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mation of maltose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3초

당 종류 및 NaCl과 Sucrose 배합비에 따른 계란찜의 겔 형성 효과 (Effects of Egg Gel Formation According to Mixing Ratio of Sugar Sources, NaCl and Sucrose)

  • 김경미;김옥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2-79
    • /
    • 2008
  • 본 연구는 전란액에 sucrose, maltose syrup, dextrin을 첨가하고 달걀찜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관능검사를 통하여 달걀찜의 최적 NaCl 농도와 sucrose의 농도를 확인한 후 최적 NaCl 농도에서 sucrose 첨가가 달걀찜의 gel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 Sucrose의 첨가량에 따라 전란액과 달걀찜의 L, a, b값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maltose syrup과 dextrin을 첨가한 경우에는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전란액과 달걀찜의 L, a, b값이 점점 감소하여 어두운 청록색 빛을 띠었다. 2. 기계적 texture에서는 sucrose 0.8% 첨가했을 때 급격히 쫀득해졌다가 sucrose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다시 연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NF도 역시 sucrose의 0.8 % 첨가했을 때 가장 큰 값을 보이고 있어 가장 탄력이 있는 조직을 나타내는 sucrose 첨가량임을 알 수 있었다. Hardness는 sucrose 첨가 비율이 높아지면서 약간 감소하는 완만한 변화를 주고 있었다. Maltose syrup의 경우,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조직이 물러지고 SF도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hardness는 maltose syrup의 첨가 비율이 증가하면서 감소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NF도 낮아져 maltose syrup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조직이 약해지고 무르게 됨을 알 수 있었다. Dextrin을 첨가하지 않은 전란 달걀찜의 SF는 증가했다가 점차 감소하였으며, hardness와 NF는 dextrin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점 감소하여 조직이 약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달걀액의 점도는 sucrose, maltose syrup, dextrin의 첨가량이 더해질수록 약간의 증가를 보이고 있었다. 4. 관능평가에 참가한 패널들은 0.8% NaCl을 첨가한 달걀찜의 짠맛을 가장 선호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각 NaCl 농도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5).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최적 NaCl 농도인 0.8%에 0.3%의 sucrose를 첨가한 달걀찜에서 가장 선호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5. 최적 NaCl 농도0.8%에서 달걀찜의 색도는 sucrose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 값은 어두워지고 있었으며, 최적 NaCl 0.8%에 sucrose의 첨가량을 달리한 달걀찜의 L, a, b 값이 각 시료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최적 NaCl 농도 0.8%에 0.8% sucrose를 첨가해 제조한 달걀찜의 SF, NF, hardness메서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NF에서 sucrose 첨가량을 달리한 시료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로 부터 최적 NaCl 농도인 0.8%에 0.3%의 sucrose를 첨가해 제조한 달걀찜의 전체적인 선호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나, 달걀찜 제조의 최적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Indica 벼의 원형질체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from Protoplasts of Indica Rice)

  • 이성호;손영길;이수인;김주현;조무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615-625
    • /
    • 1997
  • Indica 벼의 원형질체들로 부터 효과적인 식물체 재분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은 배형성 진탕 세포 배양체로 부터 나출된 원형질체들을 feeder cell들이 agarose에 embedded된 배지 표면에 놓인 filter membrane 위에 배양하는 것이다. Feeder cell로서 Lolium multiflorum 세포배양체를 사용했을 때가 Oryza ridleyi를 사용했을 때보다 효과적이었고, 원형질체 평탄효율은 세포 배양체 age에 따라 달랐지만 최고로 0.68% 까지 증가되었다. Carbohydrate source로서 maltose를 사용하거나 maltose와 sucrose를 1:1로 조합했을 때가 sucrose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보다 식물체 재분화율이 증가되었고, 고농도의 agarose를 이용하여 원형질체로부터 유도된 캘러스를 dehydration시켰을 때 또한 재분화율이 괄목하게 증가되었다. 식물체 재분화율은 control 캘러스로부터 3.1∼30.6% 였지만 dehydration처리한 캘러스로부터는 30.7∼70.7%까지 증가되었다. 원형질체로 부터 유도된 식물체들은 형태적으로 정상이며 개화했다.

  • PDF

Glucansucrases를 이용한 새로운 올리고당의 합성 (Enzymatic Synthesis of New Oligosaccharides Using Glucansucrases.)

  • 백진숙;김도만;이진하;장판식;한남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9-186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dextransucrase hyper-producing Leuconostoc mesenteroides B-512FMCM과 dextransucrase constitutive mutants인 B-742CB 및 B-1355C에서 얻은 dextransucrase 및 alternansucrase를 이용하여 maltose, lactose, gentiobios 및 raffinose의 수용체반응을 수행하였다. B-512FMCM의 경우 수용체로서 maltose와 gentiobiose는 설탕에 대한 농도비가 1/1이하일 때 수용체에 ${alpha}$l-6으로 D-glucose가 결합한 일련의 올리고당을 생성하였고, 9/1이상에서는 단 두 가지의 수용체산물로서 maltose의 경우에는 panose와 isomaltosyl maltose를, gentiobiose의 경우에는 6$^2$-${alpha}$-D-glucopyranosyl gentiobiose와 isomaltosyl gentiobiose만을 생성하였다. 그러나 lactose는 유일한 산물인 2$^1$-${alpha}$-D-glycopyranosyl lactose만을 생성하였다. 효소양의 변화에 대해서 maltose와 gentiobiose의 수용체반응에서 생성된 수용체산물(올리고당)의 수와 양은 효소양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lactose의 경우에는 효소양의 증가에 대해 수용체산물 양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 B-742CB dextransucrase와 B-1355C alternansucrase를 사용하면 B-512FMCM dextransucrase에서는 단 한가지만의 수용체산물을 생산하였던 lactose와 raffinose를 수용체로 하여 여러 가지의 수용체산물(올리고당)을 생산하였다.

  • PDF

Arginyl-fructosyl-glucose and Arginyl-fructose, Compounds Related to Browning Reaction in the Model System of Steaming and Heat-drying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Red Ginseng

  • Suzuki, Yukio;Choi, Kang-Ju;Uchida, Kei;Ko, Sung-Ryong;Sohn, Hyun-Joo;Park, Jong-Dae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143-148
    • /
    • 2004
  • Brown color intensity has been a major factor to estimate the quality of red ginseng and its products. This study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owning reaction of ginseng root and two compounds, arginyl-fructosyl-glucose(Arg-fru-glc) and arginyl-fructose (Arg-fru), in the model system of steaming and heat-drying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red ginseng. During the steaming process, a marked decrease of starch and a considerable formation of maltose occurred in main roots of raw ginseng, but the formation of glucose was scarcely observed. After the heat-drying process, the brown color intensity of the powdered preparation of steamed main roots was 3 to 4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powdered preparation of raw main roots. Also, when the heat- drying process was done with the addition of L-arginine, brown color intensity of the powdered preparation of steamed main roots was 12 to 13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powdered preparation of raw main roots. The amount ratios of browning reaction products formed from sugar compounds and amino acids in the model system of steaming and heat-drying treatments in vitro were in order of xylose > glucose > fructose > maltose > dextrin (DE 9) > sucrose > dextrin (DE 8) and soluble starch. Each solution of Arg-fru-glc and Arg-fru that were synthesized chemically from maltose plus L-arginine and glucose plus L-arginine, respectively, changed from colorless to brown color during the heat-drying treatment. Amino acids or sugars were effective on the acceleration of each browning reaction of Arg-fru-gIc and Arg-fru during the heat-drying treatment.

Methylglyoxal bis-(Guanylhydrazone)과 Polymine이 대두 자엽 부정근 형성시 탄수화물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thylglyoxal bis-(Guanylhydrazone) and Polyamines on Carbohydrate Metabolism during Adventitious Root Formation in Soybean cotyledons)

  • 한태진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2호
    • /
    • pp.195-201
    • /
    • 1994
  • Methylglyoxal bis-(guanylhydrazone)[MGBG]과 polyamine이 부정근 형성시 탄수화물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대두 자엽 절편을 이용하여 $5{\times}10^{-6}\;M\;NAA와\;5{\times}10^{-7}M$ kinetin으로 조성한 부정근 형성구에 $10^{-3}M$ MGBG와 이 MGBG에 $10^{-5}M$의 putrescine, spermidine 및 spermine을 각각 혼합 처리하여 전분 및 수용성당의 함량 변화와 함께 관련 효소의 활성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전분 및 maltose와 sucrose 함량은 대조구가 가장 낮았으며, MGBG를 포함하는 모든 처리구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Glucose 함량 변화는 시차는 있으나 대조구와 spermine 동시 처리구가 유사하여 증가 후 감소하였으며 MGBG 처리구는 감소 후 증가하였다. Amylase의 활성은 대조구와 MGBG 처리구에서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maltase의 활성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았고 invertase의 활성은 큰 변화가 없었다.

  • PDF

충진형반응기에서 고정화 Transglucosidase를 이용한 이소말토올리고당의 연속생산 (Continuous Production of Isomaltooligosaccharides by Immobilized Transglucosidase in a Packed-bed Reactor)

  • 안장우;박관화;서진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0-117
    • /
    • 1998
  • 고정화 transglucosidase (TG)를 이용한 충진형 반응기를 만들어 isomaltooligosaccharides (IMO)의 연속생산 가능성을 살펴보고 기질용액의 농도와 유속에 따른 반응산물의 생성패턴과 운전안정성을 조사하였다. 고정화 TG에 의한 IMO의 생성패턴은 soluble TG의 경우와 동일하였다. 충진형반응기에 의해 생성된 포도당과 isomaltose의 농도는 기질인 maltose 용액의 농도와 종류에 관계없이 유속의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고 isomaltotriose 역시 10% 기질용액을 사용한 경우를 제외하고 같은 경향을 보였다. 반면, panose의 농도는 유속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질농도가 10% 일 때, IMO의 최대수율은 2 mL/min 유속에서 52.1%였고, 20%와 30% (w/v)일 때는, $0.5{\sim}1.0\;mL/min$ 유속에서 각각 $39.0{\sim}38.0%,\;12.1{\sim}14.2%$의 최대수율을 보였다. 20%의 maltose를 함유한 조제당화액을 사용했을 때의 수율은 유속이 0.5 mL/min일 때 36.3%였다 본 충진형반응기는 $55^{\circ}C$에서 안정되게 운전되었다. 144시간 운전후에 초기 활성의 85%, 288시간 경과후에도 약 65%의 활성이 잔존하였다. 본 실험결과로 보아 IMO를 생산하기 위해 고정화 TG를 이용한 충진형반응기를 적용하는 것은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주류 제조를 위한 효소 당화에 쌀의 전처리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Rice Pre-treatment on Enzymatic Saccharification in the Brewing Process)

  • 안진옥;정장호;이승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77-283
    • /
    • 2017
  • 전통 양조법을 활용하여 인공감미료를 첨가하지 않고 단맛이 보완된 전통주를 개발하기 위하여 고문헌에 기록된 주류 제조 시 쌀의 전처리 8가지 방법 즉, 죽, 범벅, 설기떡, 구멍떡, 물송편, 인절미, 개떡, 고두밥과 누룩에 존재하는 당화효소인 ${\alpha}$-, ${\beta}$-glucoamylase에 의한 당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alpha}$-amylase에 의해 생성된 maltose의 경우 반응 초기에는 개떡 > 설기떡 > 범벅 > 물송편 > 죽 > 인절미 > 구멍떡 > 고두밥의 순이었으나 48시간 후에는 인절미 > 범벅 = 고두밥 > 구멍떡 > 개떡 = 물송편 > 설기떡 > 죽의 순서로 생성양의 차이를 보였다. ${\beta}$-amylase 처리구의 maltose 생성은 ${\alpha}$-amylase 처리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glucoamylase는 고두밥에서 약 10 mg/ml의 glucose가 생성되어 maltose의 생성과는 달리 8가지 전처리 방법 중 최대의 glucose 생성을 보였다. ${\alpha}$-amylase, ${\beta}$-amylase, glucoamylase 병행 처리한 경우는 ${\alpha}$-와 ${\beta}$-amylase에 의해 가수분해 되어 생긴 말단에 glucoamylase가 작용하여 glucose의 생성이 증가되었다. 술덧의 당 함량 변화를 보면 쌀의 전처리 방법에 따라 최종 잔당 함량에 차이를 보여 감미료를 첨가하지 않고 멥쌀로도 단맛이 보완된 술을 제조할 수 있는 배합비와 제조공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Acceptor reaction of a novel transfructosylating enzyme from Bacillus sp.

  • 김영미;;박종필;윤종원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583-586
    • /
    • 2000
  • Many different oligosaccharides were produced by transferring the fructose residue of sucrose to maltose, cellobiose, lactose and sucrose (self-transfer), where their yields of fructosylated acceptor products accounted for $26{\sim}30%$ (w/w). The maximum conversion yield (30%) was obtained in fructosyl cellobioside formation with 500 g sucrose/l (substrate) and 200 g cellobiose/l (acceptor). These four acceptors gave various products having DP (degree of polymerization) $2{\sim}7$ by successive transfer reactions.

  • PDF

배지조건이 뽕나무 동아엽편의 불정아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dium Conditions on Adventious Bud Formation of Mulberry Winter Bud Leaflet)

  • 성규병;정정박명;김호락;구태원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9
    • /
    • 1995
  • 형질전환효율을 높이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뽕나무 동아 미숙엽편의 불정아형성에 미치는 배지조건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불정아형성률은 BA5 $\mu$M, TDZ 0.5 $\mu$M농도에서 높았으나 BA와 TDZ의 상호작용에 대하여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2. 고농도의 BA 혹은 TDZ를 각각 단독으로 첨가한 배지에서 엽편을 전배양한 결과 BA첨가배지 에서는 배양기간이 6일까지, TDZ첨가배지에서는 10일까지 배양기간이 길어질수록 불정아형성률이 높아졌다. 3. TDZ첨가배지에서 전처리한 경우, 엽편기부에 녹색의 투명한 조직이 발생되기도 하였다. 4. 탄소원으로서 fructose가 불정아 형성에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maltose첨가배지에서는 전혀 불정아가 형성되지 않았다.

  • PDF

쌀전분(澱粉) 분해물(分解物) 분석(分析)에 의한 세균성(細菌性) ${\alpha}-Amylase$의 작용(作用) 특성(特性) (Characterization of Bacterial ${\alpha}-Amylase$ by Determination of Rice Starch Hydrolysis Product)

  • 김해영;박관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3호
    • /
    • pp.248-254
    • /
    • 1986
  • 쌀의 생전분(生澱粉) 상태와 호화전분(糊化澱粉) 상태에 대한 전분분해효소의 작용특성과 이용방법(利用方法)을 조사하기 위하여 생전분과 호화전분에 세균성 ${\alpha}-amylase$ 및 glucoamylase를 처리하고, 생성되는 당의 종류를 정량하였다. 생전분에 ${\alpha}-amylase$를 작용시켰을 때에는 glucose(45%), maltese(33%), maltotriose(19%), maltotetrose 이상의 당류(3%) 등의 순서로 생성되었고, 호화전분에 작용(作用)했을 때에는 maltotriose(31%), maltose(31%), maltotetrose 이상의 고당류 (22%), glucose (15%)의 순서로 생성(生成)되었다. 한편 glucoamylase를 처리하였을 때에는 생전분과 호화전분에서 다같이 주로 glucose가 생성되었다. 전자현미경으로 분해된 상태를 확인한 결과, 생전분은 ${\alpha}-amylase$에 의하여 pinhole이 생성되고 전분입자의 표면침식이 잘되있고, 호화전분은 입자의 중앙부위에 공동(空洞)이 생성(生成)되었다. 이상의 결과(結果)로 보아 세균성 ${\alpha}-amylase$는 생전분 입자의 표면에 작용하여 말단기부터 glucose 및 maltose 단위로 분해하며 호화된 전분입자에는 임의의 장소에서 전분을 가수분해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