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acture criteria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24초

Three-dimensional computer navigation in the reconstruction of complex unilateral orbital fractures: evaluation and review of applications

  • Parampreet Singh Saini;Rajesh Kumar;Manu Saini;Tarush Gupta;Sunil Gaba;Ramesh Kumar Sharma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61-170
    • /
    • 2024
  • Background: The eyes are the central aesthetic unit of the face. Maxillofacial trauma can alter facial proportions and affect visual function with varying degrees of severity. Conventional approaches to reconstruction have numerous limitations, making the process challenging.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pplication of three-dimensional (3D) navigation in complex unilateral orbital reconstruction. Methods: A prospective cohort study was conducted over 19 months (January 2020 to July 2021), with consecutive enrollment of 12 patients who met the inclusion criteria. Each patient was followed for a minimum period of 6 months. The principal investigator carried out a comparative analysis of several factors, including fracture morphology, orbital volume, globe projection, diplopia, facial morphic changes, lid retraction, and infraorbital nerve hypoesthesia. Results: Nine patients had impure orbital fractures, while the remainder had pure fractures. The median orbital volume on the normal side (30.12 cm3; interquartile range [IQR], 28.45-30.64) was comparable to that of the reconstructed orbit (29.67 cm3; IQR, 27.92-31.52). Diplopia improved significantly (T(10)= 2.667, p= 0.02),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globe projection. Gross symmetry of facial landmarks was achieved, with comparable facial width-to-height ratio and palpebral fissure lengths. Two patients reported infraorbital hypoesthesia at presentation, which persisted at the 6-month follow-up. Additionally, five patients developed lower lid retraction (1-2 mm), and one experienced implant impingement at the infraorbital border. Conclusion: Our study provides level II evidence supporting the use of 3D navigation to improve surgical outcomes in complex orbital reconstruction.

다발성 골수종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Multiple Myeloma)

  • 황형기;이충기;현명수;심봉섭;이현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8권2호
    • /
    • pp.106-113
    • /
    • 1991
  • 저자들은 1983년 5월부터 1990년 2월까지 영남대학병원 내과에서 다발성 골수종으로 진단 되었던 총 31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고찰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적으로 60대(45%)에서 가장 많았으며 남녀비는 1.8 : 1로 남성 우위를 보였다. 2. 진단당시 주증상으로는 골통증(58%)이 가장 많았고, 발열, 호흡곤란, 현기증, 종물촉지 등이 있었다. 3. Southwest Oncology Group(SWOG)의 진단기준에 따른 검사소견의 분포는 골이나 연부조직의 생검상 골수종을 보인 예가 6예, 골수검사상 총유핵세포 중 형질세포의 비율이 10%이상인 예가 22예, 혈청단백 전기영동상에서 Monoclonal splike를 보인 예가 24예, X-선검사상 골붕괴소견을 보인 예가 22예에서 관찰되었다. 4. 병기분류에 따른 환자의 분포는 stage I이 2예, stage II가 3예, stage III가 26예로 전체 대상환자의 84%였다. 5. 면역전기영동검사결가 IgG가 19예로 64%로 가장 많았으며, Light chain이 7예로 23%, IgA가 3예로 10% 순이었다. Light chain중 Kappa와 Lambda의 비는 1.1 : 1로 거의 비슷하였다. 6. 혈액학적소견상 혈색소치가 8.5g%미만이 42%를 차지하였고, 10.6mg%이상의 고칼슘혈증을 보인 환자는 22%였고, 혈청 creatinine치의 경우 2.0mg%이상이 19%를 차지하였다. 7. 골 X-선학적 검사소견상 다발성 골용성 병변은 두개골에 65%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늑골로 42%, 요추 35%, 골반 23%, 흉추 순으로 관찰되었다. 골조송증과 골붕괴 및 골절이 동반된 예가 55%, 골붕괴만 보인 예가 23%, 골조송증만 보인 예가 10%였다. 8. 합병증으로는 신기능 장애가 10예, 감염이 8예, 척추의 압박골절이 16예에 관찰되었다.

  • PDF

늑골골절 환자 치료: 결과에 영향을 주는 위험인자 분석 (Management of Patients with Rib Fractures: Analysis of the Risk Factors Affecting the Outcome)

  • 김한용;김명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3호
    • /
    • pp.285-291
    • /
    • 2010
  • 배경: 흉부외상은 개발도상국인 나라에서 이환율과 사망률의 가장 많은 원인 중에 하나이다. 흉부둔상으로 발생하는 늑골골절은 외상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연구의 목적은 늑골 골절을 치료시 이환율과 사망률을 확인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5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입원 후 3일 이내 타 병원으로 전원을 간 환자를 제외한 둔상으로 인한 늑골골절이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이 기간 동안 474명이 입원하였고, 454명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남자가 356명 여자가 9명이었고 평균나이는 53세(5~90세)였다. 결과를 예측하는 요소로 손상기전, 늑골 골절수, 중환자실 입원기간 그리고 ISS, 입원기간, 폐 합병증과 사망률을 조사 하였다. 결과: 외상의 기전으로 교통사고 189명(41.7%), 보행 중 넘어짐 103명(22.7%), 추락 85명(18.7%) 그리고 농기계 사고 30명(6.6%), 산업재해 32명(7.0%), 폭행 15명(3.3%)였다. 흉부내 손상으로 혈흉 269명(59.3%), 기흉 144명(31.7%) 폐좌상 95명(20.9%) 그리고 피하기종 29명(6.4%), 큰 혈관손상 5명(0.1%)이 있었다. 대부분의 환자는 보존적인 치료를 하였고, 흉관 삽관술 시행은 234명(51.5%)이었으며, 개흉술은 18명(4.0%)이었다. 평균 흉관삽관 기간은 $5.2{\pm}6.2$일이었다. 대부분의 환자는 일반 병동에서 치료를 하였으며, 평균 입원기간은 $22.5{\pm}20$일이었다. 평균 ISS 수치는 $14.8{\pm}10.9$ (3~75)였고 사망률은 4.9% (22명)였다. 입원기간에 영향을 주는 것은 늑골골절 수, 흉관삽관 기간, 폐질환 동반 그리고 산재보험 이었고,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폐좌상, ISS가 예후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요인이었다. 결론: 늑골 골절은 중증손상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합병증과 동반된 손상 때문에 늑골골절 환자들은 입원하여 치료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최근의 연구에서 40대 이하의 젊은 환자도 노년층의 환자와 같이 늑골골절로 인한 이환율과 사망률이 증가 한다고 한다. 우리의 연구에서는 ISS와 페좌상이 사망률에 영향을 주고 있다. 늑골골절이 1개 또는 이상인 늑골 골절만 있는 환자도 입원치료를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 한다.

국부좌굴을 고려한 고강도 조립 H형강 부재의 휨성능 실험 (Flexural Test of H-Shape Members Fabricated of High-Strength Steel with Considering Local Buckling)

  • 이철호;한규홍;박창희;김진호;이승은;하태휴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417-428
    • /
    • 2011
  • 강구조 설계는 재료의 비탄성 변형능력을 활용하는 정도에 따라 탄성설계법, 소성설계법, 내진설계법으로 대별할 수 있다. 현재 국내외 강구조 설계기준에서는 항복강도 450MPa를 초과하는 고강도강재에 대해서는 비탄성 변형능력에 대한 우려와 국부좌굴 및 횡좌굴 거동에 대한 실험자료의 부족으로 소성설계의 적용을 금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강재를 대상으로 개발된 현행 강구조설계기준의 플랜지 판폭두께비 제한식을 최근에 개발된 고강도강재인 HSB800에도 그대로 확대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고강도강 휨부재의 국부좌굴 및 비탄성거동을 파악하기 위한 실물대실험을 수행하였다. HSB800 및 SM490A(비교강종) 강재로 조립된 H형강 휨부재를 각각 5개씩 총 10개의 실험체를 제작하고 실험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모든 SM490A 비교실험체는 설계기준 상의 판폭두께비에 따른 요구강도와 연성능력을 충분히 발휘하였다. HSB800 실험체 역시 강도 발현의 측면에서는 매우 만족스런 성능을 발휘하였다. 즉, 비콤팩트 및 세장판 요소 플랜지를 지닌 실험체에서도 소성모멘트를 충분히 상회하거나 이에 육박하는 강도가 발현되었다. 이는 현행 판폭두께비 제한규정을 HSB800 고강도강에 그대로 적용해도 강성과 강도 확보를 목표로 하는 모든 탄성설계에 충분히 보수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SM490 실험체와는 달리 HSB800 실험체 5개 가운데 3개가 가력점 스티프너와 접합된 하부플랜지에서 조기 인장파단이 발생하여 소성설계에 요구되는 회전능력 R=3에는 미달하였다. HSB800 실험체에서 관측된 파단원인을 규명하고 고강도강재에 보다 적합한 판폭두께비의 정립을 위한 추가실험과 해석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비 운동선수에 있어 단독 제 2형 SLAP 병변의 관절경적 봉합수술의 임상적 결과 (The Clinical Outcomes of Arthroscopic Repair of Isolated type II SLAP Lesion in Non-athletes)

  • 유재철;안진환;고경환;김승연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85-190
    • /
    • 2008
  • 목적: 비 운동선수에 있어 제 2형 SLAP 병변의 관절경적 봉합수술의 결과를 알아보고 단독 제2형SLAP 병변이 있는 군과 봉합이 필요치 않은 극상건의 부분층 파열을 동반한 군간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7월부터 2007년 1월까지 제 2형 SLAP 병변에 대해 관절경적 봉합수술을 시행 받은 총 142예의 환자 중 50세 미만 비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같은 부위에 수술, 골절, 반복적인 탈구의 병력이 있거나, 봉합을 요하는 회전근개 전층 또는 50% 이상의 부분층 파열을 동반한 경우, 감염, 관절염, 염증성 질환을 동반한 경우는 제외하여 총 19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13예는 봉합이 필요치 않은 극상건의 부분층 파열을 동반하고 있었고(그룹 I), 6예는 단독 제 2형 SLAP 병변을 가지고 있었다(그룹 II). 평균 연령은 36.7세(29-49세)였으며 평균 증상 기간은 39.1개월(3-216개월)이었고 평균 추시 기간은 19.0개월(12-27개월)이었다. 외상의 병력은 그룹 I에서 9명, 그룹 II에서 5명 있었다. 모든 환자에서 술 전후로 관절운동범위, 통증 및 기능 VAS, Constant 점수 및 UCLA 점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그룹 I에서 견관절의 외회전은 최종 추시시 의미있게 감소하였으며(p=0.003) 그 밖의 관절운동 범위는 그룹에 관계없이 모두 술전 상태로 회복되었고(p>0.05), 그룹간에도 차이가 없었다(p>0.05). 최종 추시에서 모든 평가 점수(Constant 점수, UCLA 점수, 통증 VAS, 기능 VAS)는 술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5) : UCLA 점수는 $22.8{\pm}5.2$에서 $32.8{\pm}2.1$; Constant 점수는 $79.4{\pm}8.6$에서 $94.9{\pm}4.3$; 통증 VAS는 $5.4{\pm}2.7$에서 $1.1{\pm}1.4$; 기능 VAS는 $63.2{\pm}15.3$에서 $93.4{\pm}7.3$으로 향상되었다. 하지만 평균 UCLA 점수 및 Constant 점수의 그룹간 비교에서 두 그룹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비 운동선수에 있어 제 2형 SLAP 병변의 관절경적 봉합술은 임상적으로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동반된 극상건의 부분층 파열은 1년 추시에선 최종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Anthropometric Analysis of Facial Foramina in Korean Population: A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ic Study

  • Lim, Jung-Soo;Min, Kyung-Hee;Lee, Jong-Hun;Lee, Hye-Kyung;Hong, Sung-Hee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13
    • /
    • 2016
  • Background: Position of the facial foramina is important for regional block and for various maxillofacial surgical procedures. In this study, we report on anthropometry and morphology of these foramina using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3D-CT) data.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for all patients who have undergone 3D-CT scan of the facial skeleton for reasons other than fracture or deformity of the facial skeleton. Anthropometry of the supraorbital, infraorbital, and mental foramina (SOF, IOF, MF) were described in relation to facial midline, inferior orbital margin, and inferior mandibular margin (FM, IOM, IMM). This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sex and age. Additionally, infraorbital and mental foramen were classified into 5 positions based on the anatomic relationships to the nearest perpendicular dentition. Results: The review identified 137 patients meeting study criteria. Supraorbital foramina was more often in the shape of a foramen (62%) than that of a notch (38%). The supraorbital, infraorbital, and mental foramina were located 33.7 mm, 37.1 mm, and 33.7 mm away from the midline. The mean vertical distance between IOF and IOM was 13.4 mm. The mean distance between MF and IMM was 21.0 mm. The IOF and MF most commonly coincided with upper and lower second premolar dentition, respectively. Between the sex, the distance between MF and IMM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males than for female. In a correlation analysis, SOF-FM, IOF-FM and MF-FM valu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ge, but IOF-IOM valu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ge. Conclusion: In the current study, we have reported anthropometric data concerning facial foramina in the Korean population, using a large-scale data analysis of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of facial skeletons. The correlations made respect to patient sex and age will provide help to operating surgeons when considering nerve blocks and periosteal dissections around the facial foramina.

자동화 그라우팅 기법의 현장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eld Application of Automatic Grouting System)

  • 도종남;박정환;최동찬;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63-74
    • /
    • 2012
  • 국내에서 그라우팅은 대부분 전문성 있는 지식이나 이론적인 연구에 의한 방법이 아닌 경험적인 방법에 의해 설계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라우팅이 적용되는 건설현장에서 자동화 그라우팅 기법의 품질관리기술과 방법에 대한 것을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제한적인 물주입시험에 의한 최적주입압 결정과 관련된 방법은 그라우팅 전.후에 대한 평가만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라우팅재료가 지반내에서 확산하는 동안 주입압력(p)~주입속도(q)~침투시간(t) 차트 분석을 통해 주입압, 주입속도, 침투시간의 특성을 평가할 경우 그라우트 압력에 의한 지반의 파쇄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주입압력(p), 주입속도(q)와 침투시간(t) 곡선을 분석하여 적합한 값을 도출하면 효과적인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차트분석기법은 기존의 종이롤에 기록되어 지는 주입압력(p)과 주입속도(q)를 정리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통합유량계는 정확한 수량을 기록할 수 있으나 기록된 주입압력은 초기, 중급 및 최종 지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 통합유량계 및 그라우팅 대상 지반의 특성의 상관관계가 규명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자동화 그라우팅 기법은 주입압력과 그라우팅 대상 지반의 특성간의 신뢰성 있는 상관관계를 설명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한 그라우팅 품질관리 기술을 발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Kirschner Wire Fixation for the Treatment of Comminuted Zygomatic Fractures

  • Kang, Dai-Hun;Jung, Dong-Woo;Kim, Yong-Ha;Kim, Tae-Gon;Lee, JunHo;Chung, Kyu Jin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19-124
    • /
    • 2015
  • Background: The Kirschner wire (K-wire) technique allows stable fixation of bone fragments without periosteal dissection, which often lead to bone segment scattering and loss. The authors used the K-wire fixation to simplify the treatment of laborious comminuted zygomatic bone fracture and report outcomes following the operation. Methods: A single-institution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for all patients with comminuted zygomatic bone fractures between January 2010 and December 2013. In each patient, the zygoma was reduced and fixed with K-wire, which was drilled from the cheek bone and into the contralateral nasal cavity. For severely displaced fractures, the zygomaticofrontal suture was first fixated with a microplate and the K-wire was used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fixation. Each wire was removed approximately 4 weeks after surgery. Surgical outcomes were evaluated for malar eminence, cheek symmetry, K-wire site scar, and complications (based on a 4-point scale from 0 to 3, where 0 point is 'poor' and 3 points is 'excellent'). Results: The review identified 25 patients meeting inclusion criteria (21 men and 4 women). The mean age was 52 years (range, 15-73 years). The mean follow up duration was 6.2 months. The mean operation time was 21 minutes for K-wire alone (n=7) and 52 minutes for K-wire and plate fixation (n=18). Patients who had received K-wire only fixation had severe underlying diseases or accompanying injuries. The mean postoperative evaluation scores were 2.8 for malar contour and 2.7 for K-wire site scars. The mean patient satisfaction was 2.7. There was one case of inflammation due to the K-wire. Conclusion: The use of K-wire technique was associated with high patient satisfaction in our review. K-wire fixation technique is useful in patient who require reduction of zygomatic bone fractures in a short operating time.

족관절 인공관절 치환술: 반 구속형과 자유형 치환물의 단기 추시 결과 비교 (Total Ankle Arthroplasty : Short Term follow up Results of Semiconstrained Type and Unconstrained Type)

  • 강규복;최재혁;김택선;김학준;권제호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77-181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two prosthesis that used for total ankl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From Sept. 2003 to Jun 2006, 13 patients and 14 ankles that could be follow up more than 1 months. Semiconstrained type (Group I, 7 cases) and Unconstrained type (Group II, 7 cases) were used for total ankle arthroplasty. Mean age was 63.2 year-old, 12 ankles are men and 2 ankles were women. Mean follow up periods were 29 months. The criteria to compare the clinical result were postoperative range of motion, AOFAS score and residual bone stock of medial malleolus. Results: Postoperative range of motion of group I was $43.6{\pm}9.4$ degrees and of group II was $50.7{\pm}7.3$ degrees (p=0.115). Postoperative AOFAS score of group I was $77.1{\pm}13.0$ points and of group II was $86.0{\pm}5.7$ points (p=0.094). Resected bone stock in medial malleolus of group I was $10.7{\pm}2.5\;mm$ and of group II was $5.1{\pm}1.2\;mm$ (p=0.003). Total number of complication in our study was 9 cases. 3 cases were a malleolar fracture, two occurred at intra-operation, the other at follow-up period. Re-operation was done in 6 cases, 3 cases were calcaneal corrective osteotomy, 2 cases were resection of a heterotopic bone and one case was pedicular flap operation for skin problem. Conclusion: In our hospital, mobile bearing type prosthesis shows good result than a semiconstrained type in respect of residual bone stock in medial malleolus. Postoperative range of motion and AOFAS score between two groups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small number of patients and short term follow up period is a defect in our study, afterward more population and long term follow up period are needed.

  • PDF

성인 쇄골 간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골수강내 다발성 Steinmann핀 고정술과 재구성 금속판 고정술과의 비교- (Operative Treatment of the Clavicular Midshaft Fractures in Adult - A Comparison between Intramedullary Multiple Steinmann Pins Fixation and Reconstruction Plate Fixation -)

  • 이영국;구혜서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권1호
    • /
    • pp.14-20
    • /
    • 1999
  • Purpose: Despite of the popular use of the reconstruction plate for the fixation of clavicular shaft fractures, some disadventages have been raised such as long period of immobilization, long skin incision, loosening of plate and screws, and increased chance of nonunion due to severe periosteal injury. Thus, the authors have performed intramedullary multiple Steinmann pins fixation that could reduce the disadvantages of plate fixation in order to compare the treatment results between the two groups. Materials & Methods: From 1994. Jan. to 1997. Dec. the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of the Kwak's hospital treated operatively for 56 cases of the clavicular shaft fractures in adult. 39 cases of them were treated with the plate fixation and 17 cases with the intramedullary multiple Steinmann pins fixation(SP group). Reconstruction plates(Plate group) were used for 26 out of 39 patients treated with plate fixation. Among the Plate group and SP group, each 15 cases were selected by age and sex and compared each other according to the bone union time, union rate, complication, and functional results. The follow-up period was 12 months at the shortest and 48 months at the longest and the average was 16 months. Results: The Plate group showed that the bone union time was 7 weeks and the bone union rate was 93%. The SP group showed 6.5 weeks and 100% respectively. In complication, the Plate group had 1 case of loosening of plate and screws and delayed union; SP group had 1 case of pin migration. The functional results according to Kang's criteria, 87% of the Plate group and 93% of the SP group showed good or excellent. Conclusion : The SP group showed very comparable results in terms of the bone union time, bone union rate, complication, and functional results comparing to the Plate group. The intramedullary multiple Steinmann pins fixation showed several advantages over the reconstruction plate fixation, which were simple operative technique, easy removal of pins, being able to perform immediate postoperative full range of motion exercise. Therefore, the intramedullary multiple Steinmann pins fixation is thought to be one of the useful operative techniques in treatment of the clavicular shaft fractures in adul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