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ze dried

검색결과 1,122건 처리시간 0.022초

건조방법에 따른 매생이의 이화학적 성분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Capsosiphon fulvescens According to Drying Methods)

  • 손석민;권한올;이준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1582-1588
    • /
    • 2011
  • 매생이를 열풍, 진공 및 동결건조법을 이용해 건조하고 이들 건조방법이 건조 매생이의 이화학적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 중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은 건조방법과 무관하게 탄수화물(38.10~41.54%)이었으며, 다음으로 조회분(31.86~33.28%), 조단백질(17.46~23.03%), 수분(4.14~6.25%) 및 조지방(1.01~1.51%) 순으로 나타났다. 열풍건조 시료의 총당 함량이 19.5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다음으로 진공건조 시료가 19.22%, 동결건조 시료가 18.18% 순으로 나타났다. 열풍건조 시료의 비타민 C 함량은 진공건조 시료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p>0.05), 동결건조 시료보다는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열풍건조 시료 중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다음으로 proline, aspartic acid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세 가지 구성아미노산의 합은 건조방법에 따라 전체 아미노산의 33.34~34.8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생이 건조방법별 무기성분 총 함량은 열풍 및 진공건조 시료가 동결건조 시료보다 월등히 많은 무기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다량 함유하고 있는 무기성분은 건조방법과 무관하게 Na, K, Mg, Ca, P 순으로 나타났고 그 밖에 미량 무기성분으로 Fe, Mn, Zn, Cu 등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란분말의 건조, 볶음 및 증자 조건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aro Flours with Different Drying, Roasting and Steaming Conditions)

  • 문지혜;최희돈;최인욱;김윤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696-701
    • /
    • 2011
  • 토란분말의 가공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열풍건조, 동결건조, 건조 후 로스팅 및 증자 후 건조 처리하는 가공공정을 이용하여 토란분말을 제조하였으며, 이들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관찰하여 가공적성을 검토하였다. 토란분말의 수분함량과 식이섬유 함량은 열풍건조 온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였고 비타민 C 함량은 동결 건조한 토란분말에서 가장 높았다. 건조 후 로스팅하거나 증자 후 건조 처리한 토란분말의 식이섬유 함량은 열풍 건조나 동결 건조한 분말에 비해 감소하였다. 수분흡수지수는 상대적으로 증자 후 건조 처리한 분말에서 높게 나타났고 수분용해 지수는 열풍건조 및 동결 건조한 토란분말에서 높게 나타났다. DSC를 이용한 토란분말의 호화 중 열역학적 특성은 열풍건조와 동결 건조한 토란분말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건조 후 로스팅 처리 온도가 높아질수록 호화개시온도와 최대호화온도는 감소하였다. RVA 특성에서는 열풍 건조 시 온도가 높아질수록 호화개시온도가 점차 낮아지고 최고점도는 증가하였으며 전분입자가 붕괴되기 쉬운 정도를 나타내는 breakdown과 냉각 후 노화의 정도를 나타내는 setback의 수치도 높게 나타났다. 반면 증자후 건조 처리한 토란분말은 최고점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breakdown 및 setback의 수치는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열풍 건조한 토란분말의 경우 식이섬유 함량이 높으며, 호화 시 점도가 높아 반죽제품의 점도부여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며, 증자 후 건조 처리한 토란분말의 경우 수분흡수지수가 다른 처리분말에 비해 높고 호화 시 점도가 높으면서 노화를 지연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죽이나 후레이크 같은 분말제품이나 dough의 첨가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라지 뿌리의 건조방법에 따른 무기 성분 및 사포닌 함량의 변화 (Effect of Drying Methods on the Saponin and Mineral Conten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Radix)

  • 이병진;전승호;이신우;전현식;조영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636-640
    • /
    • 2014
  • 도라지 건조방법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제공하고자 일광건조, 열풍건조 그리고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무기성분과 환원당 그리고 사포닌 함량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칼륨과 칼슘은 각각 22.6과 9.2 mg%로 열풍건조에서 높게 나타났다. Platycodin D는 열풍건조에서 622.0m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latycodin D3, Polygalacin D, deapioplatycodin D는 일광건조에서 각각 113.5, 756.6, 109.2 mg%로 나타났다. Glucose와 platycodin D, platycodin D3, deapioplatycodin D의 함량간의 상관계수는 각각 -0.924, -0.957, -0.861로 고도의 음의 상관을 보였다(p<0.01). 동결건조가 다른 건조조건에 비해 색이 밝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도라지의 건조 방법은 일광건조와 열풍건조가 동결건조보다 좋은 것으로 평가 되었지만 일광건조는 건조기간이 길어 많은 노동력이 소요된다. 따라서 열을 가하여 건조하면서 건조기간도 줄이고 도라지 약리성도 높이기 위한 적정 건조 온도에 관한 연구도 수행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Drying seaweeds using hybrid hot water Goodle dryer (HHGD): comparison with freeze-dryer in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 Nagahawatta, D.P.;Asanka Sanjeewa, K.K.;Jayawardena, Thilina U.;Kim, Hyun-Soo;Yang, Hye-Won;Jiang, Yunfei;Je, Jun-Geon;Lee, Tae-Ki;Jeon, You-Ji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4권1호
    • /
    • pp.19-31
    • /
    • 2021
  • Seaweeds are a potential source of minerals, essential amino acids, fatty acids, proteins, and various bioactive compounds such as antioxidants. The higher water content of seaweeds reduces the shelf life and this requires the appropriate drying method. The drying conditions play a major role in the conservation of nutrient composition in dried seaweeds. In recent years, the seaweed industry has used many different drying methods with advantages and limitations. Hybrid hot-water Goodle dryer (HHGD) which is a special dryer mixed with hot-water and a Korean traditional heating system (Goodlejang) might be a solution to avoid these limitations.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drying conditions in HHGD on nutrient composition and bioactivities of brown seaweeds. Moreover, freeze-dryer (FD) and HHGD were employed in this study to compare the dried outputs obtained from four brown seaweed species. The present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hybrid hot-water Goodle drying method (HHGDM) on th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ried seaweeds. AOAC standard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dried samples and their 70% ethanol extract. The intracellular and extracellular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valuated using Vero cells and electron spin resonance (ESR) spectrometer respectivel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poptotic body formation, and in-vivo experiments were used for further confirmation of the quality of dried output. The proximate composition results obtained from drying in HHGD and FD did not exhibit any significant difference. Moreover, the seaweed extracts from the dried seaweeds by HHGD and FD dryings were also not different and both significantly down-regulated in-vivo and in-vitro oxidative stress. Furthermore, th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sults revealed that the two dryers did not make the major peaks different in the chromatograms. Freeze-drying method (FDM) provides elevated quality for dried output, but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high cost and low capacity. The results from a novel HHGD did not provide an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results in FD and expressed a potential to avoid the limitations in FD. Overall, these findings solidified the applicability of HHGD over FD.

쑥의 건조방법(乾燥方法)에 따른 지방산(脂肪酸) 변화(變化)에 관하여 (Changes in Compositions of Fatty Acids According to Drying Methods of Mugwort (Artemisia asiatica Nakai))

  • 김덕웅;최강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5-98
    • /
    • 1985
  • 생쑥의 건조방법에 따른 지방산 변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강화도산 생쑥을 양건(陽乾), 음건(陰乾), 열풍건조(熱風乾燥) 및 냉동건조(冷凍乾燥)시켜 ethyl ether extract함량과 그 구성 지방산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1. Ethyl ether extract의 함량은 냉동건조(冷凍乾燥)된 쑥이 5.68%로 가장 높았고 열풍건조(熱風乾燥)된 쑥이 2.45%로 가장 낮았다. 2. GLC에 의한 지방산 분석 결과 11종의 지방산 중 주된 지방산은 필수 지방산인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외에 palmitic acid가 다량 함유되어 식품 영양학적인 면에서 고무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3. 건조 방법에 따른 건조쑥의 지방산의 종류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그 조성은 상이하였다. 즉 냉동건조(冷凍乾燥)된 쑥은 산화(酸化)되기 쉬운 고도(高度)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C_{18:2}+C_{18:3})$의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저비점지방산(低沸點脂肪酸)들의 감소가 가장 적었다. 한편 열풍건조(熱風乾燥)된 쑥은 저비점지방산(低沸點脂肪酸)들이 상당량 감소되었으나 고도(高度)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은 음건(陰乾) 및 양건(陽乾)시킨 쑥보다 다소 안정하였으며 양건(陽乾)시킨 쑥의 변화가 가장 현저하였다.

  • PDF

골내치주낭에서 탈회냉동건조골 동종이식시 이식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N THERAPEUTIC EFFECTS OF DECACIFIED PREEZE DRIED BONE ALLOGRAFT IN INTRABONY DEFECTS)

  • 김성희;김종관;채중규;조규성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4권3호
    • /
    • pp.618-632
    • /
    • 1994
  • The ultimate goal of periodontal therapy is promoting the regeneration of lost periodontal tis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treatment using decalcified freeze dried bone allograft as a bone graft material. 47 intrabony defects from 27 patients with clinical diagnosis of chronic periodontitis were selected among those 24 defects were treated via flap operation only and designated as the control group, the other 23 defects were treated with decalcified freeze dired bone allografting via flap operation and designa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Clinical parameters including probing depth, loss of attachment, probing bone level and gingival recession have been recorded at 6th month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changes has been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Probing depths were reduced significantly in both control group($2.75{\pm}0.99mm$) and experimental group($3.69{\pm}0.97mm$) postoperatively(p<0.01).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p]0.01). 2. Loss of attach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both control group($1.77{\pm}1.08mm$) and experimental group postoperatively($2.70{\pm}1.55mm$).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p]0.05). 3. Probing bone levels were reduced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ce in both control group($1.08{\pm}0.97mm$) and experimental group($4.00{\pm}1.41mm$) postoperatively(p<0.01).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p<0.01). 4. Gingival recess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ontrol group($1.21{\pm}0.72mm$) and experimental group($1.00{\pm}1.09mm$) postoperatively(p<0.01).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reatment using allogenic decalcified freeze dried bone is effective in reducing probing depth, loss of attachment and probing bone level. Therefore allogenic decalcified freeze dried bone is an effective bone graft material in periodontal regeneration.

  • PDF

천안 신고배의 품질 특성 및 이를 이용한 동결건조 배 스낵 제품 개발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an Shingo Pear and Freeze-dried Pear Snack)

  • 강병선;황혜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24-329
    • /
    • 2012
  • 당침액 농도와 건조 방법을 달리하여 제조한 신고배(var. Shingo, Niitaka pear) 스낵의 특성과 제조 조건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배의 껍질과 핵을 제거하고 5 mm와 7 mm으로 절단한 후 설탕물(0%, 3%, 5%, 7%, 10%)에서 데치기를 실시하였다. 제조한 시료를 $-40^{\circ}C$에서 1일 보관 후, 24시간 냉동건조하여 밀봉보관하여 배 스낵을 제조하였다. 배 스낵의 경도는 블랜칭 조건에 의해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과육의 두께차에 의하여 5 mm 절단한 스낵이 7 mm 절단한 스낵보다 다소 증가하였다. pH와 총 산도는 생과의 경우 5.37이었으나, 스낵 제조시 pH 5.0 이하로 나타났으며, 이는 데치기할 때 사용되는 당 용액 농도나 두께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총 페놀 성분은 생과육은 3.7 mg%이었으나, 건조과정 중 수분이 용출되어 스낵은 15 mg% 이상으로 나타났다. 제조한 배 스낵의 관능검사를 한 결과, 5 mm인 경우에는 데치기 액의 설탕농도가 7%인 경우가 색상,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관능검사치가 높게 나타났으나, 7 mm인 경우에는 3%와 5%인 경우가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천공형 티타늄막을 이용한 골유도재생술 시 수종의 골이식재가 골재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one graft materials on bone formation in guided bone regeneration using perforated titanium membrane)

  • 홍승범;권영혁;박준봉;허익;정종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6권1호
    • /
    • pp.223-237
    • /
    • 2006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bone graft materials including deproteinized bovine bone(DBB), demineralized freeze-dried bone(DFDB), freeze-dried bone(FDB) on bone formation in guided bone regeneration using perforated titanium membrane(TM). 16 adult male rabbits(mean BW 2kg) were used in this study and 4 rabbits allotted to each test group. Intramarrow penetration(diameter 6.5mm) was done with round carbide bur on calvaria to promote blood supply and clot formation in the wound area. The test groups were devided into 4 groups as follows: TM only(test 1), TM +DBB(test 2), TM +DFDB(test 3), TM +FDB(test 4). Perforated titanium membrane was contoured in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0.5mm pore diameter, 10mm in one side, 2mm in inner height), filled the each graft material and placed on the decorticated carvaria. Perforated titanium membrane was fixed with resorbable suture materials.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t 2, 8 weeks after the surgery. Non-decalcified preparations were routinely processed for histologic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Perforated titanium membrane was biocompatible. 2. Perforated titanium membrane had capability of maintaining the space during the healing period but invasion of soft tissue through the perforations of titanium membrane decreased the space available for bone formation. 3. In test 1 group without bone graft material, the amount of bone formation and bone maturation was better than other test groups. 4. Among the graft materials, the effect of freeze-dried bone on bone formation was best. 5. In the test groups using deproteinized bovine bone, demineralized freeze-dried bone, bone formation was a little. The spacemaking capability of the membrane may be crucial for bone formation. The combined treatment with the perforated titanium membrane and deproteinized bovine bone or demineralized freeze-dried bone failed to demonstrate any added effect in the bone formation. Minimization of size and numbers of perforations of titanium membrane or use of occlusive titanium membrane might be effective to acquire predictable results in the vertical bone formation.

새우의 맛성분과 미세구조에 미치는 가열 및 건조방법의 영향 (Effects of Cooking and Drying Methods on the Taste Component and Microstructure of Shrimp)

  • 김현구;장영상;신효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3호
    • /
    • pp.278-285
    • /
    • 1989
  • 가열처리 및 건조방법이 새우의 맛성분과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생새우의 핵산관련물질은 ATP,ADP,AMP,IMP, inosine 및 hypoxanthine이 검출되었는데 이 중 AMP는 흔적량 검출되었으나, 가열 및 건조방법에 따라서 AMP 함량은 100g당 $23.5{\sim}45.7{\mu}mole$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열처리 및 건조에 의하여 ATP 및 ADP가 AMP로 분해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생새우 중의 유리아미노산은 arginine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glycine, lysine, proline, alanine등으로 이들 주요 아미노산 함량이 전체 유리아미노산 함량의 70%를 차지하였다.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생새우에서 건물 100g당 1,198mg이던 것이 끓인후 열풍 및 동결건조한 것은 각각 342mg 및 503mg으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가열처리시 수용성 아미노산이 용출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생새우를 가열처리 없이 열풍 및 동결건조한 것은 가열처리나 마이크로파 처리후 열풍 및 동결건조한 것보다 견고성 및 부서짐성이 높았으나 응집성과 검성은 낮았다. 동결건조한 것은 열풍건조한 것에 비하여 근육섬유질의 조직이 부드러웠고 마이크로파 처리후 열풍 및 동결건조한 것은 각각 조밀한 망상조직과 다공질의 망상조직을 형성하였다.

  • PDF

포장방법이 열풍 및 동결 건조마늘절편의 흡습속도와 Shelf-life 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ckaging Methods on Water Adsorption Rate and Shelf-life of Hot-air and Freeze Dried Garlic Slices)

  • 고하영;박형우;강통삼;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80-384
    • /
    • 1988
  • 열풍 및 동결건조 마늘플레이크의 등온흡습 곡선을 수분활성도 0.67 이하에서 직선회귀식으로 분석한 결과, 결정계수가 0.85-0.94 범위였으며, 기호도 및 ${\Delta}E$값을 기준으로 한 $40^{\circ}C$에서의 저장한계 수분활성도는 0.58-0.60이었다. $40^{\circ}C$ 75% RH에서 LDPE $40{\mu}m$로 포장한 열풍건조 마늘의 흡습속도는 포장재 면적이 $0.051m^2$에서 $0.029m^2$로 작아짐에 따라 0.12에서 $0.093g\;H_2O$/100g/day로 작아졌다. 동결건조 마늘의 경우 포장재면적 $0.051m^2$에서 $0.17g\;H_2O$/100g/day로 열풍건조에 비해 컸으며, 내용량이 50g에서 100g으로 증가하면 0.12로 감소하였다. $80{\mu}m$ LDPE로 포장된 열풍건조 마늘의 75% RH에서 온도별 shelf-life는 $40^{\circ}C$에서 99일, $30^{\circ}C$에서 283일, $15^{\circ}C$에서 455일로 예측되었다. 간이방법에 의한 투습도를 이용하여 포장재내 수분함량 변화를 예측한 결과 실측치에 비해 수분함량 10-18%에서는 0-1.5%의 편차를 보였고 수분함량 10% 내외에서 는 2% 이내의 편차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