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sh ginseng quality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5초

새싹인삼의 필름포장과 가스조성이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lm Packaging and Gas Composition on the Distribution and Quality of Ginseng Sprouts)

  • 장은하;이지현;최지원;신일섭;홍윤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2-166
    • /
    • 2020
  • Background: Ginsenosides, which have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are known to be abundant in the leaves and roots of ginseng. Ginseng sprouts can be used as a fresh vegetable and roots, stems, and leaves of ginseng can be consume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bon dioxide treatment and the modified atmosphere (MA) packaging method in suppressing quality deterioration during the distribution of ginseng sprouts. Methods and Results: Ginseng sprouts were packed using Styrofoam, barrier film + non gas treatment, barrier film + gas treatment, 15 ㎛ polyamide (PA) double film + non gas treatment, 15 ㎛ PA double film + gas treatment, 25 ㎛ PA film + non gas treatment, or 25 ㎛ PA film + gas treatment. Quality parameters including gas composition, relative humidity, chlorophyll SPAD (Soil Plant Analysis Development) value, firmness, and rate of quality loss in ginseng sprouts were monitored at the following temperatures: 20℃, and 10℃. Ginseng sprouts packaged with 25 ㎛ PA film showed loss in quality because of wilting owing to low relative humidity within the film. Chlorophyll and firmness did not differ between film and gas treatments. The time point at which the combined loss from softening and decay owing to fungal, and bacterial infection and wilt reached 20% was considered the limit of distribution. At 20℃, the packaging not included in the 20% distribution loss rate limit or up to 7 days was 15 ㎛ PA double film + gas treatment. At 10℃, the packaging not included in the 20% distribution loss rate limit for up to 18 days were barrier film + gas treatment and 15 ㎛ PA double film + gas treatment. Conclusions: The film packaging suitable for the distribution of ginseng sprouts was found to be the barrier film and PA film with low gas permeability and maintaining hygroscopicity at 95% relative humidity. To prevent the loss in quality of ginseng sprouts, gas treatment (8% of O2 and 18% of CO2) in the film was found to be more suitable than no gas treatment for inhibition of decay.

1-methylcyclopropene 처리의 수삼의 신선도 유지 및 저장성 연장 효과 (Effect of 1-methylcyclopropene Treatment on Extension of Freshness and Storage Potential of Fresh Ginseng)

  • 박미희;신유수;김선주;김지강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3호
    • /
    • pp.308-316
    • /
    • 2013
  • 수삼은 생리적인 노화와 미생물군에 의한 부패에 따른 품질의 변화로 인해 상대적으로 낮은 저장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에틸렌 작용 억제제인 1-methylcyclopropene(1-MCP) 처리가 수삼의 저장기간 동안 품질 및 미생물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확된 수삼은 $1{\mu}L{\cdot}L^{-1}$ 1-MCP를 $4^{\circ}C$에서 20시간 처리 후 상온에서 18일간, 저온($4^{\circ}C$)에서 160일간 저장하였다. 상온에서 18일간 저장 시 1-MCP가 처리된 수삼의 중량감소율은 8.3%로 무처리구의 10.1%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수삼을 $4^{\circ}C$에서 장기저장 시, 중량감소율은 저장 120일까지는 1-MCP 처리구와 무처리구간의 차이 없이 약간 증가하였다. 반면에 $4^{\circ}C$에서 120일 이상 저장 시는 1-MCP 처리구에 비해 무처리구가 높은 중량감소율이 나타났다. 수삼의 호흡량과 에틸렌 발생량은 상온저장 시 1-MCP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다. 또한 1-MCP 처리는 상온저장 시 대조구에 비해 미생물군이 적게 나타났다. 반면에 저온에서 단기저장 시(45일간)에는 1-MCP 처리구와 무처리구간의 중량감소율과 미생물 군에서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MCP 처리에 따른 중요한 ginsenosides 함량의 변화도 없었다. 본 연구결과는 1-MCP가 상온에서 단기저장 시 및 저온에서 장기저장 시 수삼의 신선도 유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또한 1-MCP 처리는 수삼이 저장 및 수송 중에 접할 수 있는 외부 에틸렌의 유해한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수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인삼의 표면 세척시스템을 개발을 위한 공정처리기술에 관한 연구 (Study on Process Development of Ginseng's Surface Washing System)

  • 이현석;권기현;정진웅;최창현;한재웅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4권4호
    • /
    • pp.234-242
    • /
    • 2009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develop surface washing-system of ginseng. The effect of sterilization, washing and keeping freshness of ginseng through analyzing unit process were examined to establish optimal condition for washing system. Surface washing method of fresh ginseng used two way and full cone spray type. Sterilization was used at $2^{\circ}C$ water with electrolysis water of 50 and 80 ppm. Ginseng was sterilized with electrolysis water during 30 and 60 s, dehydrated during 1 min and dried during 1min at 30 and $50^{\circ}C$. Hardness of surface-washed ginseng showed good result on 1 min spraying time with 80 ppm electrolysis water at $10^{\circ}C$ storage. Ginseng with 80 ppm electrolysis water was sterilized better with $1.05{\times}103$. There are no changes with 0% on appearance quality at 80 ppm electrolysis.

고랑관수에 의한 수분공급이 인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urrow Irrigation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Panax Ginseng Plant in a Loam)

  • 박철수;강제용;이동윤;안대진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4호
    • /
    • pp.279-282
    • /
    • 2008
  • 생육기간동안 고랑에 관수하여 토양수분을 18-20%로 유지한 고랑관수구와 자연강우에 의존하여 토양수분을 공급한 대조구의 생육 차이, 수삼 수량, 수삼 및 홍삼 품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3년생 및 6년생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고랑관수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출아율, 전엽 및 상대생장율을 포함하는 모든 생육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3년생의 10 a당근수량은 고랑관수구가 대조구에 비해 50% 정도 증수되었고, 6년생은 60% 이상 증수되었다. 6년생 수삼품질은 고랑관수구가 1, 2등급 비율이 30.0%로 대조구의 22.6%에 비해 증가되는 효과를 얻었다. 홍삼품질에 있어서 고급홍삼인 천지삼 비율은 고랑관수구가 43.0%로 대조구의 30.6%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홍삼품질에 영향을 주는 백피, 내공, 내백이 감소하는 반면 균열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홍삼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생산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생육기간에 관수를 통해 토양수분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시켜 주어 생육을 증대시키고 인삼잎에 수분을 충분히 공급하여 광합성을 원활하게 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적절한 토양수분의 관리는 수량 및 홍삼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앞으로는 인삼재배지의 토양특성, 기후특성 및 지형 등의 조건에 부합하는 수분의 공급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stics and Quality of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Grown under Upland and Paddy Field

  • Lee Sung Woo;Kang Seung Won;Seong Nak Sul;Hyun Geun Su;Hyun Dong Yun;Kim Young Chang;Cha Seon W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389-393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and extract content between upland and paddy ginseng cultured with 4­year-old ginseng in 2003. Although upland ginseng showed larger variation in yield than that of paddy ginseng, the average of it was greater than that of paddy ginseng because it showed better growth of aerial part and higher survival rate than that of paddy ginseng. Moisture content of fresh root was $71.8\%\;(68.5\~73.1\%),\;and\;72.7\%\;(70.2 \~74.9\%)$ on average in upland and paddy ginseng, respectively. Paddy ginseng showed higher hardness in taproot, and higher rate of rusty colored root than that of upland ginseng. The ratio of taproot dry weight in upland ginseng was smaller than that of paddy ginseng, while that of lateral root was larger in upland ginseng. Ratio of marketable root (>60g) to total harvested roots was $13.7\%\;(0.82\~8.0\%)\;and\;7.7\%\;(1.6\~12.6\%)$ in upland and paddy ginseng, respectively. Extract content did not show distinct difference between upland and paddy ginseng, but it showed large variation from $16.1\;to\;25.1\%$ in taproot, and from $24.2\;to\;32.5\%$ in lateral root depanding on the ginseng field examined.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홍삼 원료삼 경작지원 시스템 (Cultivation Support System of Ginseng as a Red Ginseng Raw MaterialduringtheKoreanEmpire andJapaneseColonialPeriod)

  • 조대휘
    • 인삼문화
    • /
    • 제5권
    • /
    • pp.32-51
    • /
    • 2023
  • 홍삼이 19세기에 청나라로 대량 수출되면서 개성에 대규모로 홍삼 원료삼 재배 단지가 조성되었다. 개성 상인 간 특유의 민간주도형 대부 제도인 시변제(時邊制) 는 인삼 재배에 필요한 막대한 비용을 조달할 수 있게 하였다. 대한제국 황실은 1895년에 포삼규칙(包蔘規則)을 공포하였는데 이것이 홍삼 전매제의 효시이다. 1899년 일본인들에 의한 삼포 침탈이 심해지자 황실은 일본인들에 의한 인삼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군대가 경비를 하고, 원료삼 수납대금의 50~90% 정도를 수확 전에 미리 지급하는 국가 주도형 배상금 선교제도(賠償金 先交制度)를 운영하였다. 1895년 종자 가격이 상승하자 일부 상인들이 중국과 일본의 저질 종자를 수입하고 판매하게 되었다. 이에 1920년 공포한 홍삼전매령에서는 정부 허가 없이 외국 종자 수입을 금지하게 되었다. 일제강점기 초기인 1906년~1910년의 인삼경작은 폐농 수준이 되어 1910년도 홍삼 원료 수삼 수납량은 불과 2,771근에 불과하였으나 1915~1919년과 1920~1934년까지 각 기간 중 연평균 수삼 수납량은 각각 약 11만 근, 15만 근 수준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홍삼 원료 수삼 생산량 증가는 1908년부터 실시된 수삼 배상가격 사전 공시, 신규면적 재배 비용 융자, 우수경작인 장려금 지급 등 다양한 삼업 육성정책에 기인한 것이다. 그러나 당시 일제의 궁극적 목표는 한인 삼포주의 육성이 아니라 홍삼 사업의 이익금으로 식민지 경영유지 비용을 마련하려 했던 것이다.

인삼의 임간재배가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ivation under Forest on thc Growth and Quality of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 남기열;손석룡;배효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권1호
    • /
    • pp.16-30
    • /
    • 1980
  • In order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ginseng, a cultural experiment was carried out under different types of natural forest condition. Seedlings were transplanted with three spacing (70,90 and plants per 1.62m2) under the broad leaved, needle and mixed forest.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1 Growth of aerial part of ginseng plant. 1) Vegetative growth under forest condition of very poor as compared with ordinary cultiv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n number of leaf and teasel. 2) Stem diameter and stem length under the different forest types were a little difference. However petiole length and number of leafet showed an increasing trend in broad leaved forest as compared with other forest types. 3) The withering date of aerial part of ginseng plant in the needle forest was later than of others. 2. Fresh weight of ginseng root per plant was decreasing in the order of broad leaved forest, needle and mixed forest, needle and sized forest respectively. However the root weight was much smaller than that of ordinary cultivated one. 3. No big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growth of both aerial and root among the planting density 4. Nitrogen content in ginseng root under forest was lower, but calcium content In root was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one. 5. Fat and fiber content of ginseng root under forest showed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one. 6. The saponin content of ginseng root grown under forest condition was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ginseng root. According to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m of saponin, only difference from ordinary cultivated ginseng root was that ginsenoside Re showed higher peak than ginsenoside Rg1.

  • PDF

Shelf-life prediction of fresh ginseng packaged with plastic films based on a kinetic model and multivariate accelerated shelf-life testing

  • Jong-Jin Park;Jeong-Hee Choi;Kee-Jai Park;Jeong-Seok Cho;Dae-Yong Yun;Jeong-Ho Lim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73-588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onitor changes in the quality of ginseng and predict its shelf-life. As the storage period of ginseng increased, some quality indicators, such as water-soluble pectin (WSP), CDTA-soluble pectin (CSP), cellulose, weight loss, and microbial growth increased, while others (Na2CO3-soluble pectin/NSP, hemicellulose, starch, and firmness) decreas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as performed using the quality attribute data and the principal component 1 (PC1) scores extracted from the PCA results were applied to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 reaction rate at different temperatures and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reaction rate were determined using kinetic and Arrhenius models, respectively. Among the kinetic models, zeroth-order models with cellulose and a PC1 score provided an adequate fit for reaction rate estimation. Hence, the prediction model was constructed by applying the cellulose and PC1 scores to the zeroth-order kinetic and Arrhenius models. The prediction model with PC1 score showed higher R2 values (0.877-0.919) than those of cellulose (0.797-0.863), indicating that multivariate analysis using PC1 score is more accurate for the shelf-life prediction of ginseng. The predicted shelf-life using the multivariate accelerated shelf-life test at 5, 20, and 35℃ was 40, 16, and 7 days, respectively.

블랜칭 처리에 의한 신선편이 둥근마의 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cut Dioscorea bulbifera treated under various blanching conditions prior to vacuum-packaging during storage)

  • 성봉재;김선익;지무근;김수동;권아름;김현호;이가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65-575
    • /
    • 2017
  • 둥근마를 신선편이 형태로 제조 포장하여 소비를 촉진하고자 하였으며, 박피 및 dice형태로 자른 둥근마를 세척, 열수 및 2%염수에서 블랜칭 처리를 한 후 온도에 따라 예건처리를 하여 진공포장을 한 후 $2^{\circ}C$에 저장하면서 품질의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블랜칭 처리 후, HB마가 경도가 가장 낮았으며 포장 전 $40^{\circ}C$$50^{\circ}C$에서 30분간 예건처리한 것이 상온에서 처리한 것보다 경도가 높게 나타났고, 저장일수가 증가할수록 미미하게 경도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Adhesiveness는 SB50마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기간 동안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 둥근마 dice의 초기색도는 L 값은 WRT마가 가장 높았고, a 값은 HBRT마가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W40마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저장일수가 증가할수록 L 값과 a 값은 SB50마가 감소의 폭이 가장 적었고 b 값은 W40마가 가장 변하지 않았다. 진공포장하여 저장한 dice마에서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저장 90일째까지 세균수가 가장 적은 처리구는 SB50마이었고, 그 다음이 HB50마이었으며 초기 세균수가 적으면서 진공포장이 유지된 WRT마에서도 저장성이 인정되었다. 둥근마 원료의 dioscin과 diosgenin의 함량은 건물중으로 17.65 mg% 및 6.35 mg%이었으며 전처리를 행한 결과 dioscin함량은 HB마가 15.35-16.10 mg%로 가장 높았지만 저장일수가 증가하는 동안 감소의 폭이 가장 적었던 처리구는 SB마이었다. Diosgenin함량은 저장 전 마중에 SB40과 SB50마가 6.22 및 6.21 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나 저장일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원료마 중 allantoin 및 allantoic acid의 함량은 각각 및 3.66 mg/g 및 28.70 mg/g이었으며 전 처리한 시료 중에서 W40과 W50마에서 각각 5.21 mg/g, 및 4.66 mg/g으로 원료가 가진 함량보다 높게 나타났고 저장 30일까지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그 이후는 함량이 크게 변하지 않았다. Allantoic acid함량의 변화를 보면 저장 30일째까지는 약간 증가하는 처리구가 있었으나 대부분 저장기간일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둥근마를 dice형태로 자른 후 2% 염수에 30초간 블랜칭하여 진공포장하면 $2^{\circ}C$에서 60-90일간은 유통기한 및 품질유지에 효과적이어서 신선편이 형태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재배조건(栽培條件)이 홍삼(紅參)의 내공발생(內空發生)에 미치는 영향(影響) (Relation between Cultural Condition and Occurrence of Internal Cavity in Red Ginseng)

  • 윤종혁;김재정;박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5-180
    • /
    • 1992
  • 홍삼(紅參)에서 내공발생(內空發生)은 품질저해요인(品質沮害要因)으로서 큰 비중을 자지하고 있다. 내공발생(內空發生)의 원인을 구명하고자 전국 주요산지의 재배환경 조건과, 그 산지에서 생산한 수삼(水蔘)을 각 포장별로 홍삼제조후 내공발생율(內空發生率)을 6개년간 조사하여 그 관계를 해석하고 여기서 얻은 주 요인들을 확인코자 몇개의 포장시험을 수행하여 확인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홍삼에서 내공발생은 약 70%가 인삼동체의 주피부와 중심부 경계면에서 발현하므로 수삼의 주피부와 중심부간의 소질 차이에서 시인되는 것으로 보인다. 2. 홍삼에서 내공발생률이 27.5% 이상일 때는 천지삼율 저하와 밀접한 관계에 있지만 그 이하로 적게 발생할 때는 내공외의 다른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였다. 3. 광(光)이 많이 들어가는 해가림구조(전후주고(前後柱高), 전후주(前後柱) 및 해가림 폭(幅)/후주고(後柱高) 비(比)가 큼)에서 내공발생율(內空發生率)이 높은 경향이나 유의성은 없었으며, 투광율(透光率) 15.9% 까지는 내공발생(內空發生)이 줄어들다가 그 이상으로 높아지면 다시 증가하였다. 4. 토양수분(土壤水分)과 내공발생율(內空發生率)과의 관계는 내공발생율(內空發生率)이 27.5% 이상으로 심할때는 부상관(負相關)이고 그 이하에서는 정상관(正相關)을 보여, 토양수분은 내공발생이 많을 때에는 내공(內空)요인으로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보이며, 토양공극율(土壤孔隙率)도 같은 경향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