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borne microorganisms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에서의 농산물 및 환경시료에서 노로바이러스와 위생지표세균의 모니터링 (Monitoring of norovirus and indicator microorganisms from agricultural products and environmental samples in Korea)

  • 강지현;심혜미;김광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23-131
    • /
    • 2017
  • 노로바이러스는 국내에서도 지속적으로 유행성 바이러스성 위장염을 일으키고 있다. 노로바이러스 저감화사업단(NOROTECL)의 1중 2세부과제에서는 농산물의 노로바이러스 오염 원인을 추적조사하여 노로바이러스 전파를 예방하고 저감화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였다. 2015년 1월부터 11월 사이에 노로바이러스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80개 농산물, 80개 토양, 78개 인체분변, 3개 가축분변, 80개 농업용수, 80개 하천수 시료를 대상으로 노로바이러스, Male specific coliphage (MSC), 위생지표세균(Coliform, E. coli) 세 가지 검사를 통해 오염현황을 조사하였다. Semi-nested PCR과 DNA sequencing을 통해 18개의 Genogroup I과 3개의 Genogroup II 노로바이러스가 총 18개의 시료에서 발견되었다. Genogroup이 확정된 노로바이러스에 대하여 RT-PCR을 진행하였다. 대장균군과 대장균은 농산물에서 68%와 1%, 토양에서 88%와 7.5%, 인체분변에서 44%와 12.8%, 가축 분변에서 67%와 67%, 농업용수에서 74%와 30%, 하천수에서 96%와 51%의 검출율을 각각 나타냈다. MSC 결과에서는 14개의 시료가 양성으로 나타났다.

수벌번데기로부터 식중독 세균 및 곰팡이독소 안전성 평가 (Safety Investigation on Foodborne Pathogens and Mycotoxins in Honeybee Drone Pupas)

  • 김세건;우순옥;장혜리;최홍민;문효정;한상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99-40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양봉농가에서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영양이 풍부한 꿀벌 수벌번데기를 새로운 식품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유해 미생물과 곰팡이독소에 대한 안전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검사 시료는 국내 3지역의 양봉농가에서 직접 생산한 수벌번데기를 채취 후 곧바로 냉동 운반하여 동결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식품공전 시험법에 따라 대장균군(Coliforms), 살모넬라(Salmonella spp.),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장출혈성대장균(Enterohemorrhage Escherichia coli)에 대한 검출 여부를 조사한 결과 280개의 벌통에서 채취한 수벌번데기 전부에서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곰팡이 독소인 아플라톡신 $B_1$(aflatoxin), 오크라톡신 A (ochratoxin), 데옥시니발레놀(deoxynivalenol) 그리고 제랄레논(zearalenone)이 수벌번데기에서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벌통 내 소비에서 채취하여 곧 바로 냉동보관 한 수벌번데기는 유해 미생물과 곰팡이 독소로부터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어 식품원료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식품부패 및 병원성미생물에 대한 천연약용식물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ies of Natural Medicinal Herbs on the Food Spoilage or Foodborne Disease Microorganisms)

  • 오덕환;함승시;박부길;안철;유진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57-963
    • /
    • 1998
  • 민간요법 또는 식품가공 공정에서 그 안정성이 확보되어 생약재료 또는 식품가공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약용식물에 대하여 항균력을 검색하였고 그중 가장 항균력을 나타낸 황련을 사용하여 활성성분을 분획 추출물한 다음 이 추출물로 부터 여러 종류의 부패 미생물 및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성을 검색하였다. 산사, 황련, 측백, 창출 및 석창포 에탄올 추출물은 그람 양성 또는 음성세균 모두에 대하여 강한 항균성을 나타내었으며, 토사자 에탄올추출물은 그람음성 세균에서만 항균성을 나타내었고 사군자, 숙지황 및 백제 에탄올추출물은 거의 또는 모든 시험균에 대하여 항균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황련의 에탄올추출물은 기존에 보고된 많은 한약제의 에탄올추출물과 비교하여 볼 때 적은 농도에서도 매우 다양하고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그람양성 또는 음성세균 모두 강한 항균력을 보였다. 한편, 황련 에탄올 추출물은 $100^{\circ}C$에서 각각 30분 또는 1시간 동안, $121^{\circ}C$에서 15분간 열처리한 후 Listeria monocytogenes균에 대한 생육저해환을 측정한 결과 상기의 모든 열처리에 의해서도 무열처리군과 비교하여 볼 때 항균력의 차이가 없어 열에 매우 안정 하였다. 또한 생육배지의 pH 변화가 Listeria monocytogenes균의 생육억제에 대한 황련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배양배지의 pH 가 중성에서 알칼리성으로 갈수록 황련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더욱 증가되었고 약산성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황련 에탄올추출물은 알칼리성 조건하에서 더욱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황련 에탄올추출물로부터 부분정제한 물질의 항균력은 검색된 미생물중 그람양성세균, 그람음성세균, 효모 및 곰팡이균 모두에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나 Candida utilis, Rhizopus javanicus에는 억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식중독세균인 Listeria monocytogenes과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부분정제물질의 생육저해 효과를 조사한 결과 두균주 모두 $100{\;}{\mu}g/mL$의 농도에서는 무첨가 대조균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으며 $500{\;}{\mu}g/mL$ 첨가구에서는 Listeria monocytogenes균은 36시간까지는 생육을 억제하였으나 그 이후부터는 급속한 생육을 하였고 Staphylococcus aureus균은 완전히 생육이 억제되었고 $1000{\;}{\mu}g/mL$ 첨가구에서는 두 균주 모두 완전히 생육이 억제되었다.

  • PDF

생강나무(Lindera obtusiloba Blume)와 초피나무(Zanthoxylum piperitum DC)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indera obtusiloba Blume and Zanthoxylum piperitum DC extracts)

  • 김세훈;도정선;정현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27-433
    • /
    • 2014
  • 생강나무 줄기와 초피 과피의 60% ethanol과 열수 추출물의 식중독 균에 대한 항균 활성과 추출물의 열안정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100 mg/mL의 농도에서 생강나무 줄기의 60% ethanol 추출물은 MRSA에 대하여 31.50 mm, 열수추출물은 S. aureus에 대해 25.5 mm의 생육 저해환을 보이며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B. cereus에 대해서는 가장 낮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같은 농도에서 초피 과피의 60% ethanol 추출물의 항균효과는 S. aurues와 B. cereus에 대해 25 mm의 생육 저해환을 나타냈으며, 열수추출물은 S. aurues 에 대해 22 mm의 생육저해환을 나타내 항균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E. coli 에 대해서는 낮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생강나무 줄기와 초피 과피의 60% ethanol, 열수 추출물 모두 농도가 낮아짐에 따라 생육 저해환의 크기가 작아지는 현상을 보였으며, ethanol추출물이 열수 추출물에 비해 다소 높은 항균력을 나타냈다. 또 추출물의 열안정성 실험에서 열처리군과 비열처리군(대조구)을 비교했을 때 항균 효과가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생강나무 줄기와 초피 과피 추출물은 열에 안정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 생강나무 줄기와 초피 과피 추출물에 미생물 부패 방지에 효과적인 항균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비교적 열에 안정하므로 천연보존료로서 산업적 응용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주요 식중독 그람 음성 세균 4속의 REP-PCR genotyping (REP-PCR Genotyping of Four Major Gram-negative Foodborne Bacterial Pathogens)

  • 정혜진;서현아;김영준;조준일;김근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11-61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E. coli. Salmonella, Shigella, Vibrio 등 4속의 주요 식중독유발 그람 음성 세균들을 대상으로 반복성 염기서열인 REP DNA sequence를 응용한 REP-PCR을 실시하였다. 이전의 보고에서 이들 4속의 식중독 유발세균 중 각각 혹은 일부를 대상으로 반복성 염기서열을 이용한 PCR을 적용한 사례는 있지만 그때 적용한 primer, PCR 반응조건 및 전기영동조건 등이 다양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와같은 4속의 세균들에 대하여 최적화된 동일한 primer와 PCR 반응조건 및 전기영동조건을 표준조건으로서 적용하였다. 그 결과로서 모든 4속의 식중독 세균 균주마다 REP-PCR 후 생성되는 fingerprinting pattern에서 속마다 1-3개의 공통적이며 독특한 band가 생성되는 것이 확인되어 이러한 pattern을 이용한 속 수준의 분리 동정과 그와 같은 주요 band들 이외의 부수적인 band들을 고려하여 종 수준까지의 분리도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반복적 DNA 염기서열을 이용한 REP-PCR이 주요 식중독 세균의 분리 동정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더 많은 속(genus)의 식중독세균을 대상으로 한 새로운 분리 동정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activa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by Aqueous Ozone

  • Feng, Lifang;Zhang, Kuo;Gao, Mengsha;Shi, Chunwei;Ge, Caiyun;Qu, Daofeng;Zhu, Junli;Shi, Yugang;Han, Jianzh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8호
    • /
    • pp.1233-1246
    • /
    • 2018
  • Vibrio parahaemolyticus contamination causes serious foodborne illness and has become a global health problem. As a disinfectant, aqueous ozone can effectively kill a number of bacteria, viruses, parasites, and other microorganisms. In this study, three factors, namely, the aqueous ozone concentration, the exposure time, and the bacterial density, were analyz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the aqueous ozone concentra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 sterilization ratio. Under low aqueous ozone concentrations (less than 0.125 mg/l), the bacterial cell membranes remained intact, and the ozone was detoxified by intracellular antioxidant enzymes (e.g.,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Under high aqueous ozone concentrations (more than 1 mg/l), cell membranes were damaged by the degree of peripheral electronegativity at the cell surface and the concentration of lactate dehydrogenase released into the extracellular space, and the ultrastructures of the cells were confirm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queous ozone penetrated the cells through leaking membranes, inactivated the enzymes, inhibited almost all the genes, and degraded the genetic materials of gDNA and total RNA, which eventually led to cell death.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us Lev.) 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활성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Leaf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us Lev.)

  • 이수경;이승헌;박은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15-523
    • /
    • 2015
  • In the study reported here,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thanol leaf extract of Dendropanax morbiferus Lev. from Jeju Island was investigated. Of the 14 strains of 12 species of microorganisms tested, the extract exhibited antimicrobial activity observed against seven Gram-positive bacteria of four species, but not against six Gram-negative bacteria and a yeast strain. Using the disc diffusion method, the diameter of the inhibition zone increased with application of the extract with every strain and the highest growth inhibition was exhibited with Staphylococcus aureus KCTC 1916 at 5 mg/ml.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MIC) by turbidity was 2.5 mg/ml against Bacillus cereus KACC 12672 and 15 mg/ml when with Enterococcus faecalis KCTC 3206. The minimum bacterial concentration (MBC) values defined as being $${\geq_-}99.9%$$ reduction in viable cells against the tested strains was higher than the MIC values. Time killing curves using the optimum MIC were performed on seven strains incubated for 48 hr. The growth of B. cereus KACC 12672 was detected after 12 hr and no significant growth was found in the others strains after 48 hr (p<0.05).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 of the ethanol leaf extract was similar to that of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at the same concentr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eaf extract of D. morbiferus Lev. can be utilized as a natural preservative and an antioxidant.

Analysis of Microflora Profile in Korean Traditional Nuruk

  • Song, Sang Hoon;Lee, Chunghee;Lee, Sulhee;Park, Jung Min;Lee, Hyong-Joo;Bai, Dong-Hoon;Yoon, Sung-Sik;Choi, Jun Bong;Park, Young-Se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1호
    • /
    • pp.40-46
    • /
    • 2013
  • A variety of nuruk were collected from various provinces in Korea, and their microflora profiles were analyzed at the species level. A total of 42 nuruk samples were collected and when the viable cell numbers in these nuruk were enumerated, the average cell numbers of bacteria, fungi, yeast, and lactic acid bacteria from all nuruk were 7.21, 7.91, 3.49, and 4.88 log CFU/10 g,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iable cell numbers of bacteria or fungi according to regions collected. Bacillus amyloliquefaciens and B. subtilis were the predominant bacterial strains in most samples. A significant portion, 13 out of 42 nuruk, contained foodborne pathogens such as B. cereus or Cronobacter sakazakii. There were various species of lactic acid bacteria such as Enterococcus faecium and Pediococcus pentosaceus in nuruk. It was unexpectedly found that only 13 among the 42 nuruk samples contained Aspergillus oryzae, the representative saccharifying fungi in makgeolli, whereas a fungi Lichtheimia corymbifera was widely distributed in nuruk. It was also found that Pichia jadinii was the predominant yeast strain in most nuruk, but the representative alcohol fermentation strain, Saccharomyces cerevisiae, was isolated from only 18 out of the 42 nuruk.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 variety of species of fungi and yeast were distributed in nuruk and involved in the fermentation of makgeolli. In this study, a total of 64 bacterial species, 39 fugal species, and 15 yeast species were identified from nuruk. Among these strains, 37 bacterial species, 20 fungal species, and 8 yeast species were distributed less than 0.1%.

Evaluation on Microbial Contamination in Chinese Cabbage Cultivated Soil in Korea

  • Jung, Kyu-Seok;Seo, Seung-Mi;Jeon, Hye-Jin;Kim, So-Ra;Kim, Won-Il;Kim, Se-Ri;Roh, Eun-Jung;Ryu, Jae-Gee;Lee, Seung-D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538-546
    • /
    • 2017
  • The occurrence of various pathogenic microorganisms on farms is a concern if they are able to contaminate fresh produce, which provides entry into the food supply.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the microbiological quality and prevalence of pathogens in Chinese cabbage cultivated soil in Korea. A total of 57 Chinese cabbage cultivated soils were collected in 4 locations in Korea from February to August 2017. The soils were analyzed for the presence of total aerobic bacteria, Escherichia coli, coliforms, Salmonella spp.,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and Staphylococcus aureus. The total aerobic plate counts in soils were in the range of 5.7 to $8.7log\;CFU\;g^{-1}$. The coliforms and E. coli were detected in 39 and 8 out of 57 soil samples, respectively, in the range of 1.1 to $6.3log\;CFU\;g^{-1}$ and 0.7 to $4.0log\;CFU\;g^{-1}$.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and S. aureus were not detected from any samples. Results from these studies may help control the spread of bacterial species such as E. coli and Salmonella spp. through the farm environment.

상추와 생산환경의 미생물 안전성 평가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Safety of Lettuce and Cultivation Area)

  • 김세리;이지영;이서현;김원일;박경훈;윤혜정;김병석;정덕화;윤종철;류경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89-295
    • /
    • 2011
  • 본 연구는 상추를 대상으로 재배~수확 후 단계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이천지역 상추농가와 수확 후 처리시설에서 위생지표세균(일반세균수, 대장균군,E. coli)과 병원성미생물(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St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을 조사하였다. 상추 생산과정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결과, 대부분의 시료에서 일반세균수 수준은 4.0 log CFU/(ml, g, $100\;cm^2$, hand)이었다. 또한 수확 후 처리시설에서 사용되는 장갑에서 E. coli가 3.5 log CFU/hand로 비교적 높게 검출되었고, B. cereus는 토양과 저울에서 각각 3.5 log CFU/g, 2.6 log CFU/$100\;cm^2$로 타시료에 비해 높았다. 특히 정식 후 10일 째 상추의 일반세균수, 대장균군수 및 B. cereus의 오염수준이 정식 후 62일째 상추 보다 각각 l.19, 1.87, and 1.94 log CFU/g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및 L. monocytogenes은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상추의 유해 미생물 오염은 생산단계부터 발생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러한 유해미생물의 오염을 사전에 관리하기 위해서는 생산에서부터 소비까지 위해요소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