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Analysis on the exit strategy of ODA for sustainability: a case study from the Greenbelt Plantation Project of Mongolia

  • Kim, Ki Hyun;Kim, Se Bin
    • 농업과학연구
    • /
    • 제47권3호
    • /
    • pp.425-435
    • /
    • 2020
  •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jects are conducted under the auspices of donor countries and on the principle of time-limited implementation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welfare improvement in a host country. Exit strategies on how to end official assistance are therefore crucial. Sudden economic recession in a donor country could lead to the suspension of ODA projects, which would affect diplomatic relations and project outcomes. Further, exit strategies can help continue the original project and create links with other ODA projects. This study shows how to employ exit strategies in the Korea-Mongolia Greenbelt Plantation Project and has implications for sustainability of development assistance. Exist strategies were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initially. In the course of implementation and management transfer upon the completion of plantation, various facets were considered later on in developing exit strategies. An ideal exit strategy is to reach the extent to which a host country no longer needs official assistance or has capacity of project implementation on its own. A year-by-year transfer of planted areas can be a phase-over strategy. The Korea Forest Service fulfilled transparent cooperation with Mongolian local governments, established appropriate arrangements with stakeholders, secured institutional and financial foundation for follow-up management by a host country, and realized predictability, responsibility, and sustainability. As a local institution, the plantation technology management center has been established for follow-up activitie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agro-forestry. When the Korea Forest Service designed an urban forest project as an exit strategy, sustainability was ensured, which has implications in implementing other ODA projects.

Green ODA 요건에 따른 산림 분야 공적개발원조 대상국 탐색 (Exploring Countries Eligible for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Towards Global Forest Conservation Focusing on Green ODA Criteria)

  • 장은경;최가영;문주연;전철현;최은호;최형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2호
    • /
    • pp.330-344
    • /
    • 2022
  • 전 세계 산림 면적이 여전히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산림을 포함한 육상생태계의 보전은 지구 공동체가 함께 달성해야 할 지속가능발전목표 중 하나로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공적개발원조 사업의 대상국은 전통적으로 국가이익을 고려하여 결정되었으나 최근 글로벌 규범인 지속가능발전목표가 국내의 공적개발원조 전략에 내재화됨에 따라 산림 부문 ODA 대상국 탐색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 파괴가 심한 개도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 대응, 생물다양성 보전, 사막화 방지 측면에서 국가의 경제·사회·환경 부문의 이행 준비 및 필요성을 분석하여 '그린 ODA'에 충족될 수 있는 협력 대상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산림 협력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진 아시아 국가에서 나아가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 국가로 산림 협력의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량·에너지·수자원·산불 등 산림 전용요인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하여 녹색기술과의 융·복합을 추진하고 사업 활동과 재원, 참여자의 다각화를 통해 산림분야 양자 ODA를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산림 부문 양자 협력 대상국 범위를 확대하는데 있어 산림 파괴가 진행 중인 전 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장기적인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한국의 산림 분야별 평가와 이에 기초한 산림 공적개발원조 발전 방안 (A Strategy for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in Forest Sector based on Evaluation by Field in Korea)

  • 유병일;윤보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646-65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산림부문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이해관계자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 임업발전에 기여한 분야와 분야별 국제경쟁력에 대한 평가를 통해 우리나라 산림부문 공적개발원조현주소를 파악하고 향후 우선 중점분야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해 한국 산림ODA의 확산 및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인과 전문가 2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분석을 위해 교차분석의 카이검정,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과 Duncan 사후검정을 실시하여 집단 간 인식차이를 비교하였다. 조사결과 한국 산림 및 임업발전 기여도와 산림ODA 사업 시 국제경쟁력에 대해 조사대상자 전체적으로 '산림보존 및 산림황폐지 복구' 영역을 가장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문가 집단 중 ODA 전문가 집단은 '산림정책 및 제도 연구 역량강화' 영역의 국제경쟁력을 산림전문가 집단에 비해 높이 평가하는 특징을 보였다. 그리고 한국 산림 ODA 우선 중점분야에 대하여 일반인은 '탄소배출권 관리'와 '산림 종 다양성 보전'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산림황폐지 복구 등과 같은 기존의 단위사업을 선호하는 전문가 집단과는 큰 인식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효과적인 산림ODA 실행을 위해서는 과거 한국의 산림복구녹화경험을 기초로 하고 국제사회에서 새롭게 요구하는 기후변화대응, 생물다양성 보존 등의 신 분야에 대처할 수 있는 산림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이해집단 간 인식차이를 완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우선될 필요가 있다. 이는 향후 북한 산림 복구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Evaluation of a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ject: Focus on a forest recreation and eco-tourism site in Indonesia

  • Choi, Jaeyong;Lee, Sang-Hyuk;Hwang, Byeol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2호
    • /
    • pp.221-227
    • /
    • 2017
  • This study is the evaluation of the 'Tunak forest recreation and ecotourism development project' which will be completed in 2018 with sole source of funding from Korea. A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status of the project being carried out in Lombok island, Indonesia, through the evaluation principles and criteria of the OECD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 Survey participants were stakeholders of th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ject and local residents. Overall, the respondents had a good impression of this ODA project and expected they w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ir community and region. However, respondents were not well aware of the ODA project being carried out in the Tunak region and thus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help the local residents understand the positive outcome of the project and to promote the ongoing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Indonesia in the forestry sector.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ojects have been effectively carried out and the impact of the project was well perceived by the recipient country. In addition, this positive perception of Korea is expected to help recreation and ecotourism business progress in the region. Therefore, we believe that the project should continue to be carried-out in the future and we expect that related companies will be able to operate on its own eventually. As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 outcome of an ongoing project precisely, this study should be conducted again after the project completion and the results can be compared to the present results so that the effectiveness of ODA project can be more accurately determined.

국내 임업분야 공적개발원조(ODA)사업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의 연관성 분석 (Analysis of Linkage betwee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of Forestry Sector and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in South Korea)

  • 김나희;문주연;송철호;허성봉;손요환;이우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1호
    • /
    • pp.96-10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림부문의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사업과 국제연합(United Nations;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SDGs 달성 측면에서 ODA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우선 한국수출입은행 대외경제협력기금(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EDCF) 통계조회시스템에서 국내 임업분야 ODA사업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산림부문 ODA사업은 임업 개발 분야와 임업 정책 및 행정관리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두 분야에서도 산림청과 한국국제협력단(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에서 가장 많은 사업을 시행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선정된 국내 임업분야 ODA사업의 각 사업별 목표와 내용을 바탕으로 기존 산림부문 ODA사업 항목인 기술개발, 역량강화, 인프라 구축, 조림으로 항목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항목별 ODA 활동내용과 SDGs에서 강조하는 국가별 이행평가를 위해 국내에서 활용 가능한 산림부문 목표 및 성과지표를 포함하고 있는 2016년 산림청 성과관리 기본계획 성과지표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2016년 산림청 성과관리 기본계획 성과지표와 이와 연관되는 SDGs 세부목표 및 지표를 파악하였으며, 최종적으로 SDGs 목표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국내 임업분야 ODA사업은 SDGs 목표 1(빈곤퇴치), 목표 2(기아해소), 목표 6(물과 위생), 목표 13(기후변화 대응), 목표 15(육상생태계), 목표 17(파트너십)과 연관되었다. 본 연구는 SDGs가 출범함에 따라 국내 임업분야 ODA사업을 검토하고, 이를 2016년 산림청 성과관리 기본계획과 SDGs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국내 산림부분 ODA사업의 한계점 파악과 SDGs 이행을 위한 제언을 했음에 그 의의가 있다.

타지키스탄 대상 산림 부문 공적개발원조 (ODA) 사업의 추진 전략과 방안 (Strategies and Plans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for Tajikistan in the Forest Sector)

  • 안지애;장한나;김주섭;한승현;손요환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63-271
    • /
    • 2018
  • Considering the high needs of recipient countries and the regional biases of Korea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olicy, increases in the total amount of ODA and allocation to the forest sector are needed for Central Asia. In Tajikistan, illegal harvesting and grazing cause a gradual decrease in forest area. The Tajikistan government conserves forests by request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establishing a policy for sustainable management of forest resources and prevention of further damages. To suggest suitable strategies and plans, the current statuses of forests and forestry were investigated, and ODA projects that can illustrate successful Korean experiences of forestation were conceived based on various geographical features and local conditions of Tajikistan in this study. Forest resource creation type projects (fuelwood and Tugai forest restoration) could result in energy independence and enhancement of ecosystem service such as a climate regulation and an increase in biodiversity. Community development type projects (introduction of ecotourism, agroforestry, and planting of fruit trees) can contribute to job creation and encourag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thus improving their incomes. In addition, establishment of a project foundation, including education, training, and a national forest inventory, would help those projects be sustainable in the long-term.

키르기스스탄과 타지키스탄의 산림분야 개발수요와 한국의 협력 전략 (Demands for Forest Development in Kyrgyzstan and Tajikistan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Strategies of Rep. of Korea)

  • 최은호;임수정;박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3호
    • /
    • pp.294-304
    • /
    • 2018
  • 대한민국은 2010년 OECD 개발원조위원회(DAC,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공식 회원국으로 가입한 이래 국제적 위상을 고취하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2017년은 한 중앙아 외교관계를 수립한 지 25주년이며 고려인의 중앙아 이주 80주년을 맞이하는 시점으로 새로운 협력의 시대를 열어갈 출발선 상에 있다. 역내 부존자원을 바탕으로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루고 있는 중앙아시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만큼 산림분야 개발수요가 큰 키르기스스탄과 타지키스탄을 대상으로 정치 외교 경제현황, 공적개발원조(ODA) 현황 및 국가발전전략을 조사하고 특히, 산림현황, 산림제도 및 정책을 분석하여 산림부문 한국의 대(對) 키르기스스탄 및 타지키스탄 국가협력전략(CPSF,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for Forestry)을 제시하였다. 산림부분 협력 전략으로 키르기스스탄은 '호두나무 천연림을 활용한 생태관광사업', 타지키스탄은 '훼손된 투가이(tugai) 지역의 산림복구 및 연료재 확보 사업'을 제안한다.

한국 임업부문 공적개발원조의 방향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Korea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in forestry)

  • 윤준영;박관수;김세빈;이준우;성용주;이상진;박범환;장관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40권1호
    • /
    • pp.19-26
    • /
    • 2013
  • Official Delvelopment Assistance(ODA) in forestry sector has been implemented for about 60 years after the second world war. Forestry aid is getting important due to its role to play as a practical methodology of Millenium Development Goals(MDGs). Korea has conducted ODA in forestry in 22 developing countries since 2005. However its contents are mostly focused on environment conservation by plantation. In the other hands, the other donor countries try to eradicate poverty of people who are dependent on forestry,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etc in MDGs by means of ODA in forestry. Swiss, Germany, Japan, UK, and the other donor counties found out without taking account of forest dependent people who are supposed to manage 22% of developing countries's forest, forestry aid could not be successful. The direction of Korean ODA in forestry need to change in order to meet the current movement of International ODA. For this, Korea should develop various contents of forestry aids like CF (Community Forestry) project which the donor countries with long history of forestry aids have implemented in many ways.

이해관계자와 이용객 설문 조사를 통한 국내 ODA 산림협력사업 평가 연구 - 인도네시아 룸핀양묘장 사업을 대상으로 - (Evaluation of the ODA Forest Cooperation Projects in Korea through Stakeholder and Visitor Survey - A Case Study of the Rumpin Seed Source and Nursery Center Projects in Indonesia -)

  • 이현정;김휘문;김경태;김영;최재용;송원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37
    • /
    • 2021
  • It is essential that the evaluation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jects is conducted based on empirical research for the performance and improvement of the project. This study intended to quantitatively figure out the actual status and performance of ODA projects. The performance of the Rumpin Seed Source and Nursery Center project implemented by the KOICA was evaluated in items of relevance, efficiency, effectiveness, impact, sustainability, which are OECD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DAC) evaluation criteria. From August 26, 2019 to August 29, 2019, a survey was conducted on 50 visitors and 54 stakeholders of the Rumpin Seed Source and Nursery Center. Through on-site survey, problems in the donation project and operation in Indonesia were identified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was grasp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value scored by OECD DAC evaluation criteria of the Rumpin Seed Source and Nursery Center project based on the 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EDCF) evaluation grade was evaluated as a very successful class in all items. The average score of the recognition question was 4.08 points for visitors and 4.08 points for stakeholders, and the average score for the satisfaction question was 4.37 points for visitors and 4.11 points for stakeholders, which were high overall in both groups. The main factor that affects the project awareness of the visitors was the fact that the Rumpin Seed Source and Nursery Center was created based on Korean technology, and it was confirmed that Indonesia's own items related to similar project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project satisfaction. In the case of stakeholders, project support in Korea affected their recognition, and it was found that relevance, efficiency, effectiveness items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level of project satisfaction of stakeholders derived from the DAC individual evaluation results. Efforts are required to increase the main factors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each item and to preserve and maintain the projec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determining the performance of the ODA project based on empirical data, and it is believ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upplementing and strengthening the project in the future.

삼각협력을 활용한 중앙아시아 산림부문 협력 전략 (Cooperation Strategies Using Triangular Cooperation for Central Asia in the Forest Sector)

  • 최은호;임수정;김은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2호
    • /
    • pp.223-230
    • /
    • 2020
  • 우리나라의 ODA 사업 규모 확대와 다변화 전략에 따라 성장잠재력이 매우 큰 중앙아시아가 주목받고 있다. 또한 산림분야의 경우 우리나라의 성공적인 녹화경험에 관심을 표하며 협력을 요청하고 있다. 특히 중앙아시아가 직면한 환경이슈인 아랄해 고갈과 광범위한 황폐화의 해결은 지역협력이 전제되어야 하며 다자협력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기존 양자협력의 한계, 특히 남남협력의 한계를 신흥 공여국이나 다자협력기구가 참여하여 보완하면서 삼각협력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데, 삼각협력의 기본 개념을 적용하는 데 있어 중앙아시아는 매우 적합한 것으로 연구되었다. 우리나라는 신흥공여국인 카자흐스탄, 제2차 중점협력국인 우즈베키스탄과의 우호적인 파트너십을 활용하여 이들 국가와 함께 상호보완적인 지역협력이 가능하다. 기본적인 삼각협력의 개념을 재해석하여 중앙아시아 지역의 지역협력 전략을 다음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주민 정주권 보장을 위한 피복 및 방풍림 조성사업, 둘째, 주민소득 증진사업, 마지막으로 아랄해 황폐지 확대 방지를 위한 협력 사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