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management operation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7초

공군 수송기(C-130)를 활용한 대형산불 재난 대응 시 사후관리(CM) 발전방안 (Development Plan for the Consequence Management in Response to Large-Scale Wildfire Disasters Using Air Force Transport Aircraft (C-130))

  • 김상덕;김민기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232-243
    • /
    • 2024
  • 연구목적: 최근 기후변화, 자연재해, 그리고 인적 요인에 의한 대형 산불이 동해안 및 태백산맥 지역에서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현재 헬리콥터를 활용한 산불 진화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형 산불에 대응하기 위한 초기 진화의 중요성과 양간 산불 진화의 어려움으로 인해 공군 수송기의 도입 필요성이 지속해서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는 공군 수송기를 활용한 산불 진화 임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여러 측면 - 작전 목적의 달성, 운용 환경 극복, 대기 장소 선정 및 효율적 운용 방안 - 에 대한 사후 관리체계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산불진화 관련 문헌연구와 고정익항공기를 활용한 산불진화 실험 및 산불진화 헬기의 운용실태 및 운용방법을 기초로 헬기운용 시 장단점 및 대형수송기(C-130)를 활용한 대형산불진화시 효과분석을 통해 운용의 효과성을 분석한다. 연구결과: 대형산불 진화 시 헬기와 고정익항공기(C-130)를 통합 운용시 효과적인 운용, 통제, 지휘체계, 출동요청 및 산불진화 등 효과적인 CM(Consequence Management) 적용방안을 도출하였다. 결론: CM(Consequence Management)의 개념 적용은 우리나라에서 일부 화생방(CBRNE) 방호 분야에 일부 적용되고 있으나 산불진화에 있어서 헬기와 대형항공기(C-130)의 통합운용 시 효율적인 운용, 통제, 지휘체계 정립, 안전관리, 출동요청 및 산불진화 등을 위해 선진국에서 운용되고 있는 CM(Consequence Management)의 개념을 적용하여 진일보 발전된 재해, 재난 사후관리체계를 정립하는 데 기여하도록 하였다.

숲가꾸기 산물에 의한 크라프트 펄프의 적성 연구 (Kraft Pulp Properties Made of Forest Bioamss from Forest Management Operation)

  • 박현진;김철환;안병일;이지영;;;곽혜정;김성호;김경철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31-138
    • /
    • 2011
  • Currently, many forest residues have been generated by the National Forest Management Operation. Unfortunately, most of the forest residues are supposed to be used as raw materials for burning fuels like wood pellets. Even though the forest biomass must be effectively used for making high value-added products, they may be subject to disposable raw materials for wood pellets. Wood pellets are regarded as burning fuels with less contribution to the decrease in carbon gas emission, compared to raw materials for kraft pulps. In this study, we studied whether or not forest biomass mixed with various ages and, species could be used as raw materials for kraft pulps.

  • PDF

숲가꾸기 산물의 최적용도 개발을 위한 연구 (제1보) - 단일 수종으로 제조된 크라프트 펄프의 특성 연구 - (Optimum Use of Forest Biomass Generated from the National Forest Management Operation (Part 1) - Study of Characteristics of Kraft Pulps Made from Single Wood Species -)

  • 박현진;김철환;이지영;이경선;이지영;;심성웅;임수진;이영민;안병일
    • 펄프종이기술
    • /
    • 제44권5호
    • /
    • pp.63-71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ulping properties of the forest biomass arising from the national forest management operation. The forest biomass was collected and classified into many groups according to their species and age. After the chips were made from the forest biomass, the measurement of chip size and chemical analysis were performed. To make the pulps from the forest biomass, the kraft pulping was applied and thereafter the phys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kraft pulps were measured. The pulp fibers from the forest biomass had the similar mean fiber length, but their properties became different according to wood species and ages. Differently from the other species, kraft pulps from chestnut wood had the highest kappa number. Acacia, paulownia and chestnut woods made kraft pulps with lower tensile strength and brightness than the others. It could be concluded that acacia, paulownia and chestnut woods must be screened out in order to make a good quality of kraft pulps while being collected during Forest Management Operation.

임도 시설에 따른 접근성 개선 및 산림작업비용 절감효과(I) - 조림 및 숲가꾸기 작업을 중심으로 - (Effect of Forest Road Network on Accessibility and Cost Reduction for Forest Operations (I) - Silvicultural Operations -)

  • 황진성;지병윤;정도현;조민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615-621
    • /
    • 2015
  • 본 연구는 산림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5개 지방청 8개 경영계획구를 대상으로 조림 및 숲가꾸기 작업에서 임도시설 전 후의 접근성과 산림작업비용의 절감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임도 및 공도로부터 500 m 이내의 사업실행 면적이 임도 시설 전 평균 28.5%에서 임도 시설 후 평균 90.3%로 약 3.2배 증가하였으며, 임도 시설에 따른 조림 및 숲가꾸기 작업에서의 산림작업비용 절감효과는 평균 576천원/km/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도시설이 원활한 산림작업을 위한 접근성 개선 및 작업비용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도의 시설효과 분석을 통해 임도 확충 정책의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Harvesting Cost and Productive of Tree-Length Thinning in a Pinus densiflora Stand Using the Tower Yarder (HAM300)

  • Cho, Minjae;Cho, Koohyun;Jeong, Eungjin;Lee, Jun;Choi, Byoungkoo;Han, Sangkyun;Cha, Dusong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2호
    • /
    • pp.189-195
    • /
    • 2016
  • Logging equipment and method have a major influence on harvesting productivity and co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ductivity and operational costs of tree-length cable yarding system using HAM300, a domestically developed tower yarder. We tested HAM300 for thinning operation in Pinus densiflora stands at Gangreung, Gangwon-do on April, 2014. To assess the productivity we conducted time study for each stage of the operation. When the average time/cycle was examined for each stage of the operation, the longest was for yarding (241 sec), followed by delimbing (237 sec), felling (153 sec), and processing (103 sec). Furthermore, productivity for felling was $8.6m^3/hr$, followed by delimbing ($5.1m^3/hr$), yarding ($3.5m^3/hr$), and processing ($8.1m^3/hr$). The total cost for the tree-length logging system was $58,446won/m^3$, of which the majority was incurred by the yarding cost at $46,217won/m^3$ (79.3%), whereas the lowest cost was for felling at $2,359won/m^3$ (4.1%). We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foster specialized operators and provide training in operating the tower yarder thereby implementing efficient harvesting system resulting from low-cost yarding.

타워야더+프로세서 기반의 작업시스템에서 단공정 및 다공정작업의 생산성 및 비용분석 (Comparison of the Timber Harvesting Productivity and Cost of Single-operation using a Forestry Combi-machine Versus Multi-operation using a Tower-yarder and Processor)

  • 조민재;최윤성;문호성;오재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4호
    • /
    • pp.583-593
    • /
    • 2022
  • 우리나라의 임목수확작업은 작업자의 고령화 및 고임금의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위기 개선을 위해 작업체계 개선 및 고성능 임업기계를 이용한 안정성 확보 등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사 35% 이상의 지역에서 타워야더와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한 목재수확시스템을 적용할 때 다공정작업과 단공정작업의 생산성을 비교하며, 작업시스템의 비용절감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국립산림과학원 광릉시험림 15임반 모두베기 지역을 대상으로 전목(가선)집재작업을 실시하였으며, 다공정과 단공정시스템의 생산성 및 비용을 분석하였다. 다목적집재장비를 이용한 단공정시스템은 타워야더와 프로세서를 이용한 다공정시스템에 비해 cycle당 집재본수가 1본/cycle 더 많아 집재작업 생산성은 약 1.5 m3/PMH (Productive Machine Hour; PMH)이, 조재작업은 약 1.6 m3/PMH이 더 높게 산출되었다. 다목적집재장비를 이용한 단공정(36,113원/m3)시스템은 다공정작업(41,065원/m3)시스템 보다 약 12.1%의 비용이 절감되었다. 또한 유휴시간(Idle time) 감소에 따라 단공정 및 다공정시스템 비용은 각각 최대 22.6%와 15.9%가 절감되었다.

숲가꾸기 산물의 최적용도 개발을 위한 연구 (제2보) - 산물의 혼합을 통한 크라프트 펄프화 적성 연구 - (Study for Optimum Use of Forest Biomass Generated from the National Forest Management Operation (Part 2) - Fitness of Mixed Wood Species as Raw Materials for Kraft Pulp -)

  • 이지영;김철환;박현진;김성호;김경철;;조후승;심성웅;이영민;안병일
    • 펄프종이기술
    • /
    • 제44권6호
    • /
    • pp.1-8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plore optimum use of the products generated from the National Forest Management Operation (NFMO) as raw materials for kraft pulp. First of all, different wood species from NFMO were randomly mixed, and then they were used to make kraft pulp under the specified condition. All kraft pulps made from the mixed species displayed equal physical properties to those from foreign wood chips used in Moorim P&P Co. Ltd. For optical properties, most of the unbleached pulps had high brightness but the pulp made from wood species containing chestnut tree showed the lowest brightness due to its high kappa number. Finally, the products from NFMO had little negative effects on the properties of kraft pulps. This means that they could be used as complementary raw materials for kraft pulps with foreign wood chips.

소나무와 일본잎갈나무 조림지 관리를 위한 어린나무가꾸기의 작업 자세 위험도 분석 (Postural Risk Assessment of Young Tree Tending Operations in for Managing Pinus Densiflora and Larix Kaempferi Plantations)

  • 이은재;이상태;한상균;조구현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271-281
    • /
    • 2021
  • Pinus densiflora and Larix kaempferi forests not only extended the plantation management area but also cultivated to the sustainable wood supply chain during the last 5-years. These prescriptions are primarily done by manual operation activities, particularly in young tree tending. Two types of tending activities, brashing by brush cutter(BB) and pruning by pruning shear and saw(PP), were selected for the investigat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level and postural risks using Ovako Working Posture Analysis System (OWAS). The postural risk indexes (BB and PP) ranged from 115 to 125 and 102 to 105, respectivel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pecies. The young tree tending operations had low postural risks. The results may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technical guideline for safe young trees.

산림바이오매스의 크라프트 펄프화를 위한 펄프 적성 연구 (Study of Kraft Pulp Properties for Kraft Pulping from Forest Biomass)

  • 박현진;김철환;이지영;;김성호;김경철;심성웅;조후승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3-149
    • /
    • 2011
  • In recent, many forest residues have been generated by the National Forest Management Operation. Unfortunately, most of the forest residues are supposed to be used as raw materials for burning fuels like wood pelle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or not this forest biomass mixed in various ages and species could be used as raw materials for making kraft pulps in a view of optical properties.

  • PDF

벌도 및 가지제거작업에서 세 가지 인간공학적 위험 평가기법의 비교분석 (Comparison of Three Ergonomic Risk Assessment Methods (OWAS, RULA, and REB A) in Felling and Delimbing Operations)

  • 조민재;정응진;오재헌;한상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2호
    • /
    • pp.210-216
    • /
    • 2021
  • 우리나라 모든 산업에서 근골격계질환은 작업자들의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산림작업은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근골격계 부담작업으로 분류된다. 특히 벌도 및 가지제거작업은 주로 인력작업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작업원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작업자세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인톱을 이용한 벌도 및 가지제거작업의 작업자를 대상으로 세가지 인간공학적 분석 도구(OWAS, RULA, REBA)를 이용하여 위험도를 평가하고, 평가기법별 작업자세에 대한 영향인자를 분석하였다. 벌도와 가지제거작업자세의 위험도는 RULA, OWAS, REBA 순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대부분 2-3단계로 작업자세의 즉각 변경조치는 요구되지 않았다. 하지만 벌도작업에서 허리와 다리를 굽힌자세와 가지제거작업에서 벌도목 위에서 작업하는 자세는 위험도가 매우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벌도작업의 경우 산지경사, 가지제거작업의 경우는 지상에서부터 벌도목 높이가 작업위험도 평가에 영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산림작업에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작업부하가 낮은 자세(벌도작업: 쪼그리는 자세, 가지제거작업: 허리와 다리가 곧은 자세)로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