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 cholesterol

검색결과 763건 처리시간 0.033초

다양한 소수성 물질이 개질된 키토산 나노입자의 약물전달체로서 응용성 고찰 (Application of Various Hydrophobic Moiety-modified Chitosan Nanoparticle as a Drug Delivery Carrier)

  • 정경원;나재운;박준규
    • 공업화학
    • /
    • 제28권4호
    • /
    • pp.404-409
    • /
    • 2017
  • 천연고분자 키토산은 생체적합하고 생분해성의 특성뿐만 아니라 항암, 항균, 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다양한 생체활성을 갖고 있어 의료용 분야에서 많이 응용되고 있다. 현재 키토산을 약물전달시스템에 응용한 다양한 약물이 담지 된 키토산 나노입자를 개발하여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키토산에 존재하는 free 아민($-NH_2$) 그룹은 다양한 소수성기를 물리적 화학적 개질을 통해 결합이 가능하며 소수성기가 도입된 키토산은 물에 분산시 자기회합에 의한 shell-core 나노입자를 형성하고 core 부분에 다양한 난용성 약물을 담지하여 물에 대한 용해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단백질, 항암제, 백신 등의 다양한 약물을 담지하여 기존 약물의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키토산에 도입된 소수성기에 따라 입자의 크기 및 방출 속도를 제어할 수 있어 다양한 의료용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본 총설에서는 다양한 소수성기가 도입된 키토산 나노입자의 제조 및 특성과 특성에 따른 약물전달시스템의 응용성에 관하여 논의 하고자 한다.

닭의 지방조직(脂肪組織) 및 천흉근(淺胸筋)에서의 지질(脂質)의 대사(代謝) (The Metabolism of Lipids in Adipose Pads and Superficial Pectoral Muscle of Chicks)

  • 고태송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64-270
    • /
    • 1977
  • 무지방사료(無脂肪飼料) 및 여기에 17 : 0, 18 : 0 혹은 18 : 2를 첨가(添加)한 사료(飼料)를 닭병아리숫놈에 급여(給與)해서 그 경부지방조직(頸部脂肪組織) 및 천흉근(淺胸筋)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에 미치는 급여지방산(給與脂肪酸)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했다. 경부지방조직(頸部脂肪組織)은 $34{\sim}62%$의 지질(脂質)을 함유(含有)해서 그 중 트리그리세라이드가 $97{\sim}98%$를 이루고 있었다. 급여(給與)한 지방산(脂肪酸)은 지방조직(脂肪組織)중에 비교적(比較的) 다량(多量) 분포(分布)하고 또는 17 : 0 급여(給與)는 16 : 1의 분포치(分布値)를 저하(低下)시키고 18 : 2 급여(給與)는 18 : 0의 분포치(分布値)를 증가(增加)시켰다. 천흉근(淺胸筋)은 $1.3{\sim}1.7%$의 지질(脂質)을 함유(含有)해서 그중 인지질(燐脂質)이 $77{\sim}79%$, 유리(遊離)콜레스테롤이 $11{\sim}13%$를 점(占)하고 있었다. 각지질분획(各脂質分劃)에서 17 : 0의 급여(給與)는 17 : 0와 17 : 1을 출현(出現)시키고 18 : 2의 급여(給與)는 18 : 2의 분포치(分布値)를 높였으나 18 : 0의 급여(給與)는 18 : 0의 분포치(分布値)에 영향(影響)을 주지 않았다. 천흉근지질(淺胸筋脂質)의 대부분(大部分)을 이루는 인지질(燐脂質)에서 18 : 0의 급여(給與)로 18 : 1이 많아졌고, 18 : 2의 급여(給與)는 18 : 1과 16 : 0의 분포치(分布値)를 저하(低下) 시키고 다시 18 : 0의 분포치(分布値)를 높였다. 또한 18 : 2의 급여(給與)는 20 : 3의 분포치(分布値)를 저하(低下) 시키고 20 : 4의 분포치(分布値)를 높였다.

  • PDF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손상에 미치는 현호색의 효과 및 그 기전 (Mechanism and Effect of Corydalis ternata on the $CCl_4$-Induced$ Hepatotoxicity)

  • 서인옥;정춘식;정기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26-234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현호색의 methanol추출물에 대하여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 손상 보호효과를 확인한 후 이를 hexane, chloroform, butanol 및 물로 계통분획하여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 손상 보호효과를 검색하였다. 이 결과 현호색 물분획물이 유의성 있는 간 보호효과를 보임으로써 간손상 보호효과를 확인하고 그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혈액중의 ALT활성 및 cholesterol함량은 사염화탄소 단독투여군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간조직의 TG와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사염화탄소 단독투여군에 비하여 감소하여 사염화탄소에 의한 지방의 축적이나 세포막의 손상은 억제된 것으로 보인다. 기전연구를 위하여 측정한 CYP함량과 calcium함량은 사염화탄소 단독투여군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GST활성도는 사염화탄소 단독투여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항산화 효소의 유도로 인하여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 SOD, GPX, GST활성도는 모든 처치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간손상 보호 효과는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보다는 CYP함량의 감소와 CCB로서의 작용 및 GST활성도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lcohol과 쌀 곰팡이의 Toxicity가 간(肝)의 지방(脂肪) 축적(蓄積)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Alcohol Intoxication and Moldy Rice Consumption on the Liver Lipid Content in Rat)

  • 정진은;김숙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6권4호
    • /
    • pp.37-53
    • /
    • 1973
  • For the elucidation of the metabolic effects due to alcoholic drink and moldy rice intake author designed two experiments as follows. In the first experiment, sixty male and female rats, divided into six groups, 10 rats each in both sexes, were given 7.5% sucrose-30% alcohol solution (Jinro-Soju) and diets varied of fat content (2%, 7%, 30% of diet) and protein quality (casein, bean, anchovy) for 6 weeks. In the Second experiment, six groups of rats, 10 male rats each, were fed the diets containing zero, 5%, 10%, 25%, 50%, and 100% moldy rice contaminated Penicillium Islandicum and the experimental periods were 4 weeks and 6 weeks.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due to the toxicity of alcohol consumption and moldy rice ingestion of the fatty liver production and the other effects are as follows. 1. Food intake of alcohol consumed groups decreased to 50%-70% of that of standard group. In the second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food intake due to the different contents of moldy rice and experimental period. 2. On the view paint of body weight gain, the body weight of alcohol consumed groups gained much less than that of standard group, because food consumption was decreased due to alcohol ingestion. 3. In comparison of F.E.R. and P.E.R. between standard and experimental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is study. 4. As a matter of fact, there was no significance on the nitrogen balance in both studies. 5. From the result of hematology, R.B.C. counts, W.B.C. counts, hemoglobin, and hematocrit showed normal values in all groups including in this study. So we might conclude that the toxicity of alcohol and moldy rice do not effect significantly on blood picture. 6. The larger organs shrank on the range of 20%-70% of that against standard group in this study. The major reason for the shrinkage of organs might be account of decreased food consumption due to alcoholic drink. There was no great changes on the organ weight due to the ingestion of moldy rice. 7. The nitrogen content in various organs in both experiments was revealed at the normal level for the worst condition in terms of the least food intake. In other word, it was noteworthy that the concentration of nitrogen in various organs was kept at the normal ratio as standard groups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is study. 8. The lipid content in the liver of rats fed alcohol and diets containing either various lipid contents or protein quality did not increase. Hepatic lipids accumulation due to the dietary fat content was observed, but there wvas no significances among the compared groups.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difference of hepatic lipid content between the moldy rice groups and standard group was not showed. In addition to the result of total lipid, hepatic free cholesterol, free fatty acid, and triglyceride did not change in both studies, we might conclude that the toxicity of alcohol and moldy rice could not effect on the hepatic lipid contents. 9.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serum glucose level between alcohol groups and standard group. In the second experiment, serum glucose level increase in 6th week compared with in 4th week,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 PDF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Astaxanthin on Production Performance, Egg Quality in Layers and Meat Quality in Finishing Pigs

  • Yang, Y.X.;Kim, Y.J.;Jin, Z.;Lohakare, J.D.;Kim, C.H.;Ohh, S.H.;Lee, S.H.;Choi, J.Y.;Chae, B.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7호
    • /
    • pp.1019-1025
    • /
    • 2006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separately to study the effect of astaxanthin on producti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and meat quality in finishing pigs. In Experiment 1, four hundred Brown Hy-Line layers, 26 weeks of age,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treatments according to a single factorial arrangement. Each treatment had four replicates comprising 20 birds each. The dietary treatments were: 0, 0.7, 0.9, 1.1 and 1.3 ppm of astaxanthin fed for 14 days. Then all the birds were fed an astaxanthin-free diet (0 ppm astaxanthin) for an additional 7 days. The results showed that dietary astaxanthi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layer production performance.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p>0.05) on egg weight, yolk height and Haugh unit (HU) with increasing dietary astaxanthin level and increased storage time. Yolk color was linearly increased (p<0.01) with the increasing dietary astaxanthin level and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storage time (p<0.05). The TBARS value in yolk decreased linearly (p<0.05) with increasing amount of dietary astaxanthin and storage time. When the diets were replaced with the astaxanthin-free feeds, all parameters concerning egg quality decreased with increasing days of measurement, especially the yolk color, and HU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In experiment 2, thirty-six barrows ($L{\times}Y{\times}D$), $107{\pm}3.1kg$ BW,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treatments according to a single factorial arrangement. Each treatment had three replicates comprising 4 pigs each. The dietary treatments were: 0, 1.5 and 3.0 ppm of astaxanthin fed for 14 days. The results showed that dietary astaxanthin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production performance. There was a linear effect (p<0.05) on dressing percentage, backf.at thickness and loin muscle area with increasing dietary astaxanthin level.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p>0.05) on the TBARS value, drip loss, meat color, marbling and $L^*$, $a^*$, $b^*$ values.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meat was not affected by dietary addition of astaxanthin. It could be concluded that astaxanthin supplementation was beneficial to improve egg yolk color; egg quality during storage and it also could improve the meat quality of finishing pigs.

당뇨성 흰쥐의 과산화지질 및 Creatine Phosphokinase 활성에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 열수 추출액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unus persica Batch var. davidiana Max. Hot-Water Extract on the Lipid Peroxide and Creatine Phosphokinase Activity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한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2-278
    • /
    • 2005
  •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의 생리활성 추출물질($5.0g\%$ extract)이 streptozotocin (STZ, 55mg/kg B.W., I.P. injection)으로 유발된 당뇨성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의 지질 및 당질대사 이상에 의해 야기되는 각종 질환의 예방과 개선 효과 등에 많은 생리적 효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본 식이에 물 급여군인 대조군(BW군)을 비롯한 STZ 당뇨 유발 흰쥐에 물 급여군(BSW군)과 당뇨 유발군에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한 군(BSP군)을5주간실험 사육하였다. 혈청 중의 전해질 농도(Na, K, Cl)는 당뇨 유발군(BSW군)에 돌복숭아 추출액을 급여(BSP군)하므로서 농도가 다소 나마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의성 있는 농도의 차이는 없었다. 한편 혈청 유리지방산 및 과산화지질 농도, creatine phosphokinase활성 등에서 돌복숭아추출액을 급여하므로서 유의적인 농도와 활성 감소를 나타내었고, 혈청 lecithin cholesterol acyltransferase(LCAT) 활성은 당뇨 유발군에 돌복숭아 추출액 급여에 의하여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돌복숭아 중의 생리활성물질이 STZ으로 유발된 당뇨성 흰쥐의 당질 및 지질대사 이상 등에서 오는 각종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개선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Monascus pilosus 코오지로 담근 간장의 품질 특성 (Quality of Soy Sauce Brewed by Monascus pilosus Soybean Koji)

  • 김순동;박미자;김미정;이윤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8-35
    • /
    • 2002
  • A. oryzae 코오지로 담근 간장(SAO), M pilosus-1 코오지 담근 간장(SMP) 및 이들 코오지를 50%씩 혼합하여 담근 간장(SAM)의 숙성 중 품질을 평가하였다. 90일간 숙성시킨 간장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SAO>SAM>SMP 순서로 SMP에서 가장 낮았다. SAO, SMP 및 SAM의 총 질소 함량은 각각 1.15, 1.22 및 1.36%로 SAM에서 가장 높았다. SAM의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0.78%로 SAO 및 SMP보다 높았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SAO, SMP 및 SAM에서 각각 533.5, 732.4 및 807.3 mg/100 mL 이였다. SAO에서는 glutamic acid(65.20 mg/100 mL), SMP에서는 alanine(101.42 mg/100 mL), SAM에서는 glutamic acid(130.52 mg/100 mL)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간장 숙성 중 protease와 $\beta$-amylase의 활성은 SAM에서 가장 높았으며, $\alpha$-amylase활성은 SAO에서, glucoamylase의 활성은 SMP에서 가장 낮았다. Hue angle 값은 SAO 56.3, SMP 29.0, SAM 32.2 이였다. SMP 및 SAM의 monacolin K의 함량은 각각 6.21 및 3.10 $\mu\textrm{g}$/mL을 함유하였으며 HMG-CoA reductase에 대한 저해활성은 각각 21.5 및 10.2%를 나타내었다. 색상, 냄새, 맛난 맛 및 종합적인 맛은 SAM에서 비교적 양호하였다.

마늘의 지방질(脂肪質) 및 지방산(脂肪酸) 조성에 관한 연구 (Lipi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Garlic (Allium sativum Linnaeus))

  • 양규열;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88-393
    • /
    • 1982
  • 우리나라에서 재배 수확한 6쪽 및 여러쪽 마늘을 클로로포름-메탄올-물(1.0 : 2.0 : 0.8)의 용매로 추출한 지방질의 조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시료 마늘중의 총지방질의 함량은 신선물 100g 중 $310{\sim}342mg$였으며, 이중 중성지질은 $36.4{\sim}43.5%$, 당지질은 $20.3{\sim}24.3%$, 인지질은 $36.2{\sim}39.3%$이였다. 2. 중성지질중에는 TG가 가장 함량이 많았고(중성지질의 $80.5{\sim}83.6%$), 그 외에 SE, FS, FFA와 잠정적으로 동정한 1,3-DGA, 1,2-DGA, CA가 부성분으로 존재하였다. 3. 당지질중에는 ESG와 SG가 전체 당지질의 70%을 차지하는 주요성분이었고, 그 외에 DGDG, MGDG, CB, SL가 부성분으로 존재하였다. 4. 인지질중에는 PC와 PS 및 PE가 전체 인지질의 85%을 차지하는 주요성분이었고 그 외에 PI, PA가 부성분으로 존재하였다. 5. 총지방질 및 각 지방질 획분의 지방산 조성은 다같이 리놀레산, 팔미트산, 올레산, 리놀렌산이였다. 그러나 당지질 획분은 중성지질 및 인지질 획분보다 리놀레산의 함량이 적고, 중성지질 획분보다 팔미트산의 함량이 많으며 중성지질 및 인지질 획분은 당지질 획분보다 리놀렌산의 함량이 적었다.

  • PDF

닭에서의 지방산(脂肪酸) 생합성(生合成)에 미치는 급여지방산(給與脂肪酸)의 영향(影響) (Fatty Acid Biosynthesis of Chicken Fed Various Long Chain Fatty Acids)

  • 고태송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13-319
    • /
    • 1978
  • 무지방사료(無脂肪飼料) 및 여기에 17:0, 18:0 혹은 18:2을 첨가(添加)한 사료(飼料)를 병아리에 급여(給與)해서 간장(肝臟) 및 혈장(血漿)의 각지질분획(各脂質分劃)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에 미치는 급여지방산(給與脂肪酸)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그 결과(結果) 간장중(肝臟中)의 총지질함량(總脂質含量) 및 각지질분획(各脂質分劃)의 함량(含量)은 급여지방산(給與脂肪酸)에 의해서 영향(影響)받지 않았다. 그러나 17:0을 급여(給與)하면 간장(肝臟) 및 혈장(血漿)의 각지질분획(各脂質分劃)에 17:0 및 17:1 출현(出現)하고, 혈장(血漿)트리그리세라이드에서는 17:0이 또한 혈장(血漿)콜레스테롤에스텔에서는 17:1이 다른 분획(分劃)보다도 유의(有意)하게 높았다. 더욱이 간장(肝臟)에서는 각분획(各分劃)사이에 양지방산(兩脂肪酸)의 분포치(分布値)에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18:2의 급여(給與)도 17:0을 급여(給與)한때와 같이 간장(肝臟) 및 혈장(血漿)의 각지질분획(各脂質分劃)에 18:2이 출현(出現)하고, 특(特)히 간장인지질분획(肝臟燐脂質分劃)에서 18:2의 분포치(分布値)는 다른분획(分劃)보다도 유의(有意)하게 높았다. 그러나 18:0을 급여(給與)해도 이것이 간장(肝臟) 및 혈장중(血漿中)에 특별적(特別的)으로 증가(增加)하지는 않았다. 또한 17:0 및 18:2과 같은 외인성지방산(外因性脂肪酸)의 급여(給與)에 의하여 내인적(內因的)으로 합성(合成)되는 16:1 및 18:1의 분포치(分布値)는 간장(肝臟)에서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 PDF

유리지방산으로 지방축적을 유도한 HepG2 cells 대한 꾸지뽕 열매 추출물의 개선 효과 (Cudrania tricuspidata Fruit Extract Ameliorates Free Fatty Acid-induced Lipid Accumulation in HepG2 Cells)

  • 이효정;박세은;김승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0호
    • /
    • pp.1144-1151
    • /
    • 2019
  •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만성 간 질환으로 비만, 고혈압, 비만, 이상지질혈증과 같은 다양한 대사증후군과 연관되어 있다. 꾸지뽕은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에서 다양한 질병에 사용되는 약용작물로 본 연구에서는 유리지방산에 의해 지방축적이 유도된 세포 내에서 꾸지뽕 열매 추출물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과와 기전을 규명하였다. 꾸지뽕 열매 추출물은 지방 축적 및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생성 및 HMG 환원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지방생성과 관련된 유전자인 SREBP-1, FAS, SCD-1, SREBP-2의 발현을 억제 하였으며 AMPK의 활성화를 억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꾸지뽕 열매 추출물이 유리지방산에 의해 유도된 지방 축적을 억제하고 AMPK/SREBP 신호전달 경로를 조절하여 억제 활성을 나타냄을 밝히며,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천연물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