실절임, 고추장장아찌, 매실식초, 매실잼, 매실김치 등이 있다. 앞으로 매실의 이용을 증진시키고 소비를 더욱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매실의 생리학적특성을 이해하여 더욱 효과적인 저장 및 포장방법을 개발하고 생리활성을 이용한 새로운 매실제품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 PDF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나타난 진상(進上) 관련 조항의 분석 (A study of Jinging(進貢) Bangmul(方物) Provisions in Yoji Doseo(輿地圖書))

  • 전상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3호
    • /
    • pp.150-163
    • /
    • 2011
  • "여지도서(輿地圖書)"는 18세기 영조(英祖) 때 전국적인 지리지를 간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편찬되었다. 비록 공식적인 간행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조선후기 각 군현의 사회상 및 경제상황에 관한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어 일찍부터 그 자료적 가치를 주목받아 왔다. 특히 진상 관련 조항은 다른 진상 관련 자료가 진상물의 분정 상황이 도 단위까지만 파악된 것과 달리 도내 즉, 고을 단위까지 진상물이 파악되어 있어, 진상물의 전국적인 분정상황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조항이다. "여지도서(輿地圖書)"의 진상 관련 조항은 진공(進貢) 조항과 방물(方物)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조항에는 물품명 상납시기 수량 등이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각 고을별로 기재양식은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상납시기와 수량에 관한 정보가 부실하여 물품명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진상 관련 조항에 수록된 물품은 약재류 어류 조개류 해조류 과실류 젓갈류 무기류 모피류 부채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를 진상물목(進上物目)에 따라 분류한 후 도별로 정리하여 다른 진상 관련 자료와 비교하면 "여지도서(輿地圖書)" 진상 관련 조항의 자료적 성격이 18세기 전반 각 고을에서 현물상납하는 물품이 수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물품은 대동법 실시 이후 대부분의 공물은 경중에서 마련한 것과 달리 진상물은 현물상납이 유지된 점을 고려하면 대부분 진상물로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진상물의 현물상납 유지로 인해 매년 상당한 액수의 경비가 지방에서 소비됨으로써 지방 상업 발달의 배경으로 작용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