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 fatty acid content

검색결과 539건 처리시간 0.028초

차광정도(遮光程度)가 차엽(茶葉)의 아미노산(酸), 무기성분(無機成分), 지방산(脂肪酸) 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Shading Effect on the Content of Free Amino Acids, Minerals, and Fatty Acids in Tea Leaves(Camellia sinensis O. Kuntze))

  • 박장현;최형국;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8-296
    • /
    • 1996
  • 차광도(遮光度)가 다른 재배환경이 다엽의 무기성분, 유리아미노산. 지방산(脂肪酸) 함량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질소(全窒素) 함량(含量)은 95%차광구(遮光區)에서 5.49%로 가장 높았고 총 아미노산의 경우 차광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함량이 더 많았고, 24670-30210mg/kg, Theanine은 95%차광구에서 15580 mg/kg으로 가장 많았고, 무처리구가 12470 mg/kg으로 가장 함량이 적었다. $NH{_4}^+$, $K^+$, $Mg^{+{+}}$는 차광구에서 함량이 높았고, $Ca^+$는 무처리구에서 함량이 높았다. 지방산 함량은 55% + 95%처리구가 27990 mg/kg으로 가장 많았고, 무처리구가 24350 mg/kg으로 가장 적었으며, 다엽의 지방산은 $C_{18:3}$, $C_{18:2}$, $C_{18:0}$, $C_{18:1}$, $C_{18:0}$ 순으로 함량이 많았다. 차광정도에 관계 없이 차광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차엽 품질이 향상 되었으며, 특히 95% 차광구에서 품질이 가장 양호 하였다.

  • PDF

내냉성 미생물인 Acinetobacter genomospecies 10과 Serratia liquefaciens가 원유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sychrotrophic Bacteria Acinetobacter genomospecies 10 and Serratia liquefaciens on Raw Milk Quality)

  • 신용국;오남수;이현아;남명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42-548
    • /
    • 2013
  • 살균한 원유에 지방분해효소와 단백질 분해효소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던 균주를 접종하고 저장하면서 내냉성미생물이 생성하는 효소가 원유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지방분해효소활성이 높은 Acinetobacter genomospecies 10은 냉장저장기간 중 총 고형분과 유지방의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지방의 분해는 냉장보관 14일째에 대조구와 비교하여 2.6배 이상의 유리지방산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지방산의 조성은 short chain free fatty acid(SCFFA), middle chain free fatty acid(MCFFA) 및 long chain free fatty acid(LCFFA)를 모두 생성하였으며, 특히 SCFFA와 MCFFA의 증가율이 높았다. 단백질 분해효소활성이 높은 Serratia liquefaciens은 원유의 총 고형분과 유단백질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단백질 조성의 변화는 냉장저장기간 동안 케이신의 함량이 서서히 감소하다가 10일째부터 $\kappa$-케이신의 함량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냉장저장 14일째 2.8배 이상 생성되었으며 특히 소수성 아미노산으로 쓴맛을 내는 leucin, valine 등의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제호탕(醍蝴湯)의 일반영양성분에 관한 연구 1. 일반성분, 유리당, 아미노산, 지방산 및 무기질 조성 (Studies on Nutritional Compositions of the Jehotang 1. Proximate Composition, Free Sugars, Amino Acids, Fatty Acids and Mineral Contents)

  • 윤숙자;조후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49-653
    • /
    • 1996
  • 제호탕의 화학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호탕의 일반성분으로는 수분 22.40%, 조단백질 1.31%, 조지방 1.24%, 회분 0.80%를 그리고 탄수화물은 74.25% 를 나타내었다. 한편 pH는 3.22로 나타났다. 총 유리당이 31.5%로 비교적 많은 당이 함유되어 있었고 유리당함량은 fructose 15.3%, glucose 13.6%, sucrose 0.42%, maltose 1.18%였으며 isomaltose가 미량 함유되는 것으로 추정 되었고 그밖에 raffinose, maltotriose, molezit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제호탕의 아미노산 조성은 leucine이 9.6mg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arginine, valine, phenylalanine 등의 순이었다.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40%이었다. 지방함량 1.24% 중 이를 구성하는 지방산은 palmitic acid 14.6%, stearic acid 4.2%, oleic acid 52.7%, linoleic acid 28.5%를 차지하고 있었다. 금속의 함량은 칼슘(Ca) 582.7ppm, 마그네슘(Mg) 174.4ppm, 아연(Zn) 5.2ppm, 인(P) 252.2ppm, 망간(Mn) 7.9ppm, 나트륨(Na) 404.0ppm, 철(Fe) 56.4ppm, 칼륨(K) 2430.5ppm, 구리 (Cu) 2.6ppm이었다.

  • PDF

모노글리세리드와 카프릴산으로부터 고정화 리파제를 사용한 디글리세리드 생산 (Synthesis of Diglyceride Containing Caprylic acid by Immobilized Lipase Catalyzed Esterification of Monoglyceride in a Solvent Free System)

  • 이장운;강성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65-370
    • /
    • 2009
  • 재구성 지방질의 기질로서 사용될 수 있는 중쇄지방산을 함유한 디글리세리드(DG)를 생산하기 위하여 리파제를 사용하여 중쇄지방산과 모노글리세리드(MG)로부터 DG를 생산하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반응 시스템을 고안하였다. 조사된 리파제 중에 Lipozyme RM IM과 Novozym 435만이 중쇄지방산(carpylic acid, caproic acid, capric acid)과 MG로부터 DG를 효과적으로 생산하였다. 고정화 효소인 Lipozyme RM IM을 사용하여 중쇄지방산인 카프릴산과 MG를 반응시킴으로써 DG 생산을 위하여 molecular sieve 첨가에 의한 반응혼합액 중의 수분 제거, 고정화 효소의 수분함량, 반응온도, MG/카프릴산의 몰비율 등의 생산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Molecular sieve를 첨가 하였을 때 약 8%의 DG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고정화효소(초기 수분함량: 3.8%(w/w))의 수분을 2.8%(w/w) 이상 감소시킴으로써 44%의 DG를 생산할 수 있었다. 최적의 반응 온도는 $60^{\circ}C$로 확인되었으며 $60^{\circ}C$에서 $25^{\circ}C$로의 온도 변화는 FFA의 함량이 증가하여 DG 생산에 적합하지 아니하였다. 조사된 모든 몰비율에서 반응 24시간 후의 DG의 생산량은 40% 전후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화학양론적인 몰비율 1:1(MG/caprylic acid)에서 가장 많은 DG가 생산되었다. 또한 MG와 카프릴산의 몰비율이 0.3에서 1.8로 높아질수록 반응물 중의 FFA의 함량이 34%에서 13%로 감소하였고 MG 함량은 37%에서 50%로 증가하였다.

천마 분말의 화학적 성분 (Chemical Components of Gastrodia elata Blume Powder)

  • 김현주;정신교;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78-284
    • /
    • 2000
  • 한국산 인공재배 천만의 동결건조 분말은 수분 2.12%, 조단백질 4.41%, 조지방 1.20%, 조회분 2.25%, 조섬유 4.60%, 무질소물 85.15%로 분석되었다. 환원당 함량은 2.66%였으며 유리당은 glucose 13.14mg/g, sucrose 10.81mg/g, fructose 8.69mg/g 함유되어 있었다. 지방산은 11종이 검출되었으며 포화지방산이 18.69%, 불포화 지방산이 81.31%였으며 포화 지방산으로는 palmitic acid가 11.55%, 불포화 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가 63.13%로 가장 높았다. 그 외 불포화 지방산으로는 cis-5,8,11,14,17-eicosapentaenoic acid가 6.42%, linolenic acid가 4.33%를 차지하였다. 유기산으로는 oxal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등이 분리되었고 succinic acid의 함량이 1,238mg%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citr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 fumaric acid의 순이었다. 분리된 18종의 총 아미노산중 aspartic acid가 522.8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했으며 taurin, hydroproline, alanine, threonine등이 존재했으며 taurin, hydroproline, alanine, threonine등이 존재하였다. 39종의 유리 아미노산 중 arginine이 15.01mg%로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asparagine, proline, sarcosine 순이었다. 총 페놀의 함량은 821.4mg%이었고 조사포닌의 함량은 3,738mg%를 나타내었다. 수용성 비타민으로는 ascorbic acid가 6.40mg%, 비타민 B1이 1.23mg%, 비타민 B2가 1.74mg% 함유되어 있었으며 지용성 비타민으로는 비타민 A가 1.22mg%, 비타민 E는 0.32mg%로 미량 함유되어 있었다.

  • PDF

제분 분획(Milling Fraction)을 달리한 쌀의 지방산 및 페놀산 함량 비교 (Composition of Fatty Acid and Phenolic Acid in Rice with the Different Milling Fractions)

  • 김인호;전향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21-726
    • /
    • 1996
  • 쌀의 영양, 가공 및 저장 등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시를 목적으로 제분 분획(milling fraction) 별로 시료를 제조하여 지방산과 페놀산 함량을 조사하였다. 쌀의 주요 지방산은 palmitic, oleic 및 linoleic으로서, 배아는 palmitic 20.0%, oleic 33.3% 및 linoleic 43.0%의 함량을, 미강은 palmitic 17.3%, oleic 45.1% 및 linoleic 34.5%의 함량을, 백미는 palmitic 23.4%, oleic 26.2% 및 linoleic 46.4%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제분 분획별 지방산 함량은 미강의 경우 oleic은 외층일수록, linoleic내층일수록 함량이 높았다. 백미의 경우 oleic acid는 외층일수록, palmitic acid, linoleic acid, stearic acid 및 linolenic acid는 내층일수록 함량이 높았다. 페놀산 함량은 미강의 경우 유리 페놀산 321.0mg%, 페놀산 에스터 299.7mg% 및 불용성 결합형 페놀산 212.4mg%이었다. 백미는 유리 페놀산 118.omg%, 불용성 결합형 페놀산 56.0mg%이었고 페놀산 에스터는 추출되지 않았다. 페놀산의 구성성분은 미강의 경우 ferulic acid의 함량이 86.2%로 가장 높았으며 sinapic 및 syringic acid는 35.7~36.6%, p-coumaric acid는 16.7%이었고 vanillic acid는 미량 검출되었다. 백미는 ferulic acid 12.3%, sinapic acid 4.1%, p-coumaric acid 3.6%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제분 분획별로 조사한 총 페놀산의 함량은 배아가 0.18%로 가장 높았으며 미강은 외층일수록 함량이 높았고 백미는 미량존재 하였던 성분이 분획에 따라 함량이 분산되어 검출되지 않았다.

  • PDF

가정에서 제조된 전통된장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me-made doenjang, a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 박석규;서권일;손미예;문주석;이영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1-127
    • /
    • 2000
  • 가정에서 제조된 전통된장의 품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유기산,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1. 된장의 수분, 조단백, 조지방, 적정산도(0.1N NaOH 소비 ml수)및 염도는 각각 평균 57.3%, 11.6%, 8.3%, 11.8 및 13.9%였으며, 특기 적정산도.조단백질과 염도는 시료간에 차이가 많이 나타났다. 아미노산성 질소의 함량은 평균 308.4 mg%로서 202.3∼416.3mg%의 범위로 시료간에 1.3∼2.1배 이상 차이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었다. Hunter색차계의 L(명도), a(적색도), b(황색도)값은 각각 평균 37.7, +19.6, +7.5이었으며, 수용성 및 지용성 갈변물질은 각각 평균 흡광도 2.23, 0.39로서 유리 아미노산 함량이 총 아미노산 함량보다 5.7배이상 높았다. 2. 유리 및 구성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각각 평균 2908.9, 9,019.3 mg%이었으며, 시료간에 1.8∼6.2배와 1.2∼2.0배의 차이가 나타났다. 가장 많은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로서 각각 576, 1,126mg%였다. 3. 유기산은 lactic acid(평균 326.8 mg%)가 가장 많았는데 시료간에 59.4∼613.4mg%의 범위로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총 지방산 중에 linoleic acid의 비율(평균49.24%)이 가장 높았으며, 불포화 지방산은 평균 81.97%였고, 다가불포지방산은 시료간에 51.79∼62.97%의 범위로 차이를 많이 나타내었다.

  • PDF

제조 원료를 달리한 된장의 숙성중 당과 지방산 조성의 변화 (Compositions of Sugars and Fatty Acids in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icrobial Sources)

  • 박정숙;이명렬;이택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917-924
    • /
    • 1995
  • 재리식 메주, 고오지, 나토 메주, 고오지와 나토의 혼용 메주로 담금한 된장의 일반성분 유리당 및 지방산 조성은 다음과 같다. 조단백질은 10.3~14.6%로 재래식 메주 사용의 된장과 나토된장이 높았고 고오지 된장이 낮았다. 수분은 46.9~54.5% 범위로 숙성과정 중 다소 증가하였고 나토된장이 많았다. 에틸알코올은 숙성 75일 까지는 고오지와 나토의 혼용 된장에서 높았으나 숙성 90일에 고오지 된장이 2.8%로 최대치를 보였다.총당과 환원당은 숙성기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이들 당 함량은 고오지 된장, 고오지와 나토의 혼용된장, 재래식 메주사용의 된장, 나토된장의 순으로 높았다. 된장의 유리당으로 glucose, galactose, mannose, arabinose가 동정되었으며 이중 glucose, galactose가 타유리당 보다 많았다. 숙성 90일 후에는 glucose나 총 유리당 함량은 재래식 메주로 담근 된장에서 높았고, galactose는 고오지 된장에서 높았다. 된장의지방산으로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 linolenic, arachidonic acid가 분리되었고, 이 중 oleic acid가 38.5~46.9%로 시험된장 모두에서 많은 비율로 나타났다. 그러나 숙성기간이나 시험구에 따른 지방산 조성 비율은 뚜렸한 차이가 없었다.

  • PDF

한국인 수유부에 어유의 보충 급여 효과에 관한 연구 -III. 영아의 지방산 섭취, 혈장 지질 농도 및 혈장과 적혈구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에 미친 영향- (Effects of Fish Oil Supplementation to Korean Lactating Women -III. The Effects of Fatty Acid Composition, Plasma Lipid Concentr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sma Phopspholipids and Erythrocyte of Infants-)

  • 임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2호
    • /
    • pp.192-198
    • /
    • 199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fish oil supplementation with low does on the lipid concentr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sma an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sma phospholipid and erythrocyte of infants. Among 18 breast-fed infants, 6 were in control group and 12 were in fish oil groups. The subjects in fish oil groups were nursed by their mothers who supplemented with fish oil 1.96g/d or 3.92g/d, respectively for 2 weeks from 10 to 12 weeks postpartum. The nursing mothers consumed their usual diets at home.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final day of experi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daily intakes of total lipid,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phospholipid and cholesterol of infants by fish oil supplementation. However, the content of EPA (eicosapentaenoic acid)increased and that of ARA (arachidonic acid) decreaed significantly in plasma PC(phophatidylchline). And also, there were tendencies to increase triglyceride concentration and to decrease cholesterol and phopholipid concentrations of plasma. As the above results, atherogenic index (AI)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but not significant. DHA (docosahexaenoic acid) and EPA contents in plasma PC and PE (phosphatidylethanolamin) as well as those of erythrocyte tended to increase. In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fish oil supplementation with low dose to lactating women does not obviously affect of the plasma lipid concentration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lasma PC and PE as well as erythrocyte. However the increase of EPA content of plasma PC and the tendency to increase DHA and EPA contents of plasma as well as erythrocyte membrane indicate that there may be some beneficial effect on infant lipid metabolism of fish oil intake of nutsing mother were increased.

  • PDF

생강다대기의 저장 중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nced Ginger During Storage)

  • 이명희;이영경;김경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3-2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식초, 주정 및 비타민 C 등의 첨가물을 넣어 제조한 생강다대기를 튜브용 용기에 담아 $10^{\circ}C,\;20^{\circ}C,\;30^{\circ}C$에서 각각 보관하면서 저장기간별로 미생물 수, 색도, 향기성분변화,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및 지방산의 특성변화를 살펴보았다. 생강다대기의 일반세균수는 저장기간 동안 미생물 수의 변화가 거의 없었고, 곰팡이의 경우 생강다대기에서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효모의 경우 저장초기 $5{\times}10^1$ CFU/g의 효모가 존재하였으나, 저장 2주경과 후부터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생강다대기의 저장 중 색도를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그리고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색깔의 변화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생강다대기의 저장온도에 따른 향기성분은 저장초기와 비교하여 17주 경과 후 생강다대기의 향기성분의 총 함량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강다대기 중의 유리당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sucrose 함량은 감소하고, fructose 및 glucose 함량은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주요 아미노산 성분으로 glutamine, valine, alanine, asparagine, tyrosine 및 leucine이 검출되었다. 생강다대기의 지방산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초기치 지방산 함량에 비하여 조금 증가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지방산의 조성으로 불포화 지방산보다 포화지방산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