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hardness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8초

대추정과의 제조방법과 품질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Quality and Process of Jujube Fruit Jungkwa)

  • 홍주연;박미희;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2-49
    • /
    • 2010
  • 본 연구는 대추의 과실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기호성이 우수한 제품을 만들기 위하여 우리나라 전통식품의 한 종류인 정과를 접목하고 여러 가지의 전처리 과정을 달리한 대추정과를 제조하고 대추정과의 제조과정 및 최종 제품의 품질특성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추정과 제조시 중량의 변화는 당조림공정에서 증가를 보였고, 색도는 당조림공정 후 외부의 명도 L 값은 크게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적색도(a)과 황색도(b)는 크게 낮아졌다. 수분함량은 건대추(DJF)가 35.06%, 추가건조한 대추(DDJF)가 35.93%였으며, 삼투건조대추(ODJF)가 가장 높은 40.42%를 나타내었다. 20분간 당조림공정을 거친 시료는 예비건조 공정에 비해 2~10% 정도의 수분함량이 증가하였다. 재흡수율은 일반건조대추인 DJF가 119.66%로 가장 낮았으며, 삼투건조 처리한 대추(ODJF)가 가장 높은 124.81%로 나타났다. 물성은 건조방법을 달리한 첫 번째 공정 후에 추가건조대추(DDJF)는 건대추(DJF)에 비해 강도는 3배 이상, 경도는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당조림 공정 후의 물성은 시료간 큰 차이는 없었다. 최종 완성된 정과의 물성도 큰 차이는 없었으나, 색, 외관윤기, 외관기호도, 향, 전체적인 기호도는 삼투건조대추(ODJF)에서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완성된 정과에 대한 관능검사는 외관기호도, 향, 씹힘성, 뒷맛 및 전체적인기호도는 추가건조한 대추(DDJF)에서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따라서 전처리를 달리하여 제조한 정과 즉, 추가건조한대추(DDJF)와 삼투건조대추(ODJF)도 대추정과로서의 관능적인 면에서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추가건조한대추(DDJF)와 삼투건조대추(ODJF)도 대추정과로서의 높은 기호성을 보여 좋은 식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훌륭한 전통식품의 한 종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동절기 노루궁뎅이버섯 자실체 발생 특성 (Characteristics of Hericium erinaceus fruit body genesis in winter)

  • 문지원;이찬중;정종천;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9-43
    • /
    • 2016
  • 생육실 내 외부 환경조건과 종균 배양 및 자실체 특성검정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먼저, 종균배양이 외부 온도의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배양실의 환경 조건($22^{\circ}C$, 65-68%, 700-1,200 ppm)을 일정하게 하여도 외부 기온이 낮고, 건조해지는 1월(동절기)에는 16-18일 가량 늦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부 기후에 따라 생육실 내부 환경이 영향을 받아, 자실체 생장이 느리고 발생 형태가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동일한 조건($18{\pm}1^{\circ}C$, 85-95%, 700-1,200ppm)을 설정한 생육실에서 재배한 버섯이 수량(무게), 길이(크기) 모두 1월에 수확한 버섯이 3월에 수확한 버섯에 비해 작은 수치임을 확인하였고, 경도가 작아 품질 면에서도 양호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1월 외부의 영하의 저온과 60% 이하의 저습에 의해 생육실 내부 환경이 변화하여 일어난 현상임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버섯의 특성은 일정 시일이 지난 후 외부 기후를 보완하여 실내 환경을 조절하여도 개선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일정 기간이 지난 후의 조치는 균의 노후화만 진행시켜 색만 변화할 뿐 크기가 커지거나 침이 형성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환경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미리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환기와 생육관리를 위해 생육실 내부 환경이 외부로 노출될 때, 외부 환경이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에어커튼 혹은 보온 커튼을 덧대어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할 것이다. 특히, 동절기와 같이 외부 기온이 낮고, 습도가 낮은 시기에는 특별히 주의가 필요할 것이다.

국내 자생 상동나무 표현형 특성조사 및 우량 개체 선발 (Phenotypical Characteristics Investigation and Selection of Superior Individuals from Natural Habitats of Sageretia thea in South Korea)

  • 정대희;권해연;김영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14-224
    • /
    • 2024
  • 상동나무는 약용과 식용, 관상용 등 활용성이 높은 식물이나 재배기술 및 신품종 육성과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동나무 자생 집단을 대상으로 토양이화학성, 생육 특성 및 과실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집단별 토성은 사양토 또는 사질양토로 pH 5.6 - 7.0의 약산성에서 중성 토양으로 분석되었다. 생육특성 중 잎의 크기는 G7 집단, 과실의 전체적인 생육은 G1 집단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어 집단별 차이를 확인하였다. 물리적 특성 중 경도는 G9, G10 집단이 1.43 N으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고, G3 집단이 0.68 N으로 가장 낮게 나타냈다. 산도는 G6 집단에서 0.97%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고, G7 집단에서 0.53%로 가장 낮은 산도를 나타냈다. 당도는 16.8° Brix,에서 12.3° Brix까지 분석되어 상동나무 과실과 유사한 베리류인 정금나무나 블루베리, 블랙베리보다 높은 당도를 나타냈으며, G7 집단과 G4 집단이 각각 16.8° Brix, 16.6° Brix로 가장 높았고, G1 집단이 12.3° Brix로 가장 낮게 분석되었다. 토양이 화학성과 상동나무의 생육·물리 특성 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칼슘과 열매의 길이, 너비, 생중량 간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나트륨과 산도, 양이온치환용량과 열매의 경도 간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자생지 토양이화학성과 생육 및 물리적 특성은 상동나무의 재배 기술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신규 품종개발을 위한 생육 우수 개체를 선발하였으며, 선발 개체를 이용한 육종을 통해 식용 및 약용분야에 활용성 높은 신품종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떫은 감의 품종별 수확시기에 따른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of Astringent Persimmons according to Cultivar and Harvest time)

  • 이진만;허상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48-757
    • /
    • 2015
  • 품종별 수확시기에 따른 떫은 감의 품질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이용한 곶감제조를 통해 고품질의 곶감 생산을 위한 곶감의 식품학적 특성을 분석 하였다. 고품질의 곶감 생산을 위해서는 품종별 떫은 감의 적절한 선택과 적정숙도를 갖춘 과육을 선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미숙과의 경우 수분함량, 색도값이 적숙과 및 완숙과에 비해 낮은 값을 보인 반면 경도는 높게 나타났다. 고품질의 곶감의 생산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적황색 혹은 녹황색인 적숙과 이상의 떫은 감을 사용해야 한다.

신품종 큰느타리버섯 '곤지8호' 육성 및 특성 (Characteristics and breeding of a new variety Pleurotus eryngii, Gonji No. 8)

  • 하태문;최종인;전대훈;주영철;신평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2-86
    • /
    • 2013
  • 큰느타리버섯의 품종다양화와 국내 육성품종의 보급확대를 위해 2012년도에 육성한 신품종 "곤지 8호"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균사생장적온은 $23{\sim}26^{\circ}C$, 버섯발생 및 생육적온은 $15{\pm}1^{\circ}C$였으며, 재배일수는 49 일로 대조품종보다 1일 짧았다. 병당 자실체 발생 개체수는 15.4개로 대조품종 보다 4.7개 많았고, 대 길이 120.3 mm로 대조품종보다 길었다. 자실체 물리성은 씹음성, 깨짐성, 경도 모두 대조품종보다 높았고, 특히 경도는 대조품종 대비 약 2배 높았다. 병당 수량은 132.5 g(900 cc/$65{\Phi}$), 170.8 g(1100cc/$65{\Phi}$)로 대조품종과 대등하였다.

Utilization of Fruit Processing Wastes in the Diet of Labeo rohita Fingerling

  • Deka, Abani;Sahu, N.P.;Jain, K.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11호
    • /
    • pp.1661-1665
    • /
    • 2003
  • A feeding trial was conducted for 60 days to study the utilization of fruits processing wastes as feed ingredient in the diet of Labeo rohita fingerlings. One hundred and sixty fingerlings (av. body weight, $1.65g{\pm}0.03$) were equally distributed in four experimental groups having 4 replicates each. Four different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by replacing wheat flour and rice bran with either orange (T2) (Cirtus qurantium), pineapple (T3) (Ananas spp. and Pseudananas spp.) or sweet lime (T4) (Citrus sinensis) wastes to the basal diet along with the control (T1, without any fruit wastes) keeping the CP level at around 40%. The water quality parameters like DO, $CO_2$, pH, total alkalinity, total hardness, ammonia and water temperature were recorded within the optimum range. The diet containing 25% pineapple wastes (T3)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rowth in terms of SGR (1.50), FCR (2.09) and PER (1.19) than the other groups. However, growth of T4 and T2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the control group (T1). Protease activity (17.17 unit/mg protein), protein digestibility (91.57%) and carbohydrate digestibility (41.62%)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different groups. Survival of the fingerling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It concludes that waste of orange, pineapple and sweet lime can be used at 25% level as a substitute of wheat flour and rice bran in the diet of Labeo rohita.

지속적 농업을 위한 고성능 토양의 개발 연구-I. 계분 및 돈분퇴비의 연용이 방울토마토(Lycopersicum esculentum var. cerasiforme)의 생육 및 토양의 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oil for High Efficient and Sustainable Agriculture-I. Effect of Repeated Application of Chicken and Pig Manure Composts on Tomato Growth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 조성현;이인복;장기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6호
    • /
    • pp.451-456
    • /
    • 1998
  • 지속적농업을 위한 고성능토양을 개발하기 위하여 방울토마토를 공시작물로 계분 및 돈분퇴비를 3년간 연용하면서 방울토마토의 생육 및 수량, 그리고 연용후 토양이화학성을 조사하였다. 계분 및 돈분퇴비의 사용량과 시용 횟수가 증가할수록 토마토의 생육량 및 과실수량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뚜렷한 경향은 없으나 대체로 과실의 당도와 과실 개체당 중량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계분 및 돈분퇴비만 사용할 경우 가비중과 경도는 현저히 낮고 공극율은 높았으며, 유기물과 치환성 칼륨의 함량은 높은 반면 치환성 칼슘의 함량이 낮아 일부 토양의 물리성과 화학성이 적정범위에 미달하거나 초과하는 불균형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퇴비와 화학비료의 조화있는 활용을 통한 지력증진이 필요하다.

  • PDF

느타리의 생육 온습도 및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변화 (Changes of quality in Pleurotus ostreatus during low-temperature storage as affected by cultivation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 이윤혜;이한범;주영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4-38
    • /
    • 2011
  • 느타리버섯의 생육단계에서 재배온도 및 상대습도를 조절하여 선도 유지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수행한 결과, 생육온도별 저장기간에 따른 버섯의 수분함량은 상대습도가 낮은 처리에서 다소 낮았다. 생육조건별 중량감모율은 저장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였으며, 처리간 큰 차이 없었고, 갓신장율은 저온생육시에는 상대습도 $95{\pm}5%$ 처리에서 저장 21일에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에서는 상대습도 $80{\pm}5%$ 처리에서는 저장 24일에 가장 높았다. 버섯의 물성을 분석한 결과, 경도와 탄성은 저장기간이 길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상대습도 및 생육온도에 의한 차이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느타리버섯을 발이유기 후 생육온도 $13^{\circ}C$, 상대습도 80%이상으로 조절하여 생육하여 250~300g 랩포장하여 $4{\pm}1^{\circ}C$에 저장 했을때 24일까지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었다.

오디즙을 첨가한 녹말오디다식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arch Oddi Dasik Added with Mulberry Fruit Juice)

  • 이정희;우경자;최원석;김애정;김미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29-636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tarch Oddi Dasik(MSOD) manufactured with various addition levels (0, 5, 10, 18 and 28%) of mulberry fruit (Oddi) juice (MFJ), with various levels(55%, 50%, 45%, 37% and 27%) of sucrose syrup, and with the ratio of rice powder: mungbean starch (1:4)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Korean Dasik (a kinds of cookie) methodology.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Oddi and MSOD were examined, and sensory evaluation and physical tests of MSOD added MFJ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Oddi, the contents of moisture, crude fat, crude protein, crude ash, and vitamin C, and the levels of acidity, pH and sugar were 88.45%, 0.245%, 2.23%, 0.88%, 53.20 mg%, 8.00%, 4.41 and 11.0 Brix%, respectively. In MSOD (Oddi 10%), the contents of moisture, crude fat, crude protein, and crude ash, were 22.8%, 0.117%, 9.2% and 0.8%, respectively, and were all increased with increasing MFJ amount. In MSOD (Oddi 10%), the contents of Ca, Mg, K and Fe were 63.2 mg%, 70.9 mg%, 376.0 mg% and 7.7 mg%, respectively. and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MFJ amount.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additional amount of MFJ, sensory evaluation and physical tests were conducted. From the total characteristics of sensory evaluation, the MSOD with 10% MFJ was judged as the best. Color L and b values of MSOD significantly decreased and a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MFJ percentage. Hardness, gumminess, adhesiveness and chewiness among the texture characteristics of MSO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MFJ amoun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of the MSOD. In conclusion, the optimal added amount of MFJ for the manufacture of the MSOD was proposed to be 10% of the total weight.

백운배의 화학성분과 생리활성 효과 (Chemical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Native Pear c.v. ‘Baekwoon’)

  • 허북구;박용서;박윤점;정규진;조자용;오경택;정웅서;이경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49-558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native pear c.v. 'Baekwoon' grown in Mt. Baekwoonsan, Gwangyang, to develop as a local specialty product. the sensory characteristics, chemical composition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aekwoon' pear were examin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Niitaka' pear. Hardness of 'Baekwoon' pear was 19.30N, which was higher than 'Niitaka'. The sugar content of 'Baekwoon' was 11.5 $^{\circ}Brix$, which was lower than 'Niitaka'. The total amino acid contents of the fruit skin and flesh of 'Baekwoon' were 222 mg/100g dry weight (DW) and 130 mg/100g DW, respectively, which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Niitaka'. Especially, serine contents in fruit skin and flesh of 'Baekwoon' were 75.4 mg/100g DW and 40.2 mg/100g DW,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of 'Niitaka'. However,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total phenol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tal flavonoid conte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Baekwoon' were lower than or similar to those of 'Niitaka'. Consequently, vitamin and amino acid contents of 'Baekwoon' were better than those of 'Niitaka'. It is suggested to use fruit skin because of its good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so that it helps to improve the quality and the biological activ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