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floor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1초

낙엽송인공림의 간벌강도에 따른 수종 및 임분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 오대산국립공원 지역 - (Change of Tree Species and Stand Structure on the Different Thinning Intensities of Larix kaemferi Plantation -In Odaesan National Park-)

  • 엄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80-589
    • /
    • 2015
  • 1970년대 전국적인 조림정책으로 식재된 낙엽송인공림이 국립공원 내 위치하고 있어 이를 생태적으로 건전하고 종다양성이 풍부한 활엽수림으로 유도하고자 하였다. 이에 오대산국립공원내 월정사지역의 낙엽송림을 대상으로 2009년 밀도별(30%, 50%, 70%) 솎아베기(간벌) 후 2010년부터 2013년까지 활엽수의 천연갱신 양상을 조사하였다. 최근 2012년에서 2013년 사이에 새로이 유입된 흉고직경 2cm 이상의 수목은 없었으며 하층에 상당히 많은 양의 초본이 유입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복자기나무, 층층나무, 국수나무, 고추나무 등의 교목성 치수들과 관목류들이 상당수 유입되고 있었다. 그러나 목본류의 많은 개체들이 초본과의 경쟁에서 도태되어 고사하고 새롭게 발생됨을 반복하고 있다. 30% 벌채구내의 치수의 발생량은 2013년 440개체로 매년 2배가량 증가하고 있다. 50% 벌채지 또한 목본류의 개체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발생 1~2년만에 대부분의 개체들이 초본 및 조릿대와의 경쟁에서 도태되어 고사하고 있다. 70% 벌채지는 타 솎아베기(간벌) 시험구와 달리 2012년의 748개체서 오히려 감소한 608개체의 활엽수가 조사되었다. 이는 임상으로 전광이 유입되면서 조릿대의 번성, 두릅나무의 급격한 증가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초본류는 조릿대의 영향으로 거의 발생되지 않았다. 낙엽송인공림의 천연활엽수림으로 유도시 50%이상의 상층의 솎아베기(간벌) 밀도는 임상으로 전광을 유입시킴으로 조릿대와 초본류가 번성할 것을 고려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적정 밀도를 유지한 산림작업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오대산(五臺山) 전나무림(林)의 숲틈에서 발생(發生)된 전나무 치수(稚樹)들의 공간적(空間的) 유전구조(遺傳構造) (Spatial Genetic Structure of Needle Fir(Abies holophylla Seedlings on the Forest Gap Within a Needle Fir Forest at Mt. Odae in Korea))

  • 홍경낙;최영철;강범용;홍용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4호
    • /
    • pp.565-572
    • /
    • 2001
  • 본 연구는 오대산의 전나무 노령임분(老齡林分)내 숲틈에서 발생된 1~2년생 전나무 치수(416개체)의 공간적 유전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ISSR(inter-simple sequence repeats) 표지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 숲틈의 크기는 $1,500m^2(50m{\times}30m)$로 전나무이외 수종의 상층임관 일부와 중 하층임관이 제거되고, 전나무 성목은 입목고사(立木枯死) 혹은 수세가 불량한 상태이다. 31개의 다형성 ISSR 표지자를 이용한 공간의 자기상관성분석에서는 15.6m이내에 유전적 동질성을 갖으며, 이후 31.2m까지는 임의분포를 나타내었다. 숲틈내 전나무 성목의 평균수고(21.1m), 종자의 산포범위, 성목간 평균거리(23.7m)를 고려할 때, 전나무 치수의 유전적 군락 크기(genetic patch size)는 모수의 분포밀도에 따라서 제한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치수 산포에 대한 방향성 파악을 위하여 유전적 거리를 이용한 다차원척도법의 형상좌표를 '유전적 형상(genetic configuration)'으로 설정하고, 이를 이용한 분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지향성 분산도에서는 동서방향으로 거리의 증가에 따라 치수간 유전적 동질성이 계속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대산 전나무림의 막대한 종자생산량과 조사구내 치수 발생수의 임의분포와 임상(林床)의 균일성을 고려하면, 이러한 전나무 치수의 유전적 방향은 모수간 충실율 차이나 국소환경보다는 종자 산포의 방향성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구조용 직교 집성판 슬래브와 상부 토핑 조건에 따른 바닥충격음 및 공기전달음 평가 (Evaluation of floor impact sound and airborn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of cross laminated timber slabs and their toppings)

  • 이효진;하연수;이상준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572-583
    • /
    • 2023
  •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 2050 실현을 위한 목조 건축물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구조용 직교 집성판(Cross Laminated Timber, CLT)을 이용한 목조 고층 건축물에 대한 기술적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LT의 기초 음향성능을 검토하기 위해, 국내산 낙엽송과 소나무로 CLT 슬래브(두께 150 mm)를 제작해 바닥 충격음 차단 성능과 음향투과손실을 측정했다. 실험은 상하로 연결된 페어 잔향실에서 수행했으며, CLT 슬래브에 콘크리트 토핑(두께 50 mm ~ 210 mm, 6조건)을 추가해 차음성능 개선량을 정량적으로 평가했다. 수종에 따른 바닥충격음 차단 성능의 단일수치 평가량을 비교하면, 낙엽송 CLT가 소나무 CLT보다 중량 바닥충격음에서 3 dB, 경량 바닥충격음에서 1 dB 낮았으나, 상부에 콘크리트 토핑을 추가한 조건에서는 수종 간 차이가 없었다. 상부의 콘크리트 층 두께 상승에 따라 중량 바닥충격음이 9 dB ~ 20 dB, 경량충격음이 20 dB ~ 30 dB 저감했다. 이 관계를 면밀도로 분석한 결과, CLT 슬래브의 바닥충격음 차단 성능은 면밀도와 높은 상관관계(R2 = 0.94 ~ 0.99)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CLT 슬래브의 음향투과손실은 수종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면밀도와 주파수로 산출한 음향투과손실 이론치와 실측치의 주파수 특성은 유사하지만 실측치가 8 dB ~ 12 dB 낮아, 보정치를 이용해 실험 대상인 CLT 슬래브의 음향투과손실과 주파수 특성의 관계를 도출했다.

백로와 왜가리 집단번식이 소나무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oup Breedling of Herons of Pine Community)

  • Mun, Hyeong-Tae;Sam-Rae C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1호
    • /
    • pp.47-53
    • /
    • 1996
  • Effects of group breeding of herons on pine community were studied at Pomaeri, in Yangyang, Kangwon Province, Korea. This site has been protected as a Natural Monument (No. 229) since 1970. Herons have used this habitat as a breeding site from] anuary to October every year. In 1995, more than 500 herons were observed in this habitat. Many big pine trees are dying or already dead due to group inhabitation of herons, and no pine saplings were found at forest floor in this habitat. Nutrient contents of soil in this habitat were much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plot. This must be due to the addition of feces from herons and of thin twigs and other organic materials from the canopy and bird nests. Species composition of herb layer in this habitat was quite different from that in control plot. Breeding site was dominated by Humulus japonicus. Persiearia perJohata, Persicaria thunbergii. and Commelina communis. which are indicator species of soil eutrophication.

  • PDF

植物의 發芽와 生長에 미치는 일본잎갈나무의 알레로패티 效果 (Allelopathic Potentials of Larix leptolepis (S. et Z.) Gorden on Germination and Seeding Growth of Selected Species)

  • Ko, Byung Kook;Bong-Seop Kil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8권1호
    • /
    • pp.15-19
    • /
    • 1985
  • A number of field surveys have been performed in larch (Larix leptolepsis) forest floor in which any seeding of this species never find ther. In laboratory work, aqueous extracts from leaves, roots and stems of larch were provided and used to bioassay. Among them,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selected species were the most inhibitory in leaves extracts. Though germiation percentage of a species showed high compared with control, its dry weight after a given period grown were clearly low. The results due to be considered by allelopathic effect. And syringic acid and p-hydroxybenzoic acid were identified by HPLC from larch leaves. It is assumed that these phenolic acids affect on other species as allelochemicals of larch.

  • PDF

춘천 조양루 목부재의 수종과 연륜연대 분석 (Species Identification and Tree-ring Dating of Wood Elements of Joyangru Pavilion, Chuncheon, Korea)

  • 박서영;김상규;박원규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2-60
    • /
    • 2009
  • Joyangru, which is located in Woodo mountain in Chuncheon, Korea, was a gate tower of Monsogak. There are little historical records about Joyangru except of the 20th-century records. To study about Joyangru history, a dendrochronological analysis was conducted. We identified also the species of woods, We took 87 samples of wood elements for the species analysis and 13 samples for the dendrochronological analysis. We found 78 hard pines(Diploxylon), 4 Douglass-fir, 3 exotic hard pines(Pinus ponderosa type) and 1 Shorea sp.(Dipterocarpaceae). In the dendrochronological analysis, 2 floor flames were dated in 1887 (with complete sapwood) and 2 beams in 1884. We concluded that Joyangru was reconstructed just after 1888, most likely in 1890 together with Monsogak.

  • PDF

The Genus Chlorociboria, Blue-Green Micromycetes in South Korea

  • Liu, Dong;Wang, Huan;Park, Jung Shin;Hur, Jae-Seoun
    • Mycobiology
    • /
    • 제45권2호
    • /
    • pp.57-63
    • /
    • 2017
  • The species of the genus Chlorociboria Seaver are very common on the forest floor, and can be easily distinguished by small and numerous blue-green fruitbody, especially the blue substrate dyed with xylindein produced by this group. This genus has rather high species diversity in the Southern Hemisphere, while a little attention was paid to this group in East Asia area. During a field survey in South Korea, several Chlorociboria specimens were collected. Based on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analyses, three species of Chlorociboria were reported, including one new record in South Korea and one new record in Jeju Island. The key to the species of Chlorociboria from South Korea is provided.

유역관리에서 경관생태학의 응용 : 절개된 경관의 생태적 기능을 어떻게 회복시킬 수 있을까\ulcorner (Application of Landscape Ecology to Watershed Management : How can We Restore Ecological Functions in Fragmented landscape\ulcorner)

  • Nakamura, Futoshi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4호
    • /
    • pp.373-382
    • /
    • 1998
  • This paper describes the ecological structure and function of riparian zone, and their historical changes with land-use. The riparian zone consists of valley floor landform and riparian vegetation. The functions discussed are attenuation of sunlight energy, input of leaves and needles, contribution of woody debris to streams, and retention of flowing material out of transport. These primary functions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 water and sediment qualities of streams, bars and floodplains, and thereby aquatic biota. Temporal changes in a hydrological system and riparian ecosystem were examined with reference to land-use conversin in order to understand the linkages between these two systems in Toikanbetsu River. The influences of channelization and land-use on discharge of suspended sediment and wetland vegetation was also investigated in Kushiro Marsh. These two examples suggested that the ecological functions of riparian zone have been degraded as flood control and reclamation works have expanded in the past twenty years The author proposes river restoration planning by preserving or creating landscape elements based on the concepts of sustaining physical and ecological linkages.

  • PDF

산림토양의 절지 동물상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auna of the Soil Microarthropods in Forest Floor)

  • 우건석;추호렬;정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33-138
    • /
    • 1987
  • 1. 본 실험은 토양절지 동물의 분포, 우점도 및 다양도를 알기 위하여 수원근교 및 지리산지역에서 1986년 10월부터 1987년 4월까지 실시되었다. 2. 위 기간중 채집된 2,989개체를 동정한 결과 3목(目), 20과, 19종이 확인 되었다. 3. 우점도지수는 수원군집의 것이 지리산군집의 것보다 낮았으나 계절별로 구분하였을 경우 우점도지수의 변이는 지리산 군집에서 작았고 수원군집에서 크게 나타났다.

  • PDF

기계학습 기반 강 구조물 지진응답 예측기법 (Machine Learning based Seismic Response Prediction Methods for Steel Frame Structures)

  • 이승혜;이재홍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91-99
    • /
    • 2024
  • In this paper, machine learning models were applied to predict the seismic response of steel frame structures. Both geometric and material nonlinearities were considered in the structural analysis, and nonlinear inelastic dynamic analysis was performed. The ground acceleration response of the El Centro earthquake was applied to obtain the displacement of the top floor, which was used as the dataset for the machine learning methods. Learning was performed using two methods: Decision Tree and Random Forest, and their efficiency was demonstrated through application to 2-story and 6-story 3-D steel frame structure exam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