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 proline content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3초

미더덕, Styela clava, extract의 유리아미노산 (FREE AMINO CONTENT IN THE EXRACT OF MIDEUDUCK, STYELA CLAVA)

  • 이응호;정승용;하진환;성낙주;조권옥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77-180
    • /
    • 1975
  • 우리나라 남해안지방에서 예로부터 명산물로서 즐겨먹어 온 미더덕, Styla clava,의 유리아미노산조성을 분석한 결과 전유리아미노산에 대한 함량이 많은 아미노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Taurine $32.8\%$, Proline $17.6\%$, Glutamic acid $11.9\%$, Glycine $11.2\%$, Alanine $8.9\%$, Serine $7.1\%$로서 이들 5종의 아미노산의 $89.5\%$를 차지하였고, 다음이 Threonine, Lysine, Methionine이었으며, 함량이 적은 것은 Valine, Leucine, Phenylalanine, Isoleucine, Histidine의 순이었다. 그리고 Aspartic acid, Arginine, Tyrosine은 흔적량에 불과하였다.

  • PDF

녹두(綠豆)지짐에 있어서의 함질소화합물(含窒素化合物) 특(特)히 유리(遊離) 아미노산(酸)의 소장(消長)에 관(關)하여 (A Study on Nitrogen Compounds and the Vicissitude of Free Amino Acids in Mong-bean Saute)

  • 강영희;이정옥;정하분;이기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권1호
    • /
    • pp.63-67
    • /
    • 1971
  • (1) 쌀에 있어서 보다 녹두(綠豆)에 있어서 전질소량(全窒素量), 가용성질소양(可溶性窒素量), 단백태질소양(蛋白態窒素量) 및 Alcohal 가용성(可溶性) 질소양(窒素量)이 더욱 많았다. (2) 쌀혼합녹두(混合綠豆)를 지진 경우가 지지기 전(前)보다 전질소양(全窒素量)과 단백태질소양(蛋白態窒素量)이 더 많았고 가용성질소(可溶性窒素), Alcohol 가용성(可溶性) 질소(窒素)에서는 별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Alcohol 가용성질소(可溶性窒素)에서는 약간의 감소(減少)를 보였다. (3) 녹두(綠豆)를 지짐으로 해서 Valine, ${\gamma}-aminobutyrate$, Glutamine, Arginine, Methionine, Unknown 1,2 가 소실(消失)되었고 Proline, Lysine, Homoserine, Tyrosine은 검출(檢出)되었다. (4) 쌀혼합녹두(混合綠豆)리 지진 경우 지짐으로 해서${\gamma}-aminobutyrate$, Lysine, Histidine, Tyrosine, Cysteine 이 소실(消失)되었고 Phenylalanine, Leucine, ${\beta}-alanine$이 검출(檢出)되었다.

  • PDF

비수리의 미네랄, 이미노산, 비타민 분석 (Analysis of Minerals, Amino Acids,and Vitamin of Lespedeza cuneata)

  • 정길록;임익재;이희덕;차월석
    • KSBB Journal
    • /
    • 제21권6호
    • /
    • pp.414-417
    • /
    • 2006
  • 기능성 천연물 생물소재 개발을 위한 목적으로 비수리(L. cuneata)의 미네랄, 아미노산 및 비타민 함량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무기성분은 Ca, K, Mg, P, Na, Fe,,Mn, Zn, Cu이 주성분을 이루었으며 Ca이 737.03 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유리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50.24 mg%이며 이 중 proline이 33.77 mg%로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67.2%를 차지하였고 필수아미노산은 7.49 mg%이었다. 구성아미노산은 2,817 mg% 분리 동정되었으며 필수아미노산 1,084 % 중 lysine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leucine, valine, threonine, isoleucine, phenylalanine의 순으로 많이 함유되었다. 또한 비수리에서 노화방지의 역할을 하는 vitamin E가 33.03 mg%인 높은 함량을 나타났다.

오징어 먹즙 첨가에 따른 저염 오징어 젓갈의 적정산도 및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The Changes of Titrable Acidity and Free Amino Acids in Low Salt Fermented Squid Affected by Adding to Squid Ink)

  • 오성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17-525
    • /
    • 2011
  • Squid ink was added to the low salt fermented squid by 4% of concentration and ripened at $10^{\circ}C$ for 6 weeks and at $20^{\circ}C$ for 28 days. The effect of the squid ink on the titrable acidity and free amino acids of low salt fermented squid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titrable acidity in the salt fermented squid without addition of the squid ink was continuously decreased except for the salt fermented squid with 9% salt content till the latter stage of the ripening, had larger decreasing range than treatment groups. Seeing the composition of free amino acid, the major amino acids are proline, arginine, glutamic acid. leucine and glycine.

Changes in free amino acid content and hardness of beef while dry-aging with Mucor flavus

  • Hanagasaki, Takashi;Asato, Naokazu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0권7호
    • /
    • pp.19.1-19.10
    • /
    • 2018
  • Background: A mold strain thought to be suitable for dry-aging process was isolated. The information about the scientific aspects of molds related to dry-aging beef is scarce. We, therefore, conducted aging trial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ed mold strain associated with dry-aging process. Specifically, during the dry-aging of beef with the mold strain, the changes in the free amino acid content, hardness, productive loss, drip and cooking loss were analyzed. These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while dry-aging in the absence of a mold. Results: The isolated mold strain was identified as Mucor flavus. The free amino acid content in the mold-aging beef decreased or remained constant during the aging process. However, that in the trimming sections of the beef dramatically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mold. In addition, hardness of mold-aging beef gradually decreased during the aging process and finally de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 Amino acids such as GABA (gamma-aminobutyric acid), proline, and aspartic acid were produced by our mold strain, M. flavus during its growth on beef meat, and the mold conferred savory odors to the dry-aged beef.

정상홍삼과 불량홍삼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Characteristics of Normal and Inferior Parts in Korean Red Ginseng)

  • 김천석;이종원;도재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89-93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 point of difference in chemical characteristics between normal and inferior Korean red ginseng (Naeback red ginseng=red ginseng with white part of clear boundary in phloem and/or xylem of ginseng body, saengnaeback red ginseng=red ginseng with white part of indistinct boundary). content of total sugar as chemical components of naeback and saengnaeback part from Korean red ginseng were less than that of normal part, and content of reducing sugar in normal and saengnaebakc part showed higher than that of naeback part. But differences in content of total phenolic compounds was not found. The content of crude saponin in normal part was highest, amounts of ginsneoside were about same. The content of constituent amino acid in normal part was about 2 times as compared with those in naeback and saengnaeback part in red ginseng. Among the various amino acids, the contents of argin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and alanine of normal and naeback part were higher than others, but in saengnaeback prol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threonin and glycine etc. were higher. In the total amount of free amino acids, those in normal, naeback and saengnaeback part were about the same one another, and arginine,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were major free amino acids.

  • PDF

오미자 첨가량에 따른 Demi-glace 소스의 총산과 아미노산 함량 및 관능적 특성 (The Total Acid, Free Amino Acids Content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emi-glace Sauce based on Omija added Quantity)

  • 김현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48-358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contents of total acid and free amino acids in the Demi-glace with added quantity of Omija extracts. Firstly, The level of Total acid content of Demi-glace sauces was $1.08{\sim}1.89%$ and Omija extracts was $2.77{\sim}7.24%$. The more Omija extracts added, there was the higher total acid contents. Sauces and extracts of 5% Omija was the highest. Secondly, Total free amino acids contents of control was 2518.52mg%, and Omija sauces was $2261.52{\sim}2894.14mg%$. 2% Omija sauces was the highest among them. Hydroxyproline of total 34 free amino acids was the highest, and Glutamic acid 158.42mg%, Proline 78.90mg% was next in order. Arginine was the highest with $27.40{\sim}34.40mg%$ among 9 essential amino acids contents. Glutamic acid was the highest contents with $123.18{\sim}158.42mg%$. Compared to control's(0.41mg%), Omija added group was $20.63{\sim}27.82mg%$ and it was the highest increase. While other 15 amino acid was analyzed, Hydroxyproline was the highest contents with $1,737.22{\sim}2,205.80mg%$. Compared to control group(15.63mg%), proline was $57.01{\sim}78.90mg%$ Omija added group and it was increased with the highest contents. In essential amino acid, flavor enhancing amino acid and other amino acid were increased and the highest contents with 2% added Omija sauce. Thirdly, sensory characteristics of Demi-glace sauces based on overall preference, It was find that 2% added Omija was the best. 2% added was the best for color, flavor, taste, texture, overall acceptability(P<.001). In terms of Demi-glace sauces' gender preference, male and female people liked 2% added Omija color, flavor, taste, texture, overall acceptability. It was fi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재래식 고추장의 숙성 중 질소성분의 변화 (Changes in Nitrogen Compounds of Tradition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 김영수;신동빈;구민선;오훈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89-392
    • /
    • 1994
  • 순창의 찹쌀고추장, 보은의 보리 고추장, 사천의 밀 고추장을 현지에서 제조하고 180일간 발효숙성시키면서 질소성분을 측정한 결과 현저히 증가한 유리 아미노산은 고추장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methionine, glutamic acid, isoleucine, leucine, tyrosine 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양적으로 많은 유리 아미노산은 고추장의 종류에 관계없이 ser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proline 등으로 나타나서 glutamic acid는 속성에 따른 증가율 및 함량면에서 가장 구수한 맛이 영향력이 있는 유리 아미노산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유리아미노산 총량과 아미노태 질소 함량 간의 상관계수 r값의 범위는 0.87

  • PDF

저장기간에 따른 쌈장의 갈변 반응 특성 (Browning Characteristics of Ssamjang during Storage)

  • 김용국;김성주;장규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29-537
    • /
    • 2005
  • 공장에서 생산하는 방식에 따라 쌈장을 제조한 후 쌈장의 갈변에 영향을 미치는 고추장 반제품 숙성 일수$(X_1)$, 된장 숙성 일수$(X_2)$, 된장 함량$(X_3)$, 살균온도$(X_4)$, 저장온도$(X_5)$를 주요변수로 선정하고 중심 합성계획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여 쌈장의 저장과정 중의 갈변 반응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분활성도는 시험구별로 숙성 초기 $0.605\~0.666$으로 증가 또는 감소의 경향을 보였으며, 숙성 8주째에 최대의 수분활성도를 나타낸 후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된장의 숙성일수$(X_2)$ 차이에 의해 원료가 분해되어 수용성 물질이 생성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유리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가 다른 아미노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proline, leucine, phenylalanine, lysine, serine등이 다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살균온도가 낮은 시험구에서 총유리아미노산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 함량은 각 시험구별로 차이는 있지만 glucose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fructose와 maltose도 검출되었으며, 살균온도가 낮은 시험구에서 총유리당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살균온도에 따른 효소의 실활과 관련된 것으로 사료된다. 저장 과정 중 표면색도의 변화는 시험구별로 차이는 있으나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L^*,\;a^*,\;b^*$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Delta}E$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표면색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는 온도이며 살균온도보다는 저장온도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자의 향미성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avor Constituents of the Citron (Citrus junos))

  • 강성구;장미정;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04-210
    • /
    • 2006
  • 유자의 부위별 주요 화학적 성분을 조사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무기질,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및 향기성분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유자의 부위별 비율은 과피가 44.7%, 과육이 42.9% 및 씨가 12.4%로 나타났다.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은 과피가 과육에 비하여 더 높게 나타났으며, 수분, 탄수화물 및 가용성물질은 과육이 과피보다 높게 나타났다. 당은 과피에 6.2%, 과육에 9.8% 이며 과피는 과당이 3.3%로 가장 많고, 과육은 포도당이 4.3%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무기물은 K가 과피에 309 mg%, 과육에 175 mg% 이었고, 인(P)은 과피에 15.9 mg%, 과육에 22.4 mg%로서 인을 제외하고는 과피에 무기질의 함량이 높았다. 유기산은 6종이 검출되었는데, 유기산의 총량은 과피 4.6%, 과육 6.6%이었다. 과피는 구연산, 수산, 사과산 순으로 많았으며, 과육은 구연산, 사과산, 수산의 순이었다. 구성아미노산은 과피에 671.9 mg% 과육에 315.7 mg% 함유되었으며, 그 함유 순서는 과피와 과육 공히 aspartic acid, proline, glutamic acid, histidine이었고, 유리아미노산은 과피 324mg%, 과육280mg%이며 과피와 과육 공히 proline, ser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의 순이었다. 이들은 아미노산은 함량이 높아 전체의 대부분을 차지한 반면 다른 아미노산은 낮은 함유량을 보이고 있다. 유자의 향기성분은 약49여종이 분리되었으며 그 중 26종을 동정할 수 있었고, 과피는 추출법에 관계없이 limonene 80%, terpinene 10%로서 이 2가지 성분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과육에서는 증류법이 linalool(28%)과 limonene(21%), Purge & trap방법이 limonene(81%)과 carene(8%) 및 methanol추출법 이 limonene(40%)과 linalcol (11%)등으로 각각 나타나 추출방법에 따라서 주 성분과 조성 비율이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