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sh kimchi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8초

저장용기에 따른 김치의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by Storage Containers)

  • 임재운;문주수;김현덕;나두종;손종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0-85
    • /
    • 2004
  • 본 연구는 알루미나, 바이오, 스텐레스 및 플라스틱 등의 저장용기에 따른 김치의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새로운 소재의 김치 저장용기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저장용기에 따른 김치의 pH 및 산도의 변화는 알루미나 용기에서 가장 적었으며 스텐레스, 바이오, 플라스틱 용기 순으로 나타났다. 저장용기에 따른 김치의 염도 변화는 저장 초기와 저장 후기에서의 큰 변화는 없었으며 저장용기별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모든 저장용기에서 환원당의 함량은 저장초기에 22.7 mg/mL이었으나 저장 20일째부터는 급격히 감소하여 31일째에는 알루미나, 바이오, 스텐레스 및 플라스틱 용기에서 각각 11.1, 3.7, 5.4 및 3.1 mg/mL로 감소하였다. 저장용기별 김치의 견고성, 응집성 및 점착성은 저장기간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으며 감소되는 정도는 알루미나 < 바이오 < 스텐레스 < 플라스틱 용기순으로 알루미나 용기의 김치가 가장 조직감의 변화가 적었다. 저장용기별 김치의 신맛에 대한 관능적 특성은 알루미나 용기에서 가장 오랜 기간 "적당하다"라는 반응을 보였으며 생배추의 맛이나 아삭삭한 정도의 특성도 다른 용기의 김치에 비해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김치 저장용기별 pH, 산도, 염도, 환원당, 조직감, 관능특성의 변화를 비교해 볼 때, 김치의 신선도 유지에 가장 우수한 저장 용기는 알루미나 > 바이오 $\geq$ 스텐레스 > 플라스틱 용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순으로 나타났다.

Ca2+처리 절단배추의 소포장 단기 저장 특성 (The short-term storage characteristics of cut kimchi cabbages treated with Ca2+)

  • 김상섭;성기운;황희영;정문철;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7-162
    • /
    • 2014
  • 배추의 신선편이 제품화를 위하여 $Ca^{2+}$용액을 처리하여 소포장 단기 저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배추를 절단($3{\times}3$ cm)하여 2% calcium chloride(Ca), ascorbic acid(As), citric acid(Ct), 2% calcium chloride와 2% citric acid 용액(Ca/Ct)에 침지하여 LDPE 백($18{\times}20$ cm)에 넣어 $5^{\circ}C$에서 6주간 저장하였다. 중량은 0.13~0.72% 감소하였으며, Ca/Ct구의 감소율이 가장 낮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18.85~35.00% 감소하였으며, Ca/Ct구의 감소율이 가장 낮았다. 적정산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Hunter 색차계에 의한 L값은 감소하였으며,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Ca/Ct구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Ca^{2+}$과 citric acid 처리에 의하여 절단배추의 단기저장 시 선도가 연장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절단배추의 포장재질에 따른 단기 저장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t kimchi cabbage during short-term storage depending on the packaging materials)

  • 손은지;황인욱;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23-628
    • /
    • 2015
  • 절단 배추의 포장재에 따른 저장 중 품질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배추($3{\times}3cm$)를 PP film, OPP film, LDPE film백에 각각 넣은 후 $5^{\circ}C$에서 4주 동안 저장하면서 저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중량은 0.03~0.24%의 범위로 감소하였으며, PP film 포장구가 가장 낮은 감소율을 보였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0.03{\sim}0.2^{\circ}Brix$의 범위로 감소하였으며, PP film 포장구가 낮은 감소율을 보였다. 적정산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PP film과 OPP film 포장구의 증가율이 낮았다. 색도값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포장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역시 포장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외관상 품질특성은 PP film 포장구가 다른 포장보다 우수하였다. 따라서 투명한 PP film으로 절단배추를 포장하여 저장 및 유통하는 것이 선도 및 품질 유지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배추절임시 염수농도와 침지온도 및 시간에 따른 특성 변화 (Characterization cf salted Chinese cabbage in relation to salt content, temperature and time)

  • 심영현;안기정;유창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10-215
    • /
    • 2003
  • 오늘날 우리의 김치제조는 가정 내 소규모 제조보다는 산업화, 공장화 제품으로 변화되어 가는 추세이다. 현장에서 도움이 되면서도 질적으로 우수한 김치 제조를 위한 가장 기초라 할 수 있는 절임 공정은 무시 될 수 없는 부문이기에 본 실험에서도 배추 절임 시 가장 중요한 염 용액의 농도와 절임 시 온도변화 절임 시간을 달리해 절임 배추의 조직감에 대한 기초자료 확립에 목적을 두었다. 최적염도 2.8 도달점과 조직감을 살펴볼 때 10% 염용액 $25^{\circ}C$ 10시간째, 15%염용액 $25^{\circ}C$ 6-8시간대에서 가장 빨리 도달한다. 조직감은 10-15% 염용액에서 6-10 시간대에서 우수한 질감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온도가 올라갈수록 적정 염농도인 2.80에 도달하는 시간이 각 시료마다 다르고 조직감에서는 질긴 조직감보다는 신선하고 청량감을 줄 수 있는 조직감을 보이는 시료가 10% 염용액, $25^{\circ}C$, 10시간째, 15%, $25^{\circ}C$, 6-8 시간째로 염농도 도달점, 조직감이 일치하므로 절임시간과 온도, 염용액의 염도를 보정함이 맛과 영양적으로 우수 할 뿐만 아니라 시간적, 경제적인 부문에서도 많은 경감효과를 가지고 올 수 있다고 본다.

알칼리성 이온수의 조리용수로서의 이용 (Availability of Alkaline ionic Water as a Cooking Water)

  • 오승희;하태익;장명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8-15
    • /
    • 1993
  • We have examined the utility of alkaline ionic water for processing water In order to compare with piped tap water in cooking rice, making kimchi, making bean curd, raising bean sprouts and parboiling spinach. And we have estimated the quality of them.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was as follow. A rice cooked with alkaline ionic water had pale yellow color, and had good quality in polish, viscocity, taste, odour and retrogradation as compared with a rice cooked of piped tap water. In the case of a water kimchi, refreshing taste and other kinds of taste were good. Unpleasant taste and smell have decreased. Fresh colour of a Chinese cabbage were maintained long because of the prevention of destruction of chlorophyll. In the case of bean sprouts, sprouting rate was promoted up to 2∼3% during the period of 2∼3 days as compared with that treated with piped tap water And the growth state was good and the contents of vitamin C were high as compared with those with piped tap water. In the case of parboiling of green spinach, the alkaline ionic water helped keeping the chlorophyll of spinach. In the case of bean curd, soft taste, polish, smell and total taste were good. The Utility value of alkaline ionic water for the processing of soft bean curd was recognized by making it soften.

  • PDF

Food consumption frequency of Korean adults based on whether or not having chewing difficulty using 2013-2016 KNHANES by sex-stratified comparative analysis

  • Kim, Mi Jeo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4권6호
    • /
    • pp.637-653
    • /
    • 2020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s between food consumption frequency of Korean adults and self-perceived chewing difficulty, using th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112 items) from 2013-2016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SUBJECTS/METHODS: Subjects were divided into not difficult in chewing (NDC) and difficult in chewing (DC) groups, with 24.17% being classified into DC. Males and females consumed 35 and 37 items less frequently than the other sex, respectively. Due to the remarkable gender difference in food consumption, gender-stratified one-sided survey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fter adjusted for the effect of age, household income, and self-rated health status. RESULTS: Thirty-four items of FFQ were significantly less consumed by the DC group. Females exclusively consumed less beverages and alcohol while males showed the same for fruits and milk·dairy products. Consumption frequency of 8 items such as steamed potatoes·grilled potatoes, stir fried beef, other kimchi·fresh vegetable kimchi, orange, sour pork·pork cutlet, tteokbokki and green tea were significant only in males. In contrast, 17 items including cooked rice with other grains and legumes, boiled egg·steamed egg, Korean cabbage kimchi, banana, and tofu stew·soft tofu stew were significant only for females. Finally, items that showed significance for both were 9 items including loaf bread, ready-to-eat cereal, steamed sweet potatoes·grilled sweet potatoes, stir-fried lotus roots·stir-fried burdock, green laver salad·brown seaweed salads, apples, tomato·cherry tomatoes, squid (raw, dried shredded, boiled, stir-fried), and curd type yogurt. CONCLUSIONS: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 chewing difficulty may be an important nutritional issue that has to be dealt with for healthful food consumption, with distinct interest of gender.

경북 일부지역 영유아보육시설 급식의 나트륨 함량 실태조사 (Study on Sodium Contents of Kindergarten Lunch Meals in Gyeoungsangbuk-do Area)

  • 송단비;이경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48-655
    • /
    • 2016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alt and sodium content of lunch meals served at foodservice center for children in Gyeongsan-si, Gyeongsangbuk-do. Methods: Five foodservice centers for children registered at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were investigated for salt and sodium content and salt content contributing rate per meal. Results: Average salt content of every meal was $1.78{\pm}0.54g$, and average sodium content was $680.99{\pm}175.97mg$. The 98 of 100 meals served in 5 foodservice centers for children exceeded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recommendation for adequate intake of sodium per meal of 333 mg. The highest sodium content was 1,369.85 mg. Samples from lunch meals were classified into 14 food items and investigated for one serving size, salinity, salt and sodium content. Total average salinity was 0.31%, kimchi (0.49%), followed by soup (0.45%), hard-boiled foods (0.39%), stir-fried foods (0.39%), and fresh-vegetables (0.32%). Total average salt content was 0.39 g, the most salty dishes were one-dish rice noodles, followed by soup (0.65 g), hard-boiled foods (0.49 g), stir-fried foods (0.48 g), and broth stew (0.43 g). Samples from lunch meals were classified into 6 menu groups, including cooked rice, one-dish rice noodles, soup stew, main dish, side dish, and kimchi. Contributing rate for total average salt content was high in one-dish rice noodles (48.97%), soup stew (38.47%), main dish (27.28%), side dish (21.02%), kimchi (18.56%), and cooked rice (3.95%). Conclusion: These results can be useful for reducing total dietary sodium content to less than 333 mg in children who are provided lunch meals at foodservice centers. To achieve this goal, development of low-sodium recipes, and nutrition education for foodservice employees is required.

한국 전통음식에 사용된 매운 맛 (Spicy Taste of Korean Traditional Food)

  • 조우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74-382
    • /
    • 2011
  • The origin of Korean traditional food's spicy taste dates back to the first telling of the Dangun myth-a story of a tiger and bear who tried to reincarnate themselves in human form by eating garlic and wormwood. For a long time, Koreans have eaten spicy vegetables such as green onion, garlic, ginger, mustard, leeks, corni, cinnamon bark, and Chinese peppers (Zanthoxylum schinfolium) and Zanthoxylum bungeanum. In prehistoric times, spicy vegetables were probably used to eliminate the smell of meat. In the agricultural age, they were used to supplement meals with fresh taste. They were also used as a substitute for salt (salt was very precious and expensive) as well as side dishes for the poor. Spicy vegetables have also been used as a substitute for main dish like medicinal gruel and used to increase the spiciness of soup, and they are usually used as a side dish and with condiments in namul (cooked vegetable dishes), sangchae (salad), ssam (wrapped in greens and garnished with red-pepper paste or other condiments) and Kimchi. In addition, chili pepper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mid-15th, 16th century). The soil and climate of the Korean Peninsula are suitable to growing chili pepper, and chili pepper has excellent adaptability and productivity. Accordingly, it is processed to red pepper powder and has become a major part of traditional Korean food along with Chinese pepper. Since the Joseon Dynasty, many kinds of Kimchi made with red pepper powder have been developed, and most Koreans enjoy them these day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Korean food are spiciness and honest-to-goodness taste.

배추 및 절임배추의 위생화를 위한 오존살균기술의 이용 (Effect of Ozone Treatment for Sanitation of Chinese Cabbage and Salted Chinese Cabbage)

  • 이경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90-96
    • /
    • 2008
  • 김치가 갖는 신선한 맛과 향을 지니면서 저장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기초실험으로서 냉온살균기술의 하나인 오존살균기술을 이용하여 김치 원부재료 중에 가장 함유량이 많은 배추 또는 절임배추에 오존을 처리하였을 때 이들의 미생물학적 및 화학적 특성변화를 저장기간별로 측정하였다. 배추 및 절임배추에 부착된 총균수는 각각 $1.3{\times}10^7$ CFU/g 및 $7.1{\times}10^6$ CFU/g이었으나 오존처리를 한 경우에는 대조군보다 낮은 균수를 보였으며 저장기간이 증가하는 동안에도 대조군보다 낮은 균수를 유지하였다. 효모 및 곰팡이 수는 대조군의 경우 각각 $6.0{\times}10^3$ CFU/g, $1.2{\times}10^3$ CFU/g으로 나타났으나 오존처리시 감균되었으며 저장기간 내내 낮은 균수를 유지하였다. 또한 배추 및 절임배추에 존재하는 성분(ascorbic acid 및 환원당)의 함량 변화와 색도 및 경도의 변화에서는 오존처리에 의한 변화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마선 조사된 배추 및 브로콜리의 전처리방법에 따른 전자스핀공명분석 특성 (Characterization and Identification of Gamma-Irradiated Kimchi Cabbage and Broccoli by 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scopy using Different Sample Pre-treatments)

  • 곽지영;안재준;;김귀란;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532-539
    • /
    • 2012
  • 섬유소 식품의 조사처리 여부 확인에서 전자스핀공명분석법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감마선 조사된 브로콜리와 배추의 전처리 건조방법(FD, OD, ALD, 및 WAD)에 따른 cellulose radical을 분석 비교하였다. 브로콜리 시료에서는 single central signal($g_0$=2.0007)이 나타났으며, 배추 시료에서는 single central signal 외에 $Mn^{2+}$ ion에 의한 sextet signal이 추가로 발견되었다. 조사처리한 채소류에서는 singlet signal을 중심으로 좌우 두 개의 side peak가 나타났으며, 각 side peak의 거리는 5.8-6.1 mT로 조사처리 유래의 cellulose radical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채소류의 부위별로 ESR spectra를 비교한 결과, 배추는 뿌리와 줄기, 브로콜리는 잎, 줄기 모두 조사처리 여부를 판별하는데 있어 적합하였다. 건조 방법별로는 FD와 OD 처리 시 ESR 강도는 더 높았으나, $Mn^{2+}$ ion과 함께 나타나 명확한 signal을 얻기 어려웠다. 반면, ALD와 WAD 방법의 경우 $Mn^{2+}$ ion이 제거되고, signal ratio도 적합하게 나타나 조사 처리된 채소류의 ESR 판별시, ALD와 WAD 방법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