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age oat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3초

주요 사료작물의 곤포 Silage 조제이용에 관한 연구 I. 작물의 생리적 특성과 곤포 Silage 조제이용 (Study on Baled Silage Making of Selected Forage Crop and Pesture Grasses I. Discussion on baled silage making as affected by pht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th plants)

  • 김정갑;강우성;한정대;신정남;한민수;김건엽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3-79
    • /
    • 1995
  • A simple conservation technique baled silage making of selected froage materials was discussed in Suwon and in Muan county during 1991 - 1992. Eleven species of forage crops and pasture grasses(maize. sorghum, pearl millet, barnyardgrass, rye, barley, spring oat, Italian ryegrass, orchardgrass, alfalfa and grass-legume pasture mixtures) were harvested at different growth stage from young plant to maturity and baled in a self constructed square baling chamber, and wrapped in a 0.05mm thick polyethylene plastic film. Each bales measured by 90cm long, 60cm wide and 50cm height and weighted between 15~20kg in dry matter basis. physio-molphologcal characteristics of the plants, leaf weight ratio(LWR), leaf area ratio(LAR), stalk ratio (SR), stalk hardness(SH) and other growth parameters, were analysed and were used as a parameter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materials for baling. Italian ryegrass including orchardgrass, alfalfa and pasture mixtures produced high quality baled silage. Silage quality point(F1ieg-point) of Italian ryegrass was improved from 63 point in crushed custom silage to 75 piont in baled silage. Meterial of grass-legume pasture mixtures showed 55 point in crushed silage and 67 point in baled silage. Fodder rye, barley, spring oat and barnyardgrass were also evaluated as a good materials for baled silage making. On the other hand, meize including sorghum and peral millet were evaluated as a not suitable materals for baling due to its high value of SR and SH. Quality of maize was excellent with 88 point in clushed silage and medium with 47 point in baled silage making.

  • PDF

동계 사료작물 봄 파종 시기와 혼파에 따른 생육특성 및 수량 평가 (Growth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Spring Sowing Time and Mixed Sowing of Winter Annual Forage Crops)

  • 남철환;김기수;박만호;윤안아;박종호;한옥규;김원호;선상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07-215
    • /
    • 2019
  • 본 시험은 기후 등 영향으로 IRG, 맥류 등 동계 사료작물의 가을 파종 시기를 놓치거나, 월동률이 낮을 때를 대비하여 봄 파종 기술 확립을 위해 전남 강진에 위치한 축산연구소 시험 포장에서 2017년 2월부터 5월까지와 이듬해인 2018년 2월에서 5월까지 두차례 실시하였다. 2017년 재배 기간 강수량은 2018년보다 낮았고, 평년 강수량보다도 낮은 건조한 기상 조건이었다. 시험 초종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RG), 귀리, 호밀, 청보리, 트리티케일 등 5초종을 대상으로 하였고, 단일 파종과 혼합 파종으로 구분하여 재배시험을 실시하였다. 건조한 기상 조건의 2017년은 귀리가 가장 높은 수량성을 나타냈고, 2월 하순 파종 시엔 ha당 9,408kg의 건물 수량을 얻어 같은 시기에 파종하였던 IRG 보다 4,011kg의 수량을 더 얻을 수 있었다. 평년보다 강수량이 많았던 2018년의 경우 맥류 4종의 수량이 전년도보다 감소하였고, 귀리의 경우 전년도 ha당 9,408kg에서 2,851kg까지 감소하여 70%의 수량 감소 폭을 보였다. 반면 IRG의 경우 2년간 파종 시기에 관계없이 모두 건물중 5,000kg 중반을 유지하며 외부 영향에 따른 변동성이 가장 적었다. 맥류는 2017년은 2월 하순 파종이 2월 중순보다 수량이 높았지만, 2018년은 반대로 2월 중순 파종이 전체적으로 수량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 유추해볼 때 봄 파종 시엔 IRG가 수량 확보 측면에서 가장 안정적인 작물이고, 기후 등 외부 여건 등에 따라 작물의 수량은 변할 수 있기 때문에 농가 여건에 맞춰2월 중·하순에 파종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된다. 혼합 파종은 IRG와 귀리 50 대 50 비율이 ha당 건물중이 6,584kg로 가장 높았고, 단일 파종과 비교하면 IRG는 18.5%, 귀리는 2.3배 수량이 증가되었는데 수확물 판매 가격이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소요되는 종잣값과 건물 증가량을 고려하면 IRG와 귀리 50 대 50 비율 혼합파종은 IRG 단일 파종보다 약 ha당 289,000원, 귀리는 900,700원의 수익이 증가된다. 따라서 안정적인 봄 파종 재배를 위해 작물은 IRG를 추천하고, 더 나아가 수량 증가 효과를 높이기 위해 귀리와 50 대 50 비율로 혼합 파종하는 것을 권장한다.

Effect of Location, Year and Variety on Winter Cereal Forage Yield and Quality in the Southern Plateau of the Spain

  • Otal, J.;Quiles, A.;Quiles, A.;Perez-Sempere, J.I.;Ramirez, A.;Fuentes, F.;Hevia, M.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10호
    • /
    • pp.1416-1424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the production and quality of forage at three different times of the year (April, June and July) of six winter cereals in the southern plateau of the Iberian Peninsula. The cereals studied were Triticale (xTriticosecale wittm) cv. "Tritano", Oat (Avena sativa L.) cv. "Prevision" and cv. "Saia; Rye (Secale cereale L.) cv. "Giganton", Barley (Hordeum vulgare L.) cv. "Cameo" and cv. "Albacete".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hree different locations and over three successive years of harvesting. The three variables considered were location, year and cereal. The % dry matter (DM), % crude protein (CP), % acid detergent fiber (ADF), %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 ash content were determined for the three sampling periods and the quality was calculated in milk forage units (MFU/kg DM), the production in kg DM/ha, MFU/ha and kg CP/ha. In all three sampling periods the quality of the cereals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only by the year and by species. However, for production of dry matter (kg DM/ha), milk forage units (MFU/ha) and gross protein (kg CP/ha) all three variables were of significant influence as were their interactions. In the April sampling, the species which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production ($p{\leq}0.05$) was rye (1,693 kg DM/ha), which, along with its forage quality (16.56% CP, 0.886 MFU/kg DM) meant that the same occurred in MFU/ha and kg CP/h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pecies were also found for the June sampling. The most productive cereal was again rye with 2,656 kg DM/ha, although its sharp fall in forage quality meant that barley cv Albacete (2,513 kg DM/ha) returned the highest production in forage units (1,934 vs. 1,951 MFU/ha) and barley cv. Cameo (2,413 kg DM/ha) in gross protein production (242 vs. 264 kg CP/ha). The significantly highest cereal production for July was barley cv. Albacete (4,923 kg DM/ha, 9.11% CP 0.722 MFU/kg DM). As a consequence of the results, we conclude that from the viewpoint of nutritional quality and production, rye is the most suitable for use in early spring in whatever year and location. However, barley cv. "Albacete" is the most appropriate for utilisation in later spring or early summer.

남부지역 논에서 동계 맥류의 생육특성, 생산성 및 사료가치 (Growth, Productivity and Forage Values of Winter Cereal Crops at Paddy Fields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 오서영;서종호;최지수;김태희;오성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61-70
    • /
    • 2023
  • 조사료 생산성이 높고 양질의 동계 사료작물을 선택하여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남부지역 논에서 겨울철에 수종의 맥류를 재배하여 생육, 생산성, 사료가치 등을 평가하였다. 출수는 밀과 청보리가 4월 초중순에, 귀리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5월 상순에 이루어졌다. 생초 수량은 밀, 청보리, 귀리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건물수량은 밀과 청보리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물론이고 귀리보다도 유의하게 높았다. 특히, 청우밀의 건물수량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밀의 무기질 함량은 귀리, 청보리,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에 비해 낮았지만, 소와 어린 암소가 필요로 하는 적정 범위에 있었다. 밀의 조단백질 함량도 귀리에 비해서는 낮았지만 청우밀의 경우는 7.6%로 반추위 동물의 요구량인 7.0%를 충족하였다. 사료가치를 나타내는 측도인 가소화양분총량(TDN)과 상대적 사료가치(RFV)도 밀과 청보리가 귀리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에 비해 우수하였다. 또한, 밀 4품종과 청보리는 출수 후 30일에 건물률이 30~40% 범위여서 청예사료(풋베기), 건초, 사일리지(담근먹이) 등 여러 용도로 활용하는데 유리한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밀과 청보리는 겨울철에 논에서 재배를 장려할 만한 사료작물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청우밀은 조단백질 함량도 높아서 양질의 조사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춘계답리작 토양에서 두과의 질소고정과 이의 화본과로의 이동 (Nitrogen Fixation of Legumes and Transfer to Grasses in Spring Paddy Soil)

  • 이효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67-172
    • /
    • 2007
  • 분뇨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질소고정을 통해 동반하는 작물에 질소를 고정하고 이동하는 두과와 화본과의 혼파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각기 다른 혼파조합이 춘계논토양에서 두과작물의 질소고정과 이의 이동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처리는 난괴법 3처리, 3반복이었으면 세 개의 다른 혼파처리는 호밀+벳치, 이탈리안라이그래스+크림손클로버 그리고 연맥+완두였다. 충남 서천의 논토양을 포트에 채워 시험을 하였다. 호밀과 헤어리벳치구는 수원의 진흥청 포장에서 이식하였고 나머지 두 처리는 3월 초에 각기 다른 화본과 두과의 비율로(이탈리안라이그래스:크림손클로버=7:3, 연맥:완두=6:4)포트에 파종하였다. 99.8%의 질소동위원소{$(^{15}NH_4)_2SO_4$ solution at. $99.8\;atom%^{15}N$}는 ha당 2kg의 수준으로 각 포트에 시용하였는데 호밀과 벳치는 4월 6일 그리고 나머지 두 처리는 4월 16일에 처리하였다. 각 포트에서 출수기에 수확하여 화본과와 두과로 분리한 다음 총질소와 $^{15}N$값은 서울대학교부설 나이샘(NICEM)의 매스 스팩트로메트리로 분석하였다. 호밀+헤어리벳치, 이탈리안라이그래스+크림손클로버 그리고 연맥+완두 처리의 건물함량은 각각 6,607kg, 3,212kg 그리고 4,312kg 였다. 공중질소에서 기인한 질소의 비는 0.73(호밀+벳치), 0.42(이탈리안라이그래스+크림손클로버) 그리고 0.93(연맥+완두)였다. 두과에서 화본과로의 질소이동비율은 차이법에서 61%에서 4% 사이였고, 동위원소법에서는 12%에서 -32% 범위였다.

봄 재배 연맥의 생육시기별 건물수량 및 화학조성분 (Dry Mater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Spring Oats at Various Stage of Growth)

  • 신정남;김병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1-66
    • /
    • 1995
  • 연맥의 수확시 생육시기가 건물수량 및 사료적인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1993년 3월 13일에 계명전문대학 부속목장에서 파종하여 지엽출현전, 지엽출현기, 출수기, 유숙기 및 호숙기에 수확하였다. 1. 사초의 건물함량은 지엽출현전, 지엽출현기, 출수기, 유숙기 및 호숙기에 각각 11.8, 12.3, 14.9, 25.6 및 28.8%로 지엽출현전부터 cnftnrlRK지는 낮았으나 출수기부터 호숙기까지는 급격히 증가되었다. 2. 잎의 비율은 지엽출현전의 58%에서 호숙기에는 11%로 생육이 진행된에 EK라 감소 되었고 이ㅗ영과 내영을 포함란 곡실의 비율은 출수기 7%에서 호숙기에는 43%로 증가 되었다. 3. 조단백질의 함량은 생육이 진행된에 EK라 감소(P<.05)되었고 그 범위는 24.9%에서 10.7%였다. 4. NDF의 함량은 생육이 진행된에 따라 출수기를 정점으로 증가(P<.05)되다가 유숙기에는 감소(P<.05)되었고 그 이후부터는 변화가 없었다. ADF의 함량은 출수기를 정점으로 증가(P<.05)되다가 유숙기부터는 감소(P<.05)되었다. 5, 건물수량은 지엽출현전, 지엽출현기, 출수기, 유숙기 및 호숙기에 각각 2,420, 4,380, 7,190, 13,130 및 14,530kg로 생육시기가 진행된에 EK라 증가(P<.05)되었다. 6. 본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봄 연맥의 사일리지 제조를 위하여 일시에 수확한다면 유숙기가 알맞다고 생각된다.

  • PDF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Rice Straw with Leucaena leucocephala and Prosopis cineraria Leaves on Nutrient Utilization by Goats

  • Dutta, N.;Sharma, K.;Hasan, Q.Z.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5호
    • /
    • pp.742-746
    • /
    • 1999
  • The potential of Leucaena leucocephala and Prosopis cineraria leaves as nitrogen supplements ($16g/kg\;W^{0.75}/d$)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a basal diet of rice straw by goats was assessed in a feeding trial. Rice straw supplementation with forage oats (Avena sativa) was fed as a control diet. DMI, $g/kgW^{0.75}$ of rice straw by goats receiving Leucaena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followed by Prosopis and oat fodder. The supplementation of Leucaena improved the digestibility coefficient of DM, OM, CP, NDF and ADF nutrient density. Goats on Prosopis or oat fodder supplemented straw responded similarly in terms of nutrient utilization. The intake ($g/kgW^{0.75}$) of DCP, TDN and nitrogen balance of goat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when Leucaena was fed. It is suggested that the Leucaena may be a useful N-supplement in areas where livestock are fed poor quality crop residues.

Prospect of new variety breeding of Italian ryegrass in South Korea

  • Ji, Hee Chung;Hwang, Tae Young;Lee, Ki Wo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08-108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know prospect and present state of new variety breeding of Forage and Grassland in South Korea. The industry of forage in Korea is going up to expend through utilization of good quality forage, Italian ryegrass, forage corn and oat rather than rice straw. Especially, since 2007, Italian ryegrass(IRG) had been very important major winter forage crop in South Korea and developed 13 varieties including very early maturity variety (three varieties), early maturity variety (three varieties), medium maturity variety (one variety) and late maturity variety (six varieties). But the disadvantage of Italian ryegrass was weak winter hardness and drought but has good advantage of forage nutritive value, high-yielding and high sugar content, and like livestock as like hanwoo, dairy cattle, goat so on. The Ko-variety (Korea developed variety) of Italian ryegrass has high cold-tolerant and adaptability more than any other country developed variety, and expend to cultivation area from southern area (below Daejeon) to middle-northern area (upper Han river). Although the cultivation area of Italian ryegrass of South Korea was 21,700 ha in 2007, right now, that of Italian ryegrass is about 123,600ha due to expend cultivation area and know famer to good forage crop and have a various maturity varieties (very early, early, medium, late) according to local situation (before-crop harvesting stage or double cropping system). The seed market of Italian ryegrass in South Korea becoming extended to around 100 million Korean won and seed export get nearer to foreign country. We are going to develop of new variety for stress tolerant and high yield and quality forage variety, good adaptability to the Korean environmental conditions including reclaimed area, make self-sufficiency system for forage seed (Italian ryegrass), export our seed to foreign countries.

  • PDF

가을 재배 사초용 연맥의 파종 시기 및 수확시기별 건물 수량과 사료가치 (Dry Matter Yield and Feed Value of Oat Plant at Various Planting and HaNesting Date in Fall)

  • 신정남;김병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94-299
    • /
    • 1993
  • 연맥의 파종기와 수확기가 건물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1992년 9월 1일(첫째). 9월 11일(둘째), 9월 21일(셋째 파종기)에 파종하여 동년 11월 7일(첫째 수확기)과 19일(둘째 수확기)에 수확하였다. 1. 초고는 파종시기와 수확기에 따라 영향을 받았으며 첫째 파종기의 둘째 수확기의 것이 가장 길었다. 2. 사초의 건물 함량은 첫째로부터 셋째 파종기로 지연됨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그 범위는 15.1%에서 13.5%였고 동일 파종기내에서도 수확기가 늦은 것이 증가되었다. 3. 잎의 비율은 첫째 파종기로부터 셋째 파종기로 지연됨에 따라 증가되었는데 그 범위는 52%에서 77%였다. 4. 조단백질의 함량은 첫째에서 셋째 파종기로 지연됨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그 범위는 14.3%에서 25.4%였다. NDF와 ADF의 함량은 파종시기와 수확기에 영향을 받았으며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감소되었다. 5. 건물 수량은 파종시기가 지연됨에 따라 감소되었고 첫째, 둘째, 셋째 파종기의 것이 각각 6,705 kg, 5,520kg 및 2,315kg였으며 처리간에 유의성 (P< .01)이 있었다. 첫째 수확기와 둘째 수확기의 건물 수량은 각각 4,027kg과 5,667kg로 둘째 수확기의 것이 많았다(P<.01). 6. 본 시험 결과에 의하면 가을 연맥 재배시 9월 1일 파종에 11월 19일 수확한 처리가 좋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