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ame length

검색결과 701건 처리시간 0.032초

국내에서 분리된 사람 로타바이러스의 NSP4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및 발현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and expression of NSP4 gene of human rotaviruses isolated in Korea)

  • 정동혁;송윤경;김경미;박효선;백명순;강신영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9-100
    • /
    • 2002
  • The nonstructural glycoprotein NSP4, encoded by the 10th gene of rotavirus, has been known to play important roles in viral assembly and pathogenesis. The NSP4 genes of human rotavirus Korean isolates, designated as CBNU/HR-1, CBNU/HR-2, CBNU/HR-3, and CBNU/HR-4, were cloned, sequenced and characterized. Also, the NSP4 gene of the CBNU/HR-1 was expressed in a baculovirus-insect cell system. The sequence data indicated that the NSP4 genes of human rotavirus Korean isolates were 750 or 751 bases in length and encoded one open reading frame of 175 amino acids. Two glycosylation sites were recognized in the NSP4 gene of human rotavirus isolates tested. The NSP4 of CBNU/HR-1, CBNU/HR-3, and CBNU/HR-4 exhibited a high degree of amino acid sequence homology with that of NSP4 genotype B viruses, but a low degree of amino acid sequence homology with that of NSP4 genotype A viruses. However, the NSP4 of CBNU/HR-2 exhibited a high degree of amino acid sequence homology with that of NSP4 genotype A viruses, but a low degree of amino acid sequence homology with that of NSP4 genotype B viruses. The Sf9 cells infected with recombinant baculovirus, inserted with NSP4 gene of CBNU/HR-1, produced specific cytopathic effects and the expressed NSP4 was detected by immunofluorescence staining using NSP4-specific monoclonal antibody(MAb). The expressed NSP4 migrated at 16-26 kDa on SDS-PAGE and reacted with NSP4-specific MAb by Western blotting.

Molecular Cloning and Expression of a Cu/Zn-Containing Superoxide Dismutase from Thellungiella halophila

  • Xu, Xiaojing;Zhou, Yijun;Wei, Shanjun;Ren, Dongtao;Yang, Min;Bu, Huahu;Kang, Mingming;Wang, Junli;Feng, Jinchao
    • Molecules and Cells
    • /
    • 제27권4호
    • /
    • pp.423-428
    • /
    • 2009
  • Superoxide dismutases (SODs) constitute the first line of cellular defense against oxidative stress in plants. SODs generally occur in three different forms with Cu/Zn, Fe, or Mn as prosthetic metals. We cloned the full-length cDNA of the Thellungiella halophila Cu/Zn-SOD gene ThCSD using degenerate RT-PCR and rapid amplification of cDNA ends (RACE). Sequenc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ThCSD gene (GenBank accession number EF405867) had an open reading frame of 456 bp. The deduced 152-amino acid polypeptide had a predicted molecular weight of 15.1 kDa, an estimated pI of 5.4, and a putative Cu/Zn-binding site. Recombinant ThCSD protein was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and assayed for SOD enzymatic activity in a native polyacrylamide gel. The SOD activity of ThCSD was inactivated by potassium cyanide and hydrogen peroxide but not by sodium azide, confirming that ThCSD is a Cu/Zn-SOD. Northern blotting demonstrated that ThCSD is expressed in roots, stems, and leaves. ThCSD mRNA levels increased by about 30-fold when plants were treated with sodium chloride (NaCl), abscisic acid (ABA), and indole-acetic acid (IAA) and by about 50-fold when treated with UVB ligh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CSD is involved in physiological pathways activated by a variety of environmental conditions.

배추의 건조 저항성 유전자, BrDSR의 기능 검정 (Characterization of a Drought-Tolerance Gene, BrDSR, in Chinese Cabbage)

  • 유재경;이기호;박영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1호
    • /
    • pp.102-11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BrDSR(Drought Stress Resistance in B. rapa) 유전자의 기능을 명확히 밝히고, 배추에서 건조 스트레스 반응 유전자들을 분석하는데 있다. 내혼계배추('CT001')와 BrDSR 완전장(438bp의 오픈리딩프레임)을 지닌 pSL100 vector를 재료로 아그로박테리아를 이용한 배추 형질전환을 수행하였다. PCR 분석을 통해 4개체의 형질전환체를 확보하였고, 이들의 BrDSR 발현량은 건조 스트레스 조건에서 비형질전환체 대비 약 1.9-3.4배 정도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표현형 분석에서도 BrDSR이 과발현된 형질전환체들은 건조 스트레스에 저항성을 보이며 정상적인 생장을 하였다. 기 구축된 건조 스트레스 반응 유전자의 상호발현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BrDSR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유전자들을 분석하기 위해 B. rapa 135K cDNA microarray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환경 스트레스와 관련하여 식물체에서 잎의 노화와 자가소화에 관련된 것으로 보고된 'dark inducible 2(DIN2, AT3G60140)'와 'autophagy 8h(ATG8H, AT3G06420)' 유전자가 확인되었다. 위 결과들을 근거로 BrDSR 유전자는 건조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성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국화 기형화 발생과 S-adenosyl-L-homocysteine hydrolase 유전자 발현 (S-adenosyl-L-homocysteine hydrolase gene is down-regulated in abnormal flower inducing environment in chyrsanthemum)

  • 허은주;박상근;임진희;최성열;이영란
    • 화훼연구
    • /
    • 제18권4호
    • /
    • pp.278-283
    • /
    • 2010
  • 본 시험은 국화에서의 기형화 발생과 DNA 메틸레이션에 관여하는 S-adenosyl-L-homocysteine hydrolase (SAHH) 유전자 발현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스프레이 국화 'Lerbin'은 단일후 14일에서 27일 사이에 고온과 장일 조건에서 기형화가 발생되어, $35/20^{\circ}C$의 고온과 14시간의 장일 처리 할 경우 $25/20^{\circ}C$(12 h/12 h)에 비해 설상화가 2배 이상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스프레이 국화 'Lerbin'에서 분리한 전장 cDNA (DgSAHH)는 크기가 1455 bp로 다른 작물과 90%이상의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국화의 DgSAHH 유전자 발현은 기형화 발생을 유도하는 고온과 장일 조건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국화의 화아 발달에 있어서 DgSAHH 유전자 발현은 온도와 일장의 영향을 받으며, 억제된 이 유전자의 발현이 기형화 발생에 관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acillus clausii I-52로부터 alkaline protease 유전자의 클로닝 및 발현 (Cloning and Expression of a Alkaline Protease from Bacillus clausii I-52)

  • 주한승;최장원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201-212
    • /
    • 2011
  • 인천 연안의 심하게 오염된 갯벌로부터 강력한 세포외 알카리성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호알카리성 Bacillus clausii I-52를 분리하였으며, 이 균주로부터 알카리성 단백질 분해효소의 유전자를 cloning하여 서열 분석을 하였다. Chromosome 서열이 완전히 밝혀진 Bacillus subtilis의 서열을 기초로 하여 알카리성 단백질 분해효소 및 promoter를 포함하도록 primer를 고안하여 PCR을 수행하여 2,277 bp의 DNA 단편을 얻었으며 BLAST 분석 결과 29 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signal peptide, 77 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propeptide 및 275 개의 아미노산을 갖는 활성형의 BCAP으로 구성된 총 381 개의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1,143 bp의 open reading frame을 확인하였다. 활성형 BCAP의 N-말단 아미노산은 Ala이며, 분자량 및 pI 값은 각각 27698.7 Da과 6.30으로 계산되었다. 아미노산 상동성을 분석한 결과, B. subtilis 유래의 nattokinase precursor 및 B. subtilis BSn5 유래의 subtilisin E precursor와 99%의 서열 상동성을 나타내어 B. clausii I-52 유래의 BCAP은 subtilisin 계열의 단백질 분해효소임을 확인하였다. E. coli BL21(DE3)에서 발현한 재조합 BCAP는 N-Suc-Ala-Ala-Pro-Phe-pNA 를 효율적으로 분해하였다. Refolding한 재조합 BCAP은 전형적인 serine protease inhibitor인 PMSF에 의하여 강하게 효소 활성이 억제됨으로써 serine protease 계열의 단백질 분해효소임을 알 수 있었다.

기존선 철도차량을 이용한 철도교의 상호작용해석 (Vehicle-Bridge Interaction Analysis of Railway Bridges by Using Conventional Trains)

  • 조은상;김희주;황원섭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1A호
    • /
    • pp.31-4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차종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고, 차량과 교량의 연성 운동방정식을 구성하여 시간 단계별 직접해를 산정할 수 있는 수치해석기법을 제시하였다. 운동방정식의 해는 직접적분법인 Newmark ${\beta}$을 이용하여 해석 단계별로 구성된 유효강성행렬과 유효하중벡터를 바탕으로 정적평형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원리와 동일하게 산정하였다. 또한 해석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유효강성행렬은 Skyline 법에 의해 재구성하였으며, Cholesky의 행렬 분해기법을 동시에 적용하여 직접적인 역행렬 계산에서 야기되는 오차의 발생을 최소화 하였다. 또한 기존선 철도차량인 새마을 PMC 열차와 디젤 견인 무궁화 열차에 대한 3차원 정밀수치해석 모델을 개발하였고, 각 차량은 차체와 전 후방 대차에 각각 6자유도씩 고려하여 총 18자유도로 수치모델을 작성하였다. 교량은 3차원 공간뼈대 요소를 이용하여 모델링하였고, 차륜과 레일 접촉면의 불규칙성은 미국의 FRA에서 규정하고 있는 연직방향 및 횡방향틀림에 대한 PSD 함수를 이용하여 궤도틀림을 수치적으로 구현하였다. 제시된 수치해석 기법은 12 m, 18 m형 판형교의 실측결과를 이용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실측 및 수치해석결과는 교량의 1차 휨 고유진동수의 2.0배를 기준으로 Low pass filtering 하였다.

강프레임 기둥 부재의 탄성 및 비탄성 유효좌굴길이 산정을 위한 가상축력계수의 적용 (Application of a Fictitious Axial Force Factor to Determine Elastic and Inelastic Effective Lengths for Column Members of Steel Frames)

  • 최동호;유훈;이윤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2A호
    • /
    • pp.81-92
    • /
    • 2010
  • 강프레임 부재의 설계에서 탄성 시스템좌굴해석은 프레임의 실제 거동을 예측하기 어려운 반면, 비탄성 시스템좌굴해석은 압축부재의 세장비에 따른 비탄성 거동이 고려됨으로써 보다 현실적인 부재의 좌굴거동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시스템좌굴해석 수행후 오일러좌굴식을 이용한 방법은 압축력이 비교적 작게 발생하는 부재에서 과도한 유효좌굴길이를 산정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프레임 구조의 모든 부재의 탄성 및 비탄성 유효좌굴길이계수를 산정할 수 있는 새로운 해석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가상축력계수 개념을 기반으로 비탄성 강도감소계수를 도입하고 반복고유치해석을 수행하여 각 부재의 유효좌굴길이계수를 산정한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예제 강프레임 구조물을 제안된 방법에 의거한 유효좌굴길이와 기존 방법에 의거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검증 결과, 제안된 방법은 강프레임의 모든 부재의 탄성 및 비탄성 유효좌굴길이계수를 합리적으로 산정할 수 있었다. 부가적으로 재료의 비탄성 거동이 부재의 유효좌굴길이에 미치는 영향도 논의되었다.

대순진리회 수행 연구의 경향과 과제 (Research Trends and Problems on Cultivation Practice of Daesoonjinrihoe)

  • 차선근
    • 대순사상논총
    • /
    • 제24_1권
    • /
    • pp.315-349
    • /
    • 2014
  • This paper was carried out to bring the researches on Cultivation Practice of Daesoonjinrihoe which have been at a standstill after analyzing the directions of studies on Cultivation Practice and diagnosing its problems, in addition to that, the paper was also conducted in a way of discussing the research directions in the future. This work enables scholars who have interests in Daesoon Thoughts to easily comprehend over the length and breadth of Cultivation Practice of Daesoonjinrihoe as well as help them understand what level of researches regarding Cultivation Practice has been demanded. Furthermore, this paper will be a step-stone for scholars to ponder how and on what perspective they approach a wide variety of studies on Daesoon Thoughts. The problems reflect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on Cultivation Practice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xcept a few researches in general, problem recognition, research target, style, method, and content are not diverged from the frame defined by Jang Byeong-Gil, who set it up in Daesoon Religion and Thought (Daesoon Jonggyo Sasang) in 1989. Proliferating overlapped researches without developing problem awareness is of great concern. And such researching climate has gradually set in. Secondly, there are numerous researches intending to reveal the researcher's forceful attitude implying faith. Thirdly,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neglect to focus on defining the range of researches. Fourthly, when defining concepts, more thorough insight is needed. Lastly, the researches on analysing symbols and attempting signification analysis are relatively few, only to find many errors.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suggests to develop theories which back up Cultivation Practice by researching on the fields of theory of mind-nature(心性), theory of mind-qi(心氣), theory of pain, Religious Ethics, viewpoint of God/gods, and psychology. Secondly, all the symbols and meanings of elements shown in Cultivation Practice need analyzing more elaborately sophisticatedly and more in-depth. In order to fulfil this goal, by adapting the recent trends of historical studies, it is essential to attempt to engraft Cultivation Practice of Daesoonjinrihoe on cultural phenomena, to analyze thick layers of meanings beneath its surface, to interpret differently, utilizing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focusing on the gender problems, and to extract true meanings out of Cultivation Practice by analyzing everyday events which can occur in real cultivation practices. Thirdly, the terms and concepts regarding Cultivation Practice base the principle themselves. Fourthly, by utilizing methodology of comparative studies on religions, the comparative researches on cultivation practice of different religious traditions are also needed. Lastly, the history of aspects on Cultivation Practice such as transition of mantras, processes which have been conducted through proprieties of prayer and training should be collected and classified. In this context, this work is very important since it helps understand the aspects of transition of originality and characteristics in Cultivation Practice of Daesoonjinrihoe according to passage of tim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Passeo-18 Lux Drug-Coated Balloon Catheter in Infrainguinal Endovascular Revascularization in the Korean Population: A Multicenter Post-Market Surveillance Study

  • Tae Won Choi;Je Hwan Won;Hwan Jun Jae;Yong Sun Jeon;Sang Woo Park;Gi-Young Ko;Nam Yeol Yim;Jong Yun Won;Chang Won Kim;Jinoo K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5권6호
    • /
    • pp.565-574
    • /
    • 2024
  • Objective: To evaluate the safety and clinical outcomes of the Passeo-18 Lux drug-coated balloon (DCB) in endovascular revascularization procedures under real-world conditions in a Korean population with atherosclerotic disease of the infrainguinal arteries, including below-the-knee (BTK) arteries. Materials and Methods: Eight institut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participated in this prospective, multicenter, single-arm, post-market surveillance study. Two hundred patients with Rutherford class 2-5 peripheral arterial disease and infrainguinal lesions suitable for endovascular treatment were competitively enrolled. Data were collected at baseline, the time of intervention, discharge, and 1-, 6-, 12-, and 24-month follow-up visits. The primary safety endpoint was freedom from major adverse events (MAE) within 6 months (except when limiting the time frame for procedure- or device-related mortality to within 30 days), and the primary effectiveness endpoint was freedom from clinically driven target lesion revascularization (CD-TLR) within 12 months after the procedure. Results: A total of 197 patients with 332 target lesions were analyzed. Two-thirds of the patients had diabetes mellitus, and 41.6% had chronic limb-threatening ischemia. The median target lesion length was 100 mm (interquartile range: 56-133 mm). Of the target lesions, 35.2% were occlusions, and 14.8% were located in the BTK arteries. Rate of freedom from MAE was 97.9% at 6 months, and the rate of freedom from CD-TLR was 95.0% and 92.2% at 12 and 24 months, respectively. Subgroup analysis of 43 patients and 49 target lesions involving the BTK arteries showed rate of freedom from MAE of 92.8% at 6 months and rates of freedom from CD-TLR of 88.8% and 84.4% at 12 and 24 months,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cluding the BTK subgroup analysis, showed outcomes comparable to those of other DCB studies, confirming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Passeo-18 Lux DCB in the Korean population.

도심 가로수 뿌리의 융기특성 연구 - 대전 서구 가로수를 대상으로 - (A Study on Root Damage to Street Pavement from the Roots of Roadside Trees in Urban Areas - Focusing on Roadside Trees in Seo-gu, Daejeon City -)

  • 탁승철;이시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58-69
    • /
    • 2018
  • 가로수 뿌리융기발생의 빈도가 높은 대전시 서구 내 둔산동택지개발 가로수를 대상으로 뿌리 융기상태와 가로시설 현황조사를 통해 가로수와 가로시설간의 융기특성과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 대상지는 대전광역시 서구를 중심으로 6곳의 메타세쿼이아와 양버즘나무로 선정 조사하였으며, 가로수 뿌리 융기 발생 시 가로수 보호틀 파손율(95.3%)이 차도경계석파손율(19.7%)보다 높았다. 또한, 보호덮개가 없는 가로수는 포장면 융기현상 발생 확률이 높으며, 식수대면적이 일정 이상 높아지면 보호틀 파손빈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융기형태의 빈도는 꼬리형>마운딩형>불규칙형 순이며, 융기방향의 빈도는 차도경계석과 평행을 기준으로 차량진행방향이 $180^{\circ}$ 보도 쪽이 $90^{\circ}$로 기준하였을 때 1방향($0{\sim}44^{\circ}$), 2방향($45{\sim}89^{\circ}$), 3방향($90{\sim}134^{\circ}$)에서 가장 많은 포장면 융기발생이 일어났다. 또한 융기길이는 약 31~60cm에서 융기발생이 가장 많이 발생하며, 융기높이는 3~6cm에서 발생빈도가 가장 높다. 융기 변형량 결과를 비교해보면 조사 수종이 주수가 메타세쿼이아가 양버즘나무보다 2주 적음에도 불구하고 양버즘나무의 변형량보다 약 1.3배 정도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메타세쿼이아가 양버즘나무보다 포장면 융기로 인한 변형량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융기길이, 융기너비, 융기높이가 클수록 변형량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흉고직경, 보도 폭의 규격, 융기현상의 빈도와 변형량의 관계는 꼭 비례하지 않으며, 토양습도와 식재 기반 등 외부적인 요소로 인해 차이가 있다고 판단되어 융기현상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방향의 개선방안 접근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