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map

검색결과 773건 처리시간 0.02초

기후변화를 고려한 잣나무의 미래 적지적수 변화 예측 (Anticipation of the Future Suitable Cultivation Areas for Korean Pines in Korean Peninsula with Climate Change)

  • 최재용;이상훈;이상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3-113
    • /
    • 2015
  • Korean pines(Pinus koraiensis) are one of the major plantation species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ir natural habitats range from Japan and China to Siberia. The seed of Korean pines, pine nuts, are well know for good food reserves. Due to the global changes which drive the Korean peninsula into the semi-tropical climate, current plantations and natural habitats of Korean pines are faced with the change in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to some extent. To anticipate suitable sites for Korean pines in the future, the location of Korean pines were extracted from the 'Map of suitable trees on a site' that provides the map of suitable trees on a site considering tree species for timber and special uses, and then MaxEnt modelling was used for generating a prediction map on the basis of statistical analysis. As a result, the order of predicted suitable sites were Kangwon-do, Kyungsangbuk-do and Chungcheongbuk-do provinces and sites with high elevation within those provinces were considered most suitable in common. The prediction map of suitable sites for Korean pines presented that suitable sites in the future decreased by 72.2% by 2050's and almost disappeared with a decrease of 92.1% by 2070's on a nationwide scale. In relation to the major production regions of pine nuts in South Korea - Gapyung gun and Yangpyung gun, Kyunggi province and Hongcheon gun, Kangwon province, suitable sites within their areas were predicted to increase by 2050's but become extinct in South Korea by 2070's. To establish a long-term countermeasures against the improvement on forest productivity quality in terms of managing national food security, the result from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s a firm basis of predicting plantation suitability. Also, it can be used to predict the changes in supply of forest products and thereby market values in accordance with climate change scenarios.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 판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Decision for Landslide Hazard Areas by Using GIS)

  • 추태호;윤현철;배창연;손희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310-5317
    • /
    • 2014
  • 본 우리나라는 산지가 많고 하절기에 연 강수량의 약 2/3정도가 집중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매년 산사태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재산 및 인명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산사태 발생지를 예측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사태 위험 판정을 평가하기 위해서 수치지형도, 수치임상도, 수치입지도, 수치지질도를 활용하여 산사태 위험지역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제시한 산사태 위험지 판정표를 기준으로 GIS 기법을 활용해 연구지역의 산사태 위험지를 판정을 1차와 2차에 걸쳐 분석하였으며, 현장조사를 통해 최종 위험지를 판정하였다.

변산반도국립공원의 식생분포 및 녹지자연도 사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stribution of Vegetation and Assessment of Green Naturality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 오구균;김영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1-168
    • /
    • 2009
  • 변산반도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식생분포 실태를 파악하고 현존식생도 조사방법 및 작도 기준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과거 국립공원의 식생조사문헌을 검토하고 현존식생 조사 및 작도기준안을 마련하여, 변산반도국립공원의 식생분포조사를 실시하였다. 변산반도국립공원의 현존식생은 총 8개 식물군락과 기타지역으로 구분되었으며, 2차림인 자연림은 소나무군락, 낙엽활엽수림, 굴참나무군락, 침엽수-활엽수혼효림 4개 식생군락으로, 조림지는 리기다소나무림, 곰솔림, 리기테다소나무림, 리기다소나무-곰솔림 4개 수림으로 구분되었다. 변산반도국립공원의 녹지자연도는 7등급 지역이 약 69.1%로 가장 넓었고, 9등급 지역은 0.36%로 매우 희소하였다. 국립공원의 체계적인 식생조사 및 관리를 위해서는 식생조사방법 및 작도 기준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GIS를 이용한 산불 정보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Forest Fir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GIS)

  • 조명희;오정수;이시영;조윤원;백승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41-5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하여 산불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효과적인 산불 현황정보 검색시스템을 개발하여 산불 관리자에게 효율적인 공간분석 도구를 제공함으로서 산불에 관한 종합적인 공간정보를 빠른 시간 내에 분석하여 속성을 갱신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적인 산불정보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근 10년간의 산불 현황통계자료를 이용한 전국 시 군 단위의 공간분포도를 작성하여 전국 산불 발생현황을 시 공간적으로 분석하고 산불 발생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과의 상관성 분석이 가능하였다. 특히 최근 산불 발생이 빈번한 삼척시의 지형도 및 임상도, 위성영상, 현지사진을 이용하여 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산불 발생위험지역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시스템은 응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플랫폼은 IBM호환 PC에서 Windows 98을 운영체제로 하여 DBMS는 Access 2000을 이용하였고 프로그래밍 언어로는 객체지향언어인 Visual Basic 6.0과 GIS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Component GIS인 MapObjects 2.0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산불 관리자는 진화에 필요한 관리구역내의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받을 뿐만 아니라 산불 방제사업에 대한 효과적인 의사결정지원과 함께 실무자 중심의 산불관리행정을 도모하고 산림자원 관리비가 효율적으로 이용될 것이다.

  • PDF

수치임도망도 제작방법 및 정확도 비교 (Comparison of Methodology and Accuracy of Digital Mapping of Forest Roads)

  • 김태근;윤정숙;우충식;이규성;홍창희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3권3호
    • /
    • pp.195-209
    • /
    • 2005
  • 임도는 산림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주요 기간 시설물로서, 임업 시업측면뿐만 아니라 휴양, 산림재해, 산촌경제 등의 다양한 목적에 반드시 필요한 시설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1980년대 이래 효율적 산림자원 관리를 위한 국가적 사업으로 임도개설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으나, 저예산의 사업특성에 따라 정확한 임도 위치를 나타내는 임도망도가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다. 산림지리정보체계 사업의 중요 주제도로서 수치 임도망도의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존 임도망의 위치를 정확히 보여줄 수 있는 수치임도망도의 제작 및 갱신 방법에 따른 수치지도의 정확도와 제작과정의 효율성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국공유림과 민유림에 다양한 임도가 분포하고 있는 충남 오서산 지역의 35km 임도를 대상으로 GPS 측량, 위성영상, 정사항공사진, 수치항공사진 도화 등 네 가지 방법으로 수치 임도망도를 제작 비교하였다. 벡터지도의 정확도는 수치사진측량시스템으로 도화된 임도망도가 GPS를 이용한 실측 임도망과 가장 일치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은 다른 방법에 비하여 가장 길게 나타났다.

  • PDF

GIS를 기반으로 한 산림바이오에너지의 공급 및 수요 잠재지도 작성 (A GIS-based Supply and Demand Potential Mapping of Forestry-biomass Energy)

  • 이정수;이후철;서환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3호
    • /
    • pp.311-318
    • /
    • 2009
  •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하여 산림 바이오 에너지에 대한 공급 및 수요의 잠재량을 파악하고, 잠재지도 제작을 목적으로 하였다. 산림이 많고, 지리적으로 같은 위치에 해당하는 강원도 영동 지방 4개 시군(고성군, 양양군, 강릉시, 삼척시)을 연구 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수치 임상도의 임상과 영급정보, 통계연보의 가구수 정보를 GIS 자료 형태로 전환한 후 산림 바이오에너지의 잠재된 공급량과 수요량을 파악하였다. 숲가꾸기사업 계획을 기초로 가구수를 고려한 수요대비 잠재적 공급가능량은 약 3,144 Tcal로써, 시군단위에 상관없이 초과공급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강원도의 평균 수집률인 10%를 고려하면, 시의 경우 6%, 군은 15% 공급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집률 변화에 따른 공급가능성을 비교한 결과, 60% 이상인 경우, 초과공급이 가능한 지역이 발생하였다.

임야지역 지적재조사를 위한 KLIS 데이터의 활용 가능성 연구 (Study in the Applicability of KLIS Data for the Cadastral Re-Surveying in the Forest Area)

  • 최한영;홍성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3-30
    • /
    • 2006
  • 임야지역은 지역적 특성상 토탈스테이션, RTK-GPS 측량 등의 지상측량 방법으로는 지적재조사 측량에 한계성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 지적재조사 측량 방법들로 제안되고 있는 방식과는 다른 새로운 방법들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야지역을 효율적으로 재조사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현재 KLIS에서 이용되고 있는 임야도 전산파일의 이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가장 중요한 면적오차는 대체적으로 오차범위 이내의 성과를 보였다. 따라서 위치경계선 조정을 위한 현황 참조 데이터와 KLIS 데이터를 연계하여 이용한다면 향후 지적재조사시에 충분한 활용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mprovement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ECVAM) of National Land in Korea

  • Lee, Moung-Jin;Jeon, Seong-Woo;Won, Joong-Sun;Song, Won-Kyong;Kang, Byung-Ji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7
    • /
    • pp.456-459
    • /
    • 2007
  •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improving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ECVAM) of National Land in Korea. The ECVAM items are composed of legal assessment and environmental/ecological assessment. An assessment method applied to ECVAM is basically an overlay method for environmental/ecological assessment it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complement items of the ECVAM by examining assessment items. For this, our study was preceded as follows;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ECVAM by 4 kinds of method. Method I is Comparing overlapping areas of each assessment items Grade 1, 2 and Permission of each assessment items'duplication, Method 2 is Grade 1, 2 areas by only singular assessment items, Method 3 is Only Grade 1 areas of Method 2 and Method 4 is Only Grade 2 areas of Method 2. As results, Method1 showed 93.4% of diameter Grade II(standard for stability), forest diameter item was accounted for 99.9% by Method 2, Method 3 showed 95.7% of forest diameter and forest density was accounted for 66.4% by Method 4. From now 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reduce the complexity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ECVAM of National Land, and to raise the pliability in the process of managing and updating this map.

  • PDF

Spatial Modeling of Erosion Prone Areas Using GIS -Focused on the Moyar Sub-Watershed of Western Ghats, India-

  • Malini, Ponnusamy;Park, Ki-Youn;Yoo, Hwan-Hee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59-64
    • /
    • 2008
  • 토양침식은 산악지역에서 산림조성에 중요한 문제를 일으키며 비옥한 토양을 침식시켜 식생의 성장을 저해시키며 인도에서 수집한 자료와 GIS를 이용하여 인도의 서부산맥 모야유역의 토양침식을 분석하였다. 주제도의 레이어로 산림, 지형경사, 배수 등에 대한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토양침식 지도분석에서 48%의 지역이 중간정도의 침식을 보였다. 또한 35%지역은 높은 침식을 보였으며 가장 높은 침식은 식생지역의 7%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토양침식 분석도는 유역에서의 토양침식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는데 주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靑玉山과 頭陀山의 山林植生 (Forest Vegetation in Mt. Chongok and Mt. Tuta)

  • Pail, Weon-ki;Lee, Woo-Tchul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4호
    • /
    • pp.443-452
    • /
    • 1994
  •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forest vegetation was carried out in Mt. Chongok and Mt. Tuta from June, 1992 to August, 1993.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 order, 2 alliances, 1 suballiance and 4 communities; Vaccinium hirtum v. koreanum-Quercus monogolica community, Carex humilis v. nana-Pinus densiflora community, Sasa borealis-Carapinus laxiflora community, Plectranthus inflexus-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ctual vegetation map was drawn in 1:25,000 sca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