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ze dried

검색결과 1,122건 처리시간 0.023초

유유와 과즙으로 만든 발효유의 동결건조 (Freeze Drying of Fermented Milk Prepared from Milk and Fruit Juices)

  • 고영태;오미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448-1455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과즙-우유 혼합 기질로 만들어진 발효유를 동결건조하고, 동결건조 전과 후의 생균수, pH의 변화, 관능성 및 휘발성 향기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동결 또는 동결건조에 의하여 발효유의 pH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생균수는 동결, 특히 동결건조 도중에 급격히 감소하였는데, 동결 전의 균수를 100%로 했을 때, 동결 후의 생존율은 $64.5{\sim}85.2%$, 동결건조 후의 생존율은 $10.0{\sim}21.1%$였다. 사과쥬스-우유의 혼합 비율이 15:35인 기질로 만든 발효유와 동일한 발효유를 동결건조-환원한 시료의 관능성을 비교했을 때, 동결건조 전의 시료가 후의 시료보다 관능성이 우수하며, 이와 같은 경향은 포도쥬스-우유 혼합 시료의 경우에 보다 현저하였다. 동결건조 전과 후의 모든 시료에서 ethanol, diacetyl, butanol, acetoin이 검출되었고, 포도쥬스 함량이 높은 시료에서는 acetone도 검출되었으며, 동결건조에 의하여 모든 시료의 휘발성 향기 성분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실험에서 검출된 향기 성분 가운데 젖산균 발효에 의하여 생성된 향기 성분은 ethanol, diacetyl, acetoin 이었다.

  • PDF

폴리에틸렌글리콜 처리에 의한 백년초, 알로에 절편의 탈수 및 건조와 기존 건조 방법과의 비교 (Dehydration of Opuntia ficus-indica and Aloe vera Slices Using Polyethylene Glycol and Comparison with Other Drying Methods)

  • 유동진;왕숙매;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1024-1029
    • /
    • 2010
  • 폴리에틸렌글리콜(PEG) 4,000을 20, 30, 40% 농도로 처리하여 백년초와 알로에 절편을 건조한 후, 열풍건조와 동결건조 처리된 시료와 복원율, 색도, 관능평가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건조시간에 따른 탈수 양은 두 시료 모두 PEG의 농도가 높을수록 탈수효율이 좋았다. 복원율에서는 열풍건조와 동결건조 처리 시료보다 PEG 처리 시료가 더 높은 복원율을 가졌다. 색도에서는 동결건조와 유사하였고 열풍건조보다는 우수하였다. 관능평가에서는 열풍건조나 동결건조보다 PEG 처리한 시료가 더 우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PEG를 이용한 백년초와 알로에 절편의 건조는 시료의 세포파괴를 최소화하고 신선한 시료 본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인 건조방법이라고 판단되며, 건조된 제품을 향후 기능성화장품 원료 등으로의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Maltodextrin을 이용한 고추의 건조 (Drying of Green Pepper Using Maltodextrin)

  • 김민희;김민기;유명식;송영복;서원준;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94-698
    • /
    • 2008
  • Maltodextrin 농도 30, 50, 80% 처리로 고추를 건조 한 후, 동결건조와 열풍건조 처리된 시료와 복원율, 색도, 관능 평가를 비교, 분석 하였다. 고추의 수분함량 측정 결과, maltodextrin의 농도가 높을수록 최종 탈수되는 수분량은 많았고, 건조된 고추의 복원율은 maltodextrin 처리가 다른 건조 방법 보다 높은 복원율을 가졌다. 색도에서는 동결 건조와 유사하였고 열풍건조 보다는 우수하였다. 관능 평가에서는 동결건조와 열풍건조 시료와 비교하여 maltodextrin 처리한 고추가 보다 우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maltodextrin을 이용한 고추건조는 시료의 영양성분 손실 및 세포의 파괴를 최소화하고 신선한 시료 본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인 건조방법이라고 판단된다.

Effect of Starch Noodle (Dangmyeon) and Pork Intestines on the Rehydration Stability of Korean Blood Sausage (Sundae)

  • Kim, Youngmin;Jang, Hyejin;Lim, Sangdong;Hong, Sangpi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53-163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tarch noodles (dangmyeon; SNs) with different starch sources and porcine intestines (PIs) with different pH on the rehydration stability of Korean blood sausage (sundae). Mungbean SN3 and PI3 (pH 9.18)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of 80.69%-91.67% and 79.66%-80.98%, respectively, regardless of the drying methods (hot air, vacuum and freeze drying) (p<0.05). A number of larger pores were observed only in the cross-section of the freeze dried SN and PI through SEM. SN2 (potato starch) and PI3 (pH 9.18) showed lower expansion (⁎ΔL 6.90 mm) and higher expansion ratio (⁎ΔL 26.29 mm), respectively, after rehydration of freeze dried sample (p<0.05). From the application of SN2 (potato starch) and PI (0.5%-2.0% Na-pyrophosphate) to freeze dried sundae manufacturing, higher rehydration stability of more than 91.5% was obtain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otato SN and treatment of PI with Na-pyrophosphate is useful for desirable rehydration stability of freeze dried sundae.

냉동.동결건조된 Tetraselmis suecica의 먹이효과 (Dietary Value of Frozen and Freeze-Dried Tetraselmis suecica)

  • 김철원;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83-191
    • /
    • 1998
  • 조개류의 인공종묘생산시 생멱이생물의 대체먹이원을 개발하기 위해 냉동 EH는 건조한 먹이생물의 먹이효율을 조사하였다. T. suecica를 대상으로 실험구를 생 T. suecica, 건조 T. suecica, 냉동 T. suecica, 생 T. suecica(50%)+냉동 T. suecica(50%), 생 T. suecica(50%)건조 T. suecica(50%)를 구분하여 참굴과 개량조개 유생 그리고 바지락 치패에게 먹이로 공급하며 먹이효율을 비교하였다. 참굴 유생의 경우는 생 T. suecica를 공급한 실험구가 각고 $231.9^{\mu}$m로 성장이 가장 좋았고, 생존율은 72.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른 실험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건조 T. suecica를 단독으로 공급한 실험구에 각고 $168.7^{\mu}$m, 생존율 39.3%로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량조개 유생에서는 생 T. suecica를 공급한 실험구가 각장 $213.0^{\mu}$m, 생존율 42.9%로 가장 좋았으나 다른 실험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바지락 소형 치패의 경우 성장은 생 T. suecica, 생 T. suecica(50%)+냉동T. suecica50%)를 공급한 실험구와 다른 실험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대형 치패 경우 성장은 생 T. suecica, 생 T. suecica(50%)+건조 T. suecica(50%) 실험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그러나 바지락 치패의 생존율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같이 냉동, 건조된 T. suecica의 먹이효율은 유생의 종류와 성장단계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 T. suecica를 부분적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생마늘과 동결건조마늘의 휘발성 유기성분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Organic Components in Fresh and Freeze Dried Garlic)

  • 김연순;서혜영;노기미;심성례;양수형;박은령;김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885-891
    • /
    • 2005
  • SDE추출방법 과 GC/MS로 분석에 의하여 생마늘과 동결 건조마늘의 휘발성 유기성분을 비교하였다. 생마늘과 동결 건조마늘에서 각각 42종, 32종의 화합물이 확인되었으며 , 대부분이 황화합물이었고 alcohol류, aldehyde류, ester류도 확인되었다. Diallyl disulfide, diallyl trisulfide, allyl methyl disulfide, allyl methyl trisulfide는 생마늘과 동결건조마늘 에서 확인된 주요 황화합물이었다. 3-Methyl pyridine, 2-methyl-4-pentenal, 2,3,3-trimethyl-1,4=pentadiene, methional등 생마늘에서 확인된 화합물은 동결건조마늘에서 소실되었고 propanethiol, 2-ethyl-3-butenal, acetic acid 등은 동결건조마늘에서 확인되었으며, 전체적인 휘발성 유기성분의 총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이었다. 동결건조에 의 하여 마늘의 주요 휘발성 유기성분 중 diallyl disulfide, diallyl trisulfide, allyl methyl disulfide, allyl methyl trisulfide, diallyl sulfide,3-vinyl-4H-1,2-dithiin 등 대부분의 황화합물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methyl propyl trisulfide, 3- allylthiopropionic acid, cyclopentyl ethyl sulfide 등은 증가하였다. 그 외 ethyl acetate, ethanol,2-propenol, 2-propenal, hexanal 등의 휘발성 유기성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constituted Milk Made from Freeze-dried Milk Powder or Spray-dried Milk Powder

  • Kim, Song-Hee;Chang, Yoon-Hyuk;Kwak, Hae-So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8-35
    • /
    • 201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between reconstituted milk samples made from freeze-dried milk powder (FDMP) and spray-dried milk powder (SDMP). Reconstituted milk (87%, wb) was made by combining FDMP or SDMP with water. In the color analysis, the $L^*$, $a^*$ and $b^*$ values of the reconstituted milk samples made from both powde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The thiobarbituric acid values and short-chain free fatty acid concentrations were considerably greater in the reconstituted milk made from SDMP than in the milk made from FDMP. The quantities of water-soluble and fat-soluble vitamins in the reconstituted milk samples made from SDM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made from FDMP. Based on the finding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the reconstituted milk made from FDMP appeared to be more resistant to lipid oxidation and exhibited little changes in the nutrients levels when compared with reconstituted milk made from SDMP.

건조방법에 따른 아로니아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in Aronia melanocarpa depending on drying methods)

  • 이슬;문혜경;이수원;문재남;김종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1018-1025
    • /
    • 2016
  • 건조방법에 따른 아로니아의 생리활성 물질을 비교하기 위해, 진공동결건조, 열풍건조 및 냉풍건조를 실시하였다. 건조방법에 따른 아로니아의 생리활성 측정결과,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_{50}$와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_{50}$은 각각 진공동결건조에서 0.72 mg/mL, 0.38 mg/mL로 열풍건조 및 냉풍건조와 비교하였을 때 가장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총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탄닌 함량은 진공동결건조에서 각각 6.19 g GAE/100 g, 3.10 g QE/100 g, 2.46 g TE/100 g으로 열풍건조와 냉풍건조보다 높은 함량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안토시아닌 함량은 열풍건조 및 냉풍건조 시 생과에 비해 줄어들었지만 진공동결건조에서는 약 4.5배 증가하였다. 총 프로안토시아니딘 함량은 진공동결건조 6.21 g CE/100 g>열풍건조 3.18 g CE/100 g>냉풍건조 2.60 g CE/100 g>생과 0.71 g CE/100 g 순으로 나타났다. Chlorogenic acid 함량 및 neochlorogenic aicd 함량은 진공동결건조에서 각각 180.08 mg/100 g, 125.09 mg/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위의 실험결과, 진공동결건조가 아로니아의 생리활성을 강화시키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일 것으로 생각된다.

번데기 단백질(蛋白質)의 추출성(抽出性)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要因) (Factors Affecting the Extractability of Protein of Silkworm Larvae)

  • 박정륭;전차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64-367
    • /
    • 1983
  • 본실험(本實驗)은 번데기의 단백질(蛋白質) 최적(最適) 추출조건(抽出條件)을 검토하기 위하여 제사공장(製絲工場)에서 나온 탈지(脫脂)번데기를 oven-dry와 freeze-dry한 두 종류(種類)를 사용(使用)하여 추출성(抽出性)에 영향을 미치는 용매(溶媒)의 종류(種類), 추출용매(抽出溶媒)와의 혼합비율(混合比率), 온도(溫度) 및 시간(時間), 추출액(抽出液)의 pH의 영향 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추출용매(抽出溶媒)에 따른 질소추출(抽出)은 0.05M NaOH에서 56%로 가장 많았으며 시료와 추출용매(抽出溶媒)와의 비율(比率)은 1 : 40일때가 질소추출(抽出)이 좋았다. (2) 추출(抽出)에 대한 온도(溫度)의 영향은 freeze-dry한 경우 $50^{\circ}C$, oven-dry한 시료가 $60^{\circ}C$에서 가장 많이 추출(抽出)되어 거의 90%까지 추출(抽出)이 가능하였으며 추출시간(抽出時間)은 10분 후 많은 차이(差異)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60분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freeze-dry한 번데기분(粉)은 oven-dry한 것보다 질소의 추출성(抽出性)이 약간 좋은 결과(結果)를 나타내었다. (3) 추출(抽出)에 미치는 pH의 영향은 pH 1.0에서 pH 11.0까지는 20%이하로 그 추출도(抽出度)가 낮았으나 pH 11.0이상에서 추출도는 급격히 증가(增加)하여 pH 13.0에서 60%이상 추출(抽出)이 가능하였다.

  • PDF

복분자의 포제방법에 따른 추출물 특성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Rubi Fructus in Relation to Drying Methods and Extraction Solutions)

  • 정헌식;황성희;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36-441
    • /
    • 2005
  • 복분자의 포제에 있어 건조방법이 추출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생복분자 딸기를 5분간 증자하고, 자연 양건, 적외선 건조 또는 동결건조한 다음 20 mesh 크기로 분쇄하고, 열수나 40% 에탄올(80$^circC$)로 3시간 추출한 후 추출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성을 조사하였다. 가용성 고형분과 총당의 추출수율은 동결건조품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적외선 건조품, 양건품 순이었으며, 건조법에 무관하게 에탄올보다는 물 추출액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의 추출수율과 추출액의 pH는 물 추출에서는 건조방법별 차이가 없었으나 에탄올 추출에서는 동결건조품에서 다소 높고 낮은 경향을 보였다. 총페놀의 추출수율과 추출액의 유리기 소거능은 동결 건조품, 적외선 건조품, 양건품 순이었으며, 물보다 에탄올 추출에서 높게 나타났다. 동결건조품에서 L값은 가장 높았고 a와 b값은 가장 낮았으며, 물보다 에탄올 추출에서 L과 b값은 높았으나 a값은 낮게 나타났다. 이로써 복분자 포제에 있어 전통적 자연 양건보다는 적외선 및 동결건조 특히, 동결건조의 적용에 의해 품질향상이 가능하며, 또한 총가용성 성분의 추출에는 물 추출이, 항산화성 성분의 추출에는 에탄올 추출이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