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quency reuse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초

렌탈 서비스 이용고객의 위험지각 및 서비스품질이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Using Consumers' Risk Perception and Service Quality on the Intention of Repurchase in the Rental Service)

  • 하규수;전세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569-584
    • /
    • 2022
  • 본 연구는 렌탈 서비스 이용고객의 위험지각 및 서비스의 품질이 고객의 재이용 의도에 영향 주는 영향을 분석하고, 인구 특성에 따른 차이를 밝힘으로써 공급자 입장의 전사적인 마케팅전략 구축 및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유효한 결과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총 218개 데이터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SPSS프로그램(통계)을 통한 빈도, 요인, 평균, 신뢰성 및 회귀분석, ANOVA, t-test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첫째, 위험지각이 렌탈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능적, 심리적 위험이 서비스품질에 마이너스(-)의 영향을 미치며. 둘째, 서비스품질과 재이용 의도와의 관계는 공감성 요인이 높은 플러스(+)의 영향을 미치고 있고, 위험지각이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능적, 심리적 위험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며 금전적 위험지각도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었다. 결론적으로 단기간 이용고객과 주부에 대한 위험지각과 관련된 마이너스(-)의 영향을 줄이고 서비스품질에 대한 신뢰성과 공감성을 제고시켜 마케팅 전략 집중도를 높이는 것이 공급자의 매출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도출해 내었다.

치위생과와 비치위생과 학생의 잇솔질과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실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for the Use of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and Tooth Brushing between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

  • 오혜승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21-127
    • /
    • 2009
  • 본 연구는 S보건대학에 재학 중인 치위생과와 비치위생과 재학생 287여명을 대상으로 구강건강향상을 위한 잇솔질과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 실태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잇솔질에 관한 특성부분에서 두과 모두 잇솔질 횟수는 하루에 2-3번(p < 0.05), 사용기간은 2-5개월(p > 0.05), 잇솔질 방법은 두 과 모두 안다고 조사되었으나(p > 0.05), 잇솔모의 사용에서는 치위생과는 보통모(51.2%), 비치위생과는 부드러운모(51.5%)로 조사되었다(p > 0.05). 2. 치실고리, 고무치간자극기, 물사출기, 혀세정기에 관한 인지도, 현재사용여부에서 두 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 > 0.05), 용도이해부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3. 전동칫솔, 가그린에 관한 인지도, 현재사용여부에서 두 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 PDF

전라우수영 성곽 부재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및 산지추정 (Petrological study and Provenance estimation on the stone materials from the Jeolla Usuyeong Rampart, the Republic of Korea)

  • 박상구;김성태;김준혁;김선향;백예람;김재환;좌용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50-259
    • /
    • 2018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일대에 축성된 전라우수영 성곽의 부재를 대상으로 암석학적 연구를 수행하고 산지를 추정하여 보수정비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인 전라우수영은 2016년에 사적 제535호로 지정되었으며 성곽의 잔존구간은 약 15% 정도로 보존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성곽 부재에 대한 암석기재적 특징을 바탕으로 축성에 사용된 암석을 분류하고 사용비율을 산출하였으며 동시에 전암대자율을 측정하였다. 채취한 성곽 시료의 현미경관찰로 광물 구성 및 조직 등을 파악하였으며 주변지역에 대한 지질조사를 통해 축성 재료의 가능성이 있는 주변암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성곽 부재는 크게 응회암류와 기타 암석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대부분이 응회암류이며 세부적으로는 응회암, 화산력 응회암, 화산력암이다. 부재로 사용된 비율을 살펴보면 화산력 응회암이 60.3%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이어서 응회암(34.7%), 화산력암(2.5%) 순이다. 전암대자율 측정 결과 응회암류는 $1{\times}10^{-3}$ SI unit 이하의 낮은 값과 $1-14{\times}10^{-3}$ SI unit의 높은 값을 보이는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주변암은 응회암이 우세하나 위치마다 기재면에서 차이를 보이며 그 외의 응회암류는 화원면 신덕리 일대에 분포한다. 암석기재적인 특징과 전암대자율 값, 채석산지의 가능성을 고려하면 부재의 응회암은 문내면 동외리, 화산력 응회암은 화원면 신덕리 일대가 산지로 추정된다. 추가로 축성 재료의 기준 설정을 위해 성곽의 주요 부재를 대상으로 물성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압축강도 면에서 응회암이 약 156 MPa의 양호한 값을 보였다. 물성시험 결과와 부재의 암종 별 사용량을 종합하면 성곽의 보수정비 시 대체석으로는 응회암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주생활 영역 교과내용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필요성 및 요구도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Necessity and Demands of Teachers and Students for Housing Contents in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

  • 최혜미;김선중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5-89
    • /
    • 2007
  • 본 연구는 중학교 기술 가정 주생활 영역 교과 내용에서 교사와 학생의 필요성 인식 및 요구사항을 비교하여 앞으로 주생활 영역의 새로운 탐색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 효과적인 교육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조사대상을 울산 지역의 중학교 가정 담당 교사와 고등학교 1학년 남 여 학생으로 선정하였으며 자료 수집을 위해 메일 및 우편, 방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를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주생활 영역에 대한 교육 필요성 인식정도를 알아본 결과, 생활공간의 활용 영역에서 교사는 가구 이용과 배치, 물건의 정리와 수납이 높게 나타났고 학생은 가구 이용과 배치, 가구 종류와 선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내환경과 설비 영역에서 교사는 통풍과 환기, 온도와 습도가 높게 나타났고 학생은 통풍과 환기, 온도와 습도가 높게 나타났다. 주택의 유지와 보수 영역에서 교사는 주택의 유지 관리 필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생은 주택설비와 보수에 관한 내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앞으로 채택되길 바라는 주생활 영역의 교육내용을 알아본 결과, 주거 관련 일반 영역에서 교사는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주택, 미래에 나타날 주택에 관한 정보, 학생은 친환경적 주거환경,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주택이 채택되길 희망하였다. 실내디자인 영역에서 교사는 컴퓨터를 활용한 실내 공간 표현, 주택 재료의 종류와 특성, 학생은 사용하던 가구를 재활용하는 방법, 주택 재료의 종류와 특성이 채택되길 희망하였다. 주택 마련 방법 및 직업 영역에서 교사는 주택 관련 직업에 관한 종류, 학생은 주택 구입을 위한 자금 마련 방법과 주택의 절차 및 고려사항이 채택되길 희망하였다. 셋째, 주생활 영역에 대한 교사와 학생간의 필요성의 인식정도와 요구도를 비교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분석한 결과 서로 차이가 있었다. 전반적으로는 교사가 학생보다 필요성의 인식정도와 요구도가 높았으나 주택 설비 유지, 친환경적 주거환경에 관한 내용은 학생이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