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stands

검색결과 572건 처리시간 0.035초

진주지역 인공식재 우산고로쇠의 수액 채취 시기별 출수량 및 성분 분석 (Analysis of Sap Production and Composition of Acer okamotoanum from Artificial Stands in Different Tapping Time in Jin-ju Region in Korea)

  • HUH, Jin-Sung;KIM, Jeong-Woon;YOON, Jun-Hyuck;LEE, Su-Ye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206-216
    • /
    • 2020
  • 본 연구는 진주시 소재 우산고로쇠 인공림에서의 수액 채취 시기별 출수량 및 구성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수액채취는 한 달 간격으로 2회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각 회당 채취목은 각각 소경목(흉고직경 10~20 cm) 5본씩 이었다. 일평균 기온이 1.16 ± 2.15℃로 조사된 1차 시기(2019년 1월 10일 ~ 2월 09일)의 수액 총 출수일이 약 32일, 총 출수량은 약 60.59 L로 관찰되었다. 일평균 기온이 2.55 ± 1.30℃로 조사된 2차 시기(2019년 2월 12 ~ 22일)에는 총 출수일이 약 11일이었으며 총 출수량은 약 13.38 L로 1차 시기 기준의 약 22%에 해당하는 양으로 감소하였다. 1, 2차 채취 시기별 수액의 당 성분 분석 결과 자당(Sucrose)의 함량이 출수초기 최고 2.5%를 나타냈으며 출수 종료시점에는 최소 0.8% 대로 감소하였다. 포도당(Glucose)과 과당(Fructose)은 Sucrose에 비하여 함량이 낮았으며, 0에 가까운 수치를 나타내었다. 채취 수액의 무기성분 분석 결과, 주요 성분은 칼륨(41.69 ~ 89.75 mg/kg), 칼슘(24.66 ~ 48.14 mg/kg), 마그네슘(10.18 ~ 27.25 mg/kg)이었다. 1, 2차 채취 시기별 수액 간의 sucrose함량 및 무기성분의 함량 범위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과적으로 시기를 달리한 우산고로쇠 수액 채취에 있어서 출수량은 큰 차이를 보였지만 당 및 무기성분 함량의 경우에는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인공산성우 처리에 대한 삼림토양의 완충능 (Buffer Capacities of Forest Soils by the Treatment of Simulated Acid Rain)

  • 진현오;이계성;정동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9-57
    • /
    • 2002
  • 본 연구는 경기도 광주군 퇴촌면 소재 경희대 연습림의 산림토양을 대상으로 인공산성우의 회수별 유입에 따른 산림토양의 완충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pH 3.0, pH 4.0, pH 5.0 인공산성우를 하루에 1시간 간격으로 10회 유입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임지(활엽수,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낙엽송)의 토심별(0~15 cn, 15~30 cm) pH를 측정한 결과 모든 임지에서 토심이 깊을수록 토양 pH가 높았다. 또한 각 임지별 염기포화도를 살펴보면 리기다소나무 임지에서 17.4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C.E.C는 활엽수임지의 경우 29.87 me/100 g으로 가장 높았다. 인공산성우 회수별 유입 토양용탈수의 pH 변화를 보면 pH 3.0 처리에서 인공산성우 유입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초기에는 일시적으로 높아지다가 다시 낮아지는 변곡성을 보였으며, 나머지 pH 4.0과 pH 5.0에서는 토양 용탈수의 pH가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인공산성우의 pH 수준과 임지에 따라 초기 용탈량은 차이가 있으나 모든 처리에서 인공산성우의 유입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염기성 이온의 용탈량은 감소하였다. 또한 pH 5.0 처리에 비하여 pH 3.0과 pH 4.0의 인공산성우 처리에서 총 염기성 양이온의 초기 용탈량이 더 컸으며 이러한 경향은 토양 산성도가 낮고 토양의 염기성 양이온이 높은 임지일수록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활성 Al의 초기 용탈은 토양 산성도가 높은 지역일수록, 인공산성우의 유입산도가 클수록 높게 나타났다. 또한 토심별로 확인해 본 결과 A층과 AB층간의 Al 용탈량도 소폭의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인공산성우 pH 3.0 처리에서는 모든 임지에서 Al 활성 변화가 정의 관계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pH 4.0과 pH 5.0에서의 용탈수와는 반대되는 경향이었으며, 총 염기성 양이온과도 반대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지리산(智異山) 구상나무임분(林分)의 식생구조(植生構造)와 치수(稚樹) 발생(發生) 및 생육(生育) 동태(動態) (Vegetation Structure, Regeneration Niche, and Dynamics of the Saplings in Abies koreana Forest of the Mt. Chiri)

  • 정재민;이수원;이강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34-43
    • /
    • 1996
  • 본(本) 연구(硏究)는 지리산(智異山)의 아고산대(亞高山帶)에 분포(分布)하고 있는 구상나무 임분(林分)에 대한 식생구조(植生構造)와 상층(上層)의 피도(被度)에 따른 유묘(幼苗)와 치수(稚樹)의 발생(發生)과 생육동태(生育動態)를 조사(調査)하였다. 구상나무 임분(林分)의 밀도(密度)는 상층(上層)보다 중층(中層)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평균면속(平均面續), 개체간(個體間)의 거리(距離)에서는 상층(上層)이 높았으며, 그리고 상층(上層)은 규칙분포(規則分布)를 하고 있었다. 상층(上層)의 피도(被度)에 따른 유묘(幼苗)와 치수(稚樹)의 발생밀도(發生密度)는 25% 내외(內外)의 약도(弱度)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은 50% 내외(內外)의 중용도(中庸度), 임분(林分)의 측방순(側方順)이였으며, 75% 내외의 강도(强度) 임분(林分)에서는 가장 낮았다. 그리고 치수(稚樹)의 연년생장량(連年生長量)과 최근 5년간(年間)의 생장량(生長量)은 측방(側方)의 임분(林分)에서 가장 양호(良好)하였으며, 상층(上層)의 울폐도(鬱閉度)가 높아질수록 점차 저하(低下)되였다. 상층(上層)의 피도(被度)가 낮은 임분(林分)에서는 10-20년생(年生)의 치수(稚樹)가 많았고, 상층(上層)의 피도(被度)가 높은 임분(林分)에서는 20-30년생(年生) 치수(稚樹)가 많았다. 상층임분(上層林分)의 측방(側方)에서 정상적으로 생장(生長)하는 A형(型)은 임내(林內)의 울폐도(鬱閉度)가 증가(增加)할수록 극히 감소(減少)하였고, 반면 피압(被壓)에 의한 생장(生長)이 억제(抑制)되거나 중지(中止)된 D, E형(型)의 출현율(出現率)은 급격히 높아졌다. 이상의 결과(結果)에서 상층목(上層木)의 측방(側方) 또는 gap에서는 정상적으로 자라 원추형(圓錐型)의 수형(樹形)을 나타내고 있었으나, 상층목(上層木)의 피도(被度)가 높아질수록 치수(稚樹)는 피압(被壓)되어 가지의 간격이 좁고 정단부(頂端部)의 생장(生長)이 억제(抑制)된 산형(傘型)의 치수(稚樹)가 증가(增加)되고 있었다.

  • PDF

주요 조림수종의 적지 판정 및 투자효율성 분석을 위한 GIS 응용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a GIS Application Model for Analyzing Site-Specific Suitability and Investment Efficiency of Major Plantation Species)

  • 김의경;김형호;정주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0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주요 조림수종의 적지적수 및 투자효율성을 분석하기 위한 GIS 응용모델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 모델은 잠재적 임분생장력과 투자효율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수종을 선정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즉, 임분의 잠재적 생장력은 지위지수의 추정을 통해 그리고 산림투자에 대한 효율성은 내부투자수익율을 산출하여 수종을 선발하게 된다. 산림경영 여건과 지위지수는 일련의 FGIS 수치도면들의 처리과정을 통해 추출되는 산림입지환경인자들의 함수로 평가된다. 이와 같은 분석 과정을 거쳐서 결정된 수종별 지위지수를 토대로 잠재적 임분생장량이 높게 예측되는 수종들을 우선 선발하고, 이 수종들을 조림하여 경영하는 경우의 내부투자수익율을 산출하게 된다. 내부투자수익율이 가장 높은 것이 결국 임분의 생장량 측면과 수익성 측면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수종으로 볼 수 있다. 이 모델을 서울대학교 태화산학술림에 적용하여 6개 수종에 대한 입지 여건별 적합도 판정을 위한 사례분석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잣나무넓적잎벌의 섭식량(攝食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Feeding Quantity of the Black-tipped Sawfly, Acantholyda posticalis posticalis(Hymenopera : Pamphiliidae), infesting the Korean Pine)

  • 정상배;김철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5호
    • /
    • pp.630-633
    • /
    • 2000
  • 본 연구(硏究)는 잣나무넓적잎벌(Acantholyda posticalis posticalis)의 가해량(加害量)과 섭식량(攝食量) 및 탈분량(脫糞量)을 조사(調査)하여 피해수준(被害水準)과 개체군밀도(個體群密度)를 파악(把握)하고 이에 의해 본(本) 해충(害蟲)의 관리(管理) 및 방제전략수립(防除戰略樹立)을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로 제공(提供)하기 위하여 수행(遂行)되었으며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잣나무넓적잎벌유충당(幼蟲當)의 잣나무잎 평균가해량(平均加害量)은 암수 각각(各各) 약(約) 11,774mm와 7,394mm였고 평균가해량(平均加害量) 약(約) 9,584mm였다. 총가해량(總加害量) 중 실제(實際)로 해충(害蟲)이 섭식(攝食)한 엽량(葉量)은 7,797mm로 총가해량(總加害量)의 81.4%였고 잔량(殘量)은 18.6%였다. 총가해엽량(總加害葉量)의 83%는 4령기(齡期)와 5령기(齡期)에 집중(集中)되었으며 3령기(齡期) 이하(以下)의 가해량(加害量)은 17%에 불과(不過)하였다. 일일중(一日中)의 가해량(加害量)과 섭식량(攝食量)의 비율(比率)은 령기별(齡期別)로 뚜렷하여 가해량(加害量)은 노령기(老齡期) 일수록, 그리고 섭식량(攝食量)은 우령기(幼齡期) 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수상유충기(樹上幼蟲期)의 유충당(幼蟲當) 평균탈분수(平均脫糞數)는 약(約) 1,160립(粒)으로 암수간(間)에는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령기별(齡期別)로는 현저한 차이(差異)가 있었다.

  • PDF

신갈나무림의 Gap 내 재생과정 (Regeneration Process in Gap of Quercus mongolica Forest)

  • 강상준;최철수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1호
    • /
    • pp.1-8
    • /
    • 2000
  • 충북 제천시 소재 월악산 문수봉의 신갈나무림에서 gap연령이 다른 3개 지소와 성숙림인 1개 지소로 나누어 gap내 신갈나무의 재생과정을 밝혀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식생조성은 gap형성 초기 에 관목층에서는 조록싸리, 물푸레나무, 미역줄나무, 신갈나무, 국수나무 등의 우점도가 높았다 특히, 관목층 전체를 볼때 gap형성 초기에는 개체수가 상당히 많으나 gap 연령이 증가할 수록 교목층을 형성 할 수 있는 신갈나무와 물푸레나무 등의 기저면적의 증가에 의한 피음으로 관목층의 개체수는 감소하였다. gap내에는 어린 개체가 많고 점차 감소하는 역 J자형의 분포를 나타내고 gap 연령이 증가하면서 gap내에서 급속한 성장으로 교목층을 형성하는 신갈나무의 피음에 의해 부분적으로 고사된 개체가 나타나는 것 을 볼 수 있.었다. 성숙림 에서는 어린 개체가 거의 없었으나 수령이 130년 이상인 개체가 주로 나타났고 이 들 중 한개 또는 그 이상의 개체가 어떤 교란요인에 의해서 Gap이 형성되면 이곳에 어린개체가 침입되어 재생이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본 신갈나무림은 gap형성 후 gap 내에 침입한 신갈나무가 교목층을 형성하는 연령인 약 35∼40년 이후 부터 수령이 130∼330년 되는 성숙림까지 다른 신갈나무 유묘의 침입은 없지만 다른 수종으로 대치되는 것이 아니라 성숙림의 gap형성에 의해 불연속적인 재생으로 계속 유지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테에다소나무 조림지(造林地)에서 활엽수(闊葉樹)와의 종간경쟁(種間競爭)이 임분수준(林分水準) 생존(生存) 예측모형(豫測模型)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Hardwood Interspecific Competition on Stand Level Survival Prediction Model in Unthinned Loblolly Pine Plantations)

  • 이영진;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1호
    • /
    • pp.49-54
    • /
    • 2000
  • 임분수준(林分水準) 생존예측모형(生存豫測模型)이 개발(開發)되었으며, 이 모형(模型)은 녹병(綠病)(Cronartium quercuum [Berk.] Miyabe ex Shirai f. sp. fusiforme)의 발생율(發生率)을 모형(模型)에 포함하였으며 그리고 녹병(綠病)에 감염(感染)되지 않은 단계(段階)의 임목(林木)들이 감염(感染)되는 단계(段階)로의 전이(轉移)가 허용(許容)되는 특징(特徵)을 가지고 있다. 12년간(年間) 장기적(長期的)으로 매년(每年) 측정(測定)된 영구적(永久的)인 실험(實驗)plots의 다양(多樣)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利用)하였으며, 인공조림(人工造林)된 테에다소나무임분(林分) 내에서 자연적(自然的)으로 발생(發生)된 활엽수(闊葉樹)들과의 종간경쟁(種間競爭)이 소나무임분(林分)의 생존예측(生存豫測)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분석(分析)하였다. 본(本) 연구(硏究)의 결과(結果)로서 임분수준(林分水準)의 생존예측모형(生存豫測模型)은 지위지수(地位指數)와 활엽수(闊葉樹)의 흉고단면적(胸高斷面績) 밀도(密度)와의 유의(有意)한 영향(影響)이 생존예측모형(生存豫測模型)에서 나타났다. 지위지수(地位指數)와 활엽수(闊葉樹)의 밀도(密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서 조림(造林)된 테에다소나무임분(林分)의 미래(未來) 생존(生存) 본(本) 수(數)는 뚜렷히 감소(減少)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신갈나무-전나무 천연(天然) 혼효임분(混淆林分)의 경신(更新) 및 무육방법(撫育方法) I. 임분구조(林分構造)와 작업종(作業種) (Regeneration and Tending Practices for Natural Mixed Stands of Quercus mongolica-Abies holophylla I. Stand Structure and Silvicultural System)

  • 신만용;임주훈;전영우;고영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1호
    • /
    • pp.21-29
    • /
    • 1992
  • 본(本) 연구(硏究)는 강원도(江原道) 인제군 기린면 진동리 소재(所在) 천연(天然) 혼효임분(混淆林分)의 구조(構造) 파악(把握)을 통하여 작업종(作業種) 결정(決定)을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提供)하기 위하여 실행(實行)되었다 이를 위하여 대상(對象) 임분(林分)의 직경(直徑), 분포(分布), 수고(樹高) 분포(分布), 그리고 경급별(徑級別) 재적(材積) 분포(分布)가 분석(分析)되었고 이를 이용(利用)하여 택벌임(擇伐林)의 가능성(可能性)이 검토(檢討)되었다. 1. 직경(直徑) 분포(分布)는 전형적(典型的)인 택벌임(擇伐林)에서 볼 수 있는 지수감소형(指數減少型) 구조(構造)를 나타냈고 수고(樹高) 분포(分布)에서도 택벌림(擇伐林)으로 유도(誘導)될 수 있는 높은 가능성(可能性)을 보였는데 이는 이 대상(對象) 임분(林分)이 자생(自生) 천연림(天然林) 특유(特有)의 복층림(複層林) 구조(構造)를 소유(所有)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급별(徑級別) 재적(材積) 분포(分布)에서는 택벌(擇伐) 임형(林型)에 이르지 못한 미성숙(未成熟) 구조(構造)를 보이고 있는데 그 이유(理由)는 30cm 이상(以上)의 경급(徑級)에서의 본수(本數)의 부족(不足)에 기인(起因)한 것으로 판단(判斷)된다. 이러한 구조상(構造上)의 부확실성(不確實性)은 앞으로의 연구에서 밝혀져야 하는데 특(特)히 직경(直徑)과 재적(材積) 생장율(生長率)의 추정(推定)에 의한 미래(未來) 임분(林分) 구조(構造)의 파악(把握)이 시급(時急)한 것으로 보인다.

  • PDF

솔잎혹파리가 소나무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III) -직경생장저해(直徑生長沮害)-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on the Growth of the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III) -Radial Growth Impact-)

  • 박기남;현재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5권1호
    • /
    • pp.48-53
    • /
    • 1984
  • 과거(過去)에 솔잎혹파리 피해(被害)를 받은 바 있는 충청남도(忠淸南道) 서천군(舒川郡) 비인(庇仁)과 피해(被害)를 받지 않은 충청남도(忠淸南道) 홍성군(洪城郡) 장곡(長谷) 자생(自生)하고 있는 13년생내외(年生內外) 소나무의 연륜(年輪)을 Duff와 Nolan(1953)의 방법(方法)으로 비교(比較)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건전(健全)한 소나무연륜(年輪)의 사선계열(斜線系列)에서 하나의 생장(生長) Pattern이 발견(發見)된다. 그러나 수선계열(垂線系列)을 위시(爲始)한 각(各) 계열(系列)에서 나무가 성장(成長)함에 따라 연륜폭(年輪幅)이 점차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도 볼 수 있었다. 2) 솔잎혹파리로 인(因)한 연륜생장저해(年輪生長沮害)는 수간기부(樹幹基部)의 수평선계열(水平線系列)에서는 발견(發見)되지 않았으나 기타계열(其他系列)에서는 모두 쉽게 식별(識別)해낼 수 있었다. 3) 경미(輕微)한 피해(被害)를 받았을 때나 생장저해(生長沮害)가 발생(發生)하는 초년도(初年度)를 판단(判斷)하기 위하여는 사선계열(斜線系列)이 가장 유용(有用)할 것으로 고찰(考察)되었다.

  • PDF

강원도 중왕산 지역의 지형 및 토양요인에 따른 고로쇠나무의 분포와 생장 특성 (Distribu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Acer pictum var. mono in Relation to Topography and Soil in Mt. Joongwang, Gangwon Province)

  • 엄태원;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00-207
    • /
    • 2006
  • 본 연구는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 천연 활엽수림내에 분포하고 있는 고로쇠나무의 입지 및 생장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 지역에 분포하는 고로쇠나무림의 지형적 특성은 고도 $1,000{\sim}1,200m$, 평균경사 $24^{\circ}$, 북동에서 북서방향의 사면에서 우점하고 있다. 고로쇠나무가 우점하고 있는 지역의 토양특성은 A층 토양깊이가 평균 22cm로 갚고, 수분함량은 36.9%로 높으며, 양료가 비옥한 지역이었다. 또한 고로쇠나무와 함께 상층 임관을 구성하는 주요수종은 거제수나무, 복장나무, 신갈나무, 층층나무이었으며, 고로쇠나무림내 하층 초본류는 벌깨덩굴, 오리방풀, 노루오줌, 관중, 단풍취 등이었다. 고로쇠나무의 생장분석결과 고로쇠나무의 수고생장량은, 초기에는 최대 0.25m까지의 생장을보였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여 연간 0.1m이하의 생장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직경생장은 초기에는 연간 1mm이하의 생장을 보이다 45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최대 0.3mm의 생장을 보였으며, 최근에도 2mm정도의 생장을 유지하고 있다. 재적은 수령 120년경에 상당한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증가세를 수령 200년까지도 유지하고 있어 목재부후가 없을 경우 벌기령이 매우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