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ozen krill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8초

Krill solube의 가공 및 아미노산 조성 (PROCESSING OF DRILL SOLUBLE AND ITS AMINO ACID COMPOSITION)

  • 이응호;김세권;조덕재;한봉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35-240
    • /
    • 1979
  • krill을 식용화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paste상 및 분말상의 krill soluble을 가공하고 제품의 구성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 리의 조성을 검토하였다. 생동결 krill, 자가소화 및 $0.2\%$의 pronase-p의 첨가후의 가수분해에 의한 paste상과 분말상의 krill solube의 구성아미노산 중에는 glutamic acid, lysinge 및 aspartic acid가 가장 많았으며, cystine과 histidine이 가장 적었다. 생동결 krill의 유리아미노산중에는 lysine, arginine, proline, glycine, alanine 및 leucine이 가장 많았으며, cystine과 histidine 그리고 구성아미노산에서 그 함량이 많던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가 가장 적었다. 자가소화에 의한 paste상의 krill soluble의 유리아미노산에서는 생동결 krill에서 보다 glutamin acid, serine threonine, isoleucine, aspartic acid, valine 등의 량이 많아졌으며, 특히 glutamic acid는 거의 40배정도로 증가하였다. 전체적으로는 lysine, leucine, threonine 및 alanine 등이 많았으며 cystine, aspartic acid 및 histidine의 량이 적었다. $0.2\%$의 pronase-p를 첨가하여 가수분해한 paste상의 krill soluble 유리아미노산에는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이 량이 자가소화시보다 월등히 큰 증가폭을 보였으며 전체적으로는 lysine, leucine, arginine, alanine 및 proline이 많았으며 cystine, histidine, serine 등의 량이 적었다. 생동결 krill 및 drill soluble의 필수아미노산은 함량면에서 달걀과 비교하여 손색이 없었다.

  • PDF

남대양산 크릴의 이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ANTARCTIC KRILL 2. Processing of Paste Food, Protein Concentrate, Seasoned Dried Product, Powdered Seasoning, Meat Ball, and Snack)

  • 박영호;이응호;이강호;변재형;김세권;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5-80
    • /
    • 1980
  • 크릴을 원료로 하여 품에 대한 화학적 및 관능적 평가를 포함하는 일련의 실험을 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krill paste의 제조에 있어서 krill juice는 $71\%$, krill scrap는 $29\%$의 수율을 나타내었으며, krill juice에서 분리한 krill paste는 $53\%$, krill broth는 $47\%$의 수율을 나타내었다. Krill paste의 아미노산 조성은 prol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및 leucine의 함량이 많았고, histidine, methionine, tyrosine, serine 및 threonine의 함량이 적었으며 필수아미노산에 있어서는 leucine 및 lysine의 함량이 높았고 methionine의 함량이 낮았다. 2. 크릴분말단백질의 제조에 있어 최적가공조건은 원료에 대하여 10배량의 $90\%$ isopropyl alcohol나 ethyl alcohol을 가하여 $80\%$에서 5분간 추출하는 조작을 5회 반복하는 것이었다. 추출용제로서는 ethyl alcohol 보다 isopropyl alcohol이 양호하였으며, 크릴분말단백질의 수율은 생동결크릴의 경우는 isopropyl alcohol 추출때가 $10.2\%$ ethyl alcohol 추출때는 $8.8\%$였고, 자숙동결크릴의 경우는 각각 $13.0\%$$11.8\%$였다. 크릴분말단백질의 아미노산조성은 생육질부의 아미노산조성과 거의 비슷하였다. 한편 크릴분말단백질을 첨가한 국수를 제조하여 관능검사를 한 결과, 원료 밀가루에 대하여 $3\%$까지 첨가 한 것이 국수 품질에 큰 영향을 주지않고 단백질을 강화할 수 있다고 판정하였다. 3. 크릴조미조림품의 품질은 전반적으로 볼 때 열풍건조크릴을 원료로 한 것이 가장 양호하였고, 다음이 일건크릴을 원료로 했을 때이며, 자숙냉결크릴을 원료로 한 것이 가장 못 하였다. 4. 크릴의 건조분말에 볶은참깨가루, 소금, 분말우육엑스, monosodium glutamate, 고추가루 및 후추가루를 각종 비율로 배합하여 분말조미료를 만들 었을 때의 품질은 색택에 있어서는 열풍건조크릴을 사용한 것이 양호하였고, 냄새는 일건크릴을 원료로 한 것이 양호하였으며, 열탕에 녹였을 때의 풍미는 sample B(크릴함량 $77\%$)가 가장 적당하였다. 5. 크릴 및 조기를 각종 비율로 배합하고 여기에 일정량의 밀가루, monosodium glutamate 및 소금을 첨가하여 krill meat ball을 만들어 그 색택, 맛 냄새, texture 및 젤리강도 등에 대하여 관능검사를한 결과, 크릴의 첨가량이 $25\%$까지의 제품이 양호하였으며, 생동결 및 자숙동결크릴을 원료로 했을 때의 품질차는 인정할 수 없었다. 6. 크릴, $\alpha$-전분, 고구마전분, 설탕, 소금, monosodium glutamate, glycine, 주석산칼리, 중탄산암모늄 및 중탄산소오다를 각종 비율로 배합하여 크릴${\cdot}$스낵${\cdot}$과자를 만들어 품질을 비교 검토한 결과 sample B(크림함량 $7.1\%$) 및 sample C(크릴함량 $10.8\%$)서 가장 양호하였다. 크릴${\cdot}$스낵${\cdot}$과자의 제조에 있어서 각종 전분의 가공적성을 시험한 결과 고구마전분이 가장 양호하였고 다음이 옥수수전분, 갈분의 순이었으며, 밀가루가 가장 못 하였다. 튀김방법은 소금튀김에 비하여 기름튀김이 좋은 결과를 나타내있고, 튀김온도는 $210\~215^{\circ}C$가 적당하였다.

  • PDF

해동방법에 의한 냉동크릴의 불소이동 (Fluoride Migration of Frozen Antarctic Krill According to Thawing Methods)

  • 김길환;김동만;김영호;윤혜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8-171
    • /
    • 1990
  • 냉동크릴의 가공처리와 식용에 필수과정인 해동시, 각질로부터 육질에로의 불소이동속도 및 육질내 불소농도를 상온해동, 저온해동, 유수해동 및 초단파해동 등의 해동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동방법에 따라 키틴질부위의 불소가 육질로 이동하는 불소이동속도와 불소이동량에 차이를 보였고, 해동시간에 따라 육질내 불소농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해동완료 후 육질의 최종 불소농도는 탈각대조군인 냉동크릴육질의 불소농도보다 2-5배 정도 높은 값을 보였다. 따라서 크릴을 어획한 후에는 즉시 철저한 탈각처리를 통하여 육질로의 불소이동을 최대한 줄여야 하매, 탈각처리를 거치지 않은 생냉동크릴로 운반, 저장, 가증될 경우에는 최적해동방법을 모색하여 해동시의 불소이동을 최소화시켜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남대양산 크릴의 이용에 관한 연구 1. 크릴의 식품원료학적인 성상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ANTARCTIC KRILL 1.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Fresh Frozen and Preboiled Frozen Krill)

  • 박영호;이응홍;이강호;변재형;류홍수;최수안;김선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91-200
    • /
    • 1979
  • 새로운 단백질자원인 남빙양산크릴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식품원료학적인 특성의 구명에 주목적을 두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1978년 1월 30일 남비양에서 어획하여 생동결 및 자숙동결한 크릴을 시료로 하여 일반성분조성, 아미노산조성, 중금속류의 함량, 가식부의 비율, 해동시의 drip 발생량 및 그 결성 등에 대하여 연구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 일반성분조성에 있어서 생동결크릴은 자숙동결크릴에 비하여 지방 및 유리아미노실소의 함량이 높고 회분함량이 낮았다. VBN량은 생동결크릴이 $37.6mg\%$, 자숙동결크릴이 $26.4mg\%$로 상당히 높고, pH는 생동결크릴은 7.1, 자숙동결크릴이 7.2로 비교적 낮았는데, 이러한 VBN 및 pH값은 시료 크릴의 저장기간이 길고, 냉동보관의 빈번한 변동으로 선도가 많이 저하한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생동결크릴의 육질부아미노산조성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proline 및 leucine의 함량이 높고, methionine, histidine, serine, tyrosine 및 phenylalanine의 함량이 적었으며, 필수아미노산에 있어서는 lysine 및 leucine의 함량이 높고 methionine 및 phenylalanine의 함량이 낮았다. 한편 유리아미노산조성에 있어서는 proline, lysine, glycine, arginine 및 alanine의 함량이 높고 histidine, methionine, aspartic acid, serine 및 threonine의 함량이 낮았으며, 필수아미노산에 있어서는 lysine 및 leucine의 함량이 많고 methionine 및 threonine의 함량이 낮았다. 크릴의 구성아미노산이나 유리마미노산 조성에 있어서 필수아미노산인 lysine의 함량이 많은 점은 영양적으로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3. 크릴의 중금속함량은 Hg가 $0.039\~0.048ppm$, Pb가 $0.06\~0.11ppm$, Zn가 0.32이하 Cd가 $0.008\~0.012ppm$, C가 ND, Fe가 $0.61\~0.68ppm$, Cu가 $0.87\~1.37ppm$로 전반적으로 함량이 낮았다. 단 Cu의 함량이 비교적 높은 것은 갑각류의 혈액구성성분인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4. 가식부와 부하식부의 비율은 생동결크릴이 37:63이고 자숙동결크릴이 42:58로 외견상 가식부비율이 자숙동결크릴이 많았다. 5. 해동시의 drip의 유출량은 생동결크릴이 약 $36\%$ 자숙동결이 약 $24\%$로 생동결크릴이 많았고, 크릴의 성분조성에 있어서는 생동결크릴의 경우가 고형조단백질 및 조지방의 함량이 현저하게 많았고 회분함량은 적었다.

  • PDF

Organic Acid Extraction of Fluoride from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 Xie, Cheng Liang;Kim, Han Soo;Shim, Kil Bo;Kim, Yeon Kye;Yoon, Na Yeong;Kim, Poong Ho;Yoon, Ho D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5권3호
    • /
    • pp.203-207
    • /
    • 2012
  • The amount of fluoride removed from Antarctic krill via organic acid extraction depends on the extraction time, concentration, extraction volume, and the nature of the acid itself. The fluoride content in Euphausia superba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fluoride ion in acidic extracts using an ion-selective electrode. The best results were obtained by adding 50 mL of 0.01 M citric acid to 0.3-0.5 g of krill and extracting for 5 min. Under these conditions, recoveries of fluoride from frozen whole krill and krill meat were 95.6-99.5% and 97.5-101.3%, respectively. The dry basis fluoride contents of krill by-product, krill meat and the boiled krill were 705, 298, and 575 ppm, respectively. These leve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citric acid extraction.

남대양산 크릴의 이용에 관한 연구 3. 크릴젓의 제조와 그 품질 평가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ANTARCTIC KRILL 3. Processing ad Quality Evaluation of Salted and Fermented Krill)

  • 박영호;이응호;이강호;변재형;오후규;변대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1-87
    • /
    • 1980
  • 크릴젓을 식염농도별, 숙성기간별로 일반성분조성, pH, VBN 및 유리아미노질소의 변화, 아미노산조성 및 관능검사의 결과등을 종합하여 볼 때 크릴젓의 숙성은 극히 빠르고 보장력이 떨어 지므로 식염농도 $17\%$ 부적당하며, 반면 식염농도 $32\%$는 보장효과는 크나 염미가 너무 강하여 식용에 부적당하므로 식염농도가 $22\~27\%$인 것이 적당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또한 크릴젓을 담을 때 적당량의 알코올을 첨가하면 제품의 풍미, 외관 및 보장력을 크게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 내었는데, 알코올의 농도는 식염농도가 $22\%$인 경우 $3.9\~5.9\%(v/w)$ 적당하였다. 크릴젓의 유리아미노산은 30일간 숙성기간중 3.2배로 증가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원료크릴에 함량이 적었던 aspartic acid, leucine, tyrosine, isoleucine 및 glutamic acid등의 증가율이 높고, 반대로 함량이 많았던 glycine, proline, lysine, arginine및 alanine등의 증가율이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실험사료 중 크릴 첨가가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치어의 성장 및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Krills on the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해영;남명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70-77
    • /
    • 2020
  • 최초 체중 3.09±0.02 g 조피볼락 치어에서 먹이원으로 냉동크릴 (FWK) 그리고 크릴분말 (KM) 첨가량 (0~40%)에 따라 6종 실험사료로 7주간 사육한 결과 최종 체중, 증체율, 사료효율 및 전어체의 일반성분 중 회분에서는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났지만, 생존율과 전어체의 일반성분 중 수분, 조단백질 및 지질에서는 유의적인 차이 없이 유사하였다. 사육실험 후 크릴 첨가 먹이 종류에 따른 최종 체중은 7.4~12.0 g, 증체율은 141~286%로 먹이 종류에 따라서 유의적으로 성장 차이를 나타내었다. 사료효율은 36~72%로 성장처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크릴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12.0 g으로 FWK10구에서 9.3 g과 유의적으로 유사한 최종 체중을 나타내어 다른 시험구보다는 높은 최종 체중을 나타내었다. 즉, FWK 20% 이상 및 크릴분말 0%, 10%, 20%구에서는 7.4~7.8 g으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냉동크릴구에서 냉동크릴 무첨가구와 유사하거나 냉동크릴 및 크릴분말 함유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은 전어체 회분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FWK20KM20구에서 어분으로 단백질 함량을 높여주어도 성장, 사료효율 및 전어체의 일반성분에서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조피볼락 치어 사료에 냉동크릴 및 크릴분말 10~40% 첨가 시 성장, 사료효율 및 생존율 향상에 효과가 없었다. 그러나 냉동크릴만 10% 첨가 시에는 어분만을 첨가한 사료와 유사한 양호한 성장, 사료효율 및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Monthly Variations in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 Kim, Min-A;Jung, Hae-Rim;Lee, Yang-Bong;Chun, Byung-Soo;Kim, Seon-B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7권4호
    • /
    • pp.409-419
    • /
    • 2014
  •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various specific components of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in the catch season between March and August were investigated. Frozen krill were freeze-dried and milled. The proximate composition comprised water, proteins, fats, ash, fatty acids, and amino acids, while the specific components were vitamins, minerals, nucleotides, betaine, and astaxanthi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krill ranged from 77 to 80%, with the highest value in June, and the ash content was between 12 and 13%. The protein content was lowest in May, and the fat content was 18-19%, with the highest value in March. The amino acid content varied according to the season: taurine and glycine were highest in August; ${\beta}$-alanine was higher in April and May; and arginine, ornithine, and lysine were highest in March. The unsaturated fat content was ~50% and omega-3 fatty acids were highest in June. Oil-soluble vitamins A and E were highest in March, and the water-soluble vitamin content was less than that of oil-soluble vitamins. The mineral content was highest in June, and the most abundant mineral was sodium at 235.60 mg/100 g krill. The content of other minerals was lowest (2.94 mg/100 g) in April, except for lead. The nucleotide content was highest in July, while the betaine content was highest in April and lowest in June. The astaxanthin content was highest in May and ranged from 6 to 10 ppm in other months.

크릴을 원료로 한 식품가공용 중간소재(크릴페이스트) 가공에 관한 연구 (Processing of Intermediate Product(Krill Paste) Derived from Krill)

  • 이응호;차용준;오광수;구재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5-205
    • /
    • 1985
  • 크릴을 보다 유효하게 식량으로 이용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크릴을 원료로 하여 식품가공용 중간소재, 즉 크릴페이스트(krill paste)를 제조하기 위한 가공조건, 중간소재로서의 이용법 및 저장안정성을 검토하고 아울러 제품의 화학성분을 분석하였다. 동결크릴을 쵸퍼 (chopper)로 마쇄하고 마쇄크릴양에 대하여 $25\%$에 해당하는 물을 첨가한 다음 교반 해동한 후 원심분리($1,500{\times}g$, 10min.)하여 액즙과 잔사를 분리하는 것이 좋았다. 이 액즙을 간접가열방식으로 $98^{\circ}C$, 20분간 가열한 다음 스폰지상의 열응고단백질을 여포로 여과하여 마쇄함으로써 크릴페스트를 얻을 수 있었고, 동결저장 중 크릴페이스트의 결착성증진, 지질산화 및 변색방지를 목적으로 크릴페이스트에 대해 중합인산염 $0.2\%$와 sodium erythorbate $0.3\%$를 첨가하여 이를 carton box에 충전포장하여 접촉식동결장치로써 급속동결($-35^{\circ}C$)시킨후 동결저장하였다. 이때 부산물로 얻어지는 진한 도색의 새우와 같은 방향을 갖고 있는 엑스분은 그대로 또는 농축하여 조미료나 수우프소재로, 잔사는 양어이료로서 이용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상의 조건하에서 제조된 크릴페이스트제품의 일반성분은 수분 $78\%$, 조단백질 $12.9\%$, 조지방 $5.9\%$였으며, 수은, 카드뮴, 아연, 납 및 구리 등의 유해성중금속함양은 각각 0.001ppm, 1.15ppm, 9.1ppm, 0.63ppm 및 11.38ppm으로 이 는 식품위생적으로 안전한 함량이었다. 크릴페이스트제품의 구성아미노산은 taur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lysine 및 arginine등의 함량이 많아 전체아미노산의 $55\%$를 차지하였으며, 유리아미노산은 taurine, lysine, glycine, arginine, proline 등의 함량이 많아 전체유리아미노산의 $65\%$를 차지하였다. 또한 크릴케이스트제품의 지방산조성은 포화산이 $32.4\%$, monoene산이 $29.6\%$, polyene산이 $38.0\%$였으며, 주요 구성 지방산으로서는 eicosapentaenoic acid ($17.8\%$), oleic acid($16.9\%$), palmitic acid($15.3\%$), myristic acid ($8.7\%$) 그리고 docosahexaenoic acid($8.4\%$)의 함량이 많았다. 명태냉동고기풀로서 어육소시지를 가공할 때 제품 품질에 손색없이 크릴페이스트로서 명태냉동고기들을 $20{\sim}30\%$ 대체할 수 있었다. 또한 이때 식용색소를 사용하지 않아도 크릴페이스트의 색소만으로 어육소시지의 색깔을 유지시킬 수 있었다. 동결저장 중 크릴페이스트제품의 품질은 $-30^{\circ}C$에서 100일간 저장하여도 화학적, 미생물학적으로 안정하였고, 중합인산염 $0.2\%$와 sodium erythorbate를 $0.3\%$ 첨가함으로써 식품가공용 중간소재로서 제품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지질산화 및 변색도 억제시킬 수 있었다. 크릴을 원료로 하여 식품가공용 중간소재로서 이용가치가 있고, 저장성도 좋은 크릴페이스트제품을 가공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남극 크릴새우의 고액분리 기술개발 (Development of Solid/Liquid Separation Technique for Krill (Eupausia superba))

  • 오인환;장철환;김운걸;양상엽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3-38
    • /
    • 2011
  • 크릴새우의 고액분리효율을 규명하기 위하여 크릴새우를 해빙시킨 다음 고액분리기만 사용하였을 경우, 솔 (Brush) 분쇄기 또는 날 분쇄기로 크릴새우를 분쇄한 후 고액분리기를 사용하여 효율을 측정하였을 경우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고액분리기만으로 분리한 경우와 솔분쇄기와 날분쇄기로 분쇄한 후 고액 분리기를 적용한 결과 3차 시험에서 분리효율은 각각 46.2%, 60.2%, 60.4%를 나타내었다. 고액분리기만을 사용하였을 경우보다 날 분쇄기와의 조합에서 분리효율의 증가는 2차 시험에서 10.1%, 3차 시험에서 14.2%로 각각 나타났고, 처리용량은 4.2kg/min으로 되었다. 고액분리 전에 날분쇄기로 분쇄한 후 고액분리기로 분리하는 것이 이상적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