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spoilage microorganism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8초

숙주나물과 콩나물에 대한 부패성 미생물의 증식 양상 비교 (Comparative Study on Growth of Spoilage Microorganisms in Mungbean and Soybean Sprout)

  • 유미지;김용석;신동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5-30
    • /
    • 2004
  • 숙주나물과 콩나물은 blanching후 변질 속도가 크게 차이가 나는 바 이들이 Bacillus subtilis, Bacillus cereus, Pseudomonas fluorescens, Listeria monocytogenes등 4종의 부패성 및 식중독 미생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숙주나물과 콩나물의 조리과정 중 blanching조건이 달라 각각의 조건에서 두 시료 모두 blanching하여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blanching 한 후 미생물 수는 저장시간에 따라 증가하나 그 차이가 없었다. 최소배지에 숙주나물과 콩나물 농축물 및 부패성 미생물을 접종한 후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숙주나물에 접종한 모든 균들의 초기 균수가 높았으나 24시간 이후 비슷한 증식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숙주나물과 콩나물의 여액을 배지로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미생물의 증식 양상은 균주 마다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 동안 색도를 측정한 결과 숙주나물의 경우 24시간에는 색차가 거의 없다가 48시간 이후 현저한 차이를 보였고, 콩나물의 경우 24시간에 다른 계통의 색으로 변하다가 48시간 이후 현저하게 많은 차이를 보여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Antimicrobial Effect of Roselle (Hibiscus sabdariffa L.) Petal Extracts on Food-Borne Microorganisms

  • Kang, Pil-Sung;Park, Ki-Bum;Eun, Jae-Soon;Oh, Suk-He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260-263
    • /
    • 2006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microbial effect of 14 different herbal petal extracts on various foodborne and food spoilage bacteria. Herbal petal extracts were prepared with 70% ethanol followed by sequential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and water fractionation. Antimicrobial activity was highest in the ethanol fraction from roselle (Hibiscus sabdariffa L.) petals as determined by the paper disc method. The roselle ethanol extract retarded the growth of food spoilage bacteria in kimbap (rice rolled in dried laver). Foodborne microorganisms (e.g. Bacillus cereus and Clostridium perfringens), on the other hand, were most efficiently inhibited by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the roselle petal extract as determined by growth inhibition curves. Our study shows that roselle petals harbo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foodborne and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The critical ingredient is highly enriched in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the extract.

개머루덩굴 추출물의 식품부패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Ampelopsis brevipedunculata Extracts On Food Spoilage or Foodborne Disease Microorganism)

  • 최무영;임태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30-435
    • /
    • 2010
  • 본 연구는 천연 식품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한약 재료로 이용되고 있는 개머루덩굴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식품부패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개머루덩굴 에탄올 추출물은 식품부패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효과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Escherichia coli O157:H7 균에 대해 가장 높은 항균효과를 보였다. 또 개머루덩굴 에탄올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almonella typhimurium, Yersinia enterocolitica,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O157:H7 균들의 배양액에 개머루덩굴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를 250, 500, 1,000, 2,000 mg/L 각 농도별로 첨가하여 생육을 조사한 결과 250 mg/L까지는 대조군과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500 mg/L 이상에서는 유의적인(p<0.05)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개머루덩굴 에탄올 추출물이 식중독을 유발시키는 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작용을 나타내고 있으며, 따라서 개머루덩굴이 효과적인 천연보존료로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일부 식품부패성 미생물에 대한 관중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Dryopteris rhizoma against Some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 곽이성;김미주;안대진;이종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6-40
    • /
    • 2000
  • 관중의 추출분획물별과 Bacillus subtilis에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던 가자, 정향, 단삼, 관중의 추출 용매별 (ethanol과 물)로 식품 부패성 미생물인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Bacillus subtilis, Pseudomonase fluorescence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가자는 물추출물이, 정향, 단삼 및 관중은 ethanol 추출물이 각각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 관중의 ethanol 추출물이 가장 강한 활성을 보였고 그 활성정 도는 인공합성보존류인 안식향산나트륨 (sodium benzoate)보다 실험한 모든 미생물에 대하여 강했다. 2. 관중의 ethanol 추출물의 각분획물에 대한 항균활성은 CHCI$_3$분획물>EtOAc 분획물>BuOH 분획물>물 분획물 순이었다. 3. 관중의 각분획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미생물의 성장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그 억제효과에 대한 기작은 살균작용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정균작용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학교 급식설비 및 집기류의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분석 (The Microbiological Assessment and Identification of Food Utensils and Food Service Facilities in School)

  • 홍승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89-19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식중독으로 인한 지속적인 위해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학교의 급식시설 및 집기류에서 미생물 오염수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총 세균 측정용 배지에서 $12.3{\pm}2.6$건으로 가장 많은 미생물이 배양되었고, 황색포도상구균 측정용 배지에서 $10.3{\pm}3.9$건과 대장균 측정용 배지에서 $9.5{\pm}3.9$건으로 미생물이 배양되었다. 그러나 비브리오 측정용 배지에서는 $1.5{\pm}1.0$건으로 가장 적은 미생물이 배양되었다. 급식시설 및 집기류에서 미생물 오염이 심한 곳은 전처리실 바닥으로 $4.5{\pm}0.6$건으로 가장 높고, 조리실 바닥도 $4.3{\pm}1.0$건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조리대가 $3.3{\pm}1.0$건으로 나타났으며, 급식식탁에서도 $3.0{\pm}0.0$건으로 상당히 높은 미생물 오염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집기류에서는 시설들에 비하여 낮은 미생물 오염도를 보였다. 칼과 도마를 사용용도에 따라 구분하여 미생물을 분석한 결과, 생선용 칼에서 $2.0{\pm}0.8$건과 생선용 도마에서 $1.3{\pm}1.5$건으로 다른 용도에 비하여 약간 높은 미생물 오염도를 보였다. 배양된 미생물들을 동정한 결과, 다양한 미생물들이 오염되어 있으며 일부는 2번 이상씩 반복하여 검출되었다. 특히, 주요 식중독균인 Staphylococcus aureus는 조리대, 트렌치, 칼에서 3번에 걸쳐서 확인되었다. 또한 주요 식중독균에 속하는 Bacillus cereus가 칼에서 확인되었으며, 자연에 널리 분포하면서 때로는 급성폐렴을 일으키기도 하는 Klebsiella pneumoniae는 4번 반복하여 검출되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황색포도상구균을 비롯한 주요 식중독균뿐만 아니라 식품의 부패를 일으키는 미생물들이 학교급식의 시설 및 집기류에 오염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학교급식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학생들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더욱 철저한 개인위생 및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시설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에 시판되고 있는 유기농산물과 일반농산물의 부패미생물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poilage Bacteria on Organic and Conventional Fresh Produce in Korea)

  • 정순영;정영;정규석;허성기;이선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06-311
    • /
    • 2013
  • 본 연구는 부패미생물의 종류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유기농산물과 일반농산물(깻잎, 양배추, 상추)을 구입하여 $4^{\circ}C$에 14일 저장한 후 일반목적배지를 사용하여 미생물을 분리 및 16S rRNA sequencing방법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유기농산물 깻잎, 양배추, 상추의 총균수는 $5-7{\log}_{10}CFU/g$ 수준이었고, 일반농산물의 총균수는 $5-8{\log}_{10}CFU/g$ 수준이었다. 유기농산물보다는 일반농산물이 총균수를 더 많이 내재하고 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 > 0.05). 유기농산물 깻잎에서 발견된 주요 균은 Microbacterium sp.이었으며, 일반농산물 깻잎에서 발견된 주요균은 Stenotrophomonas maltophilia이었다. 또한, 유기농산물에서 부패를 일으킬 수 있는 균인 Klebsiella pneumonia가 발견되었으며, 일반농산물보다 유기농산물에서 발견된 균의 종류가 더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 결과는 부패미생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농산물의 신선도 및 유통기한을 늘리기 위한 새로운 살균소독제 및 부패 억제제를 개발하는데 좋은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식품부패세균에 대한 가자(Terminalia chebula Retz.)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Terminalia chebula Retz. Extract Against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 김기주;도정룡;조진호;김영명;김병삼;임상동;강석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98-503
    • /
    • 2005
  • 가자 물 추출물과 70% 에탄올 추출물을 acetone, hexane, chloroform, butanol 용매로 순차 분획하였다. 용매 순차 분획물중 butanol분획물이 E. coli, S. typhimurium, P. aeruginosa, B. subtilis, S. aureus, L. monocytogenes균종에 대해 가장 좋은 항균활성과 추출수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polyphenol 표준물질 중 pyrogallol이 항균활성 실험결과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가자의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을 13가지 표준품을 사용하여 HPLC 분석한 결과, pyrogallol의 수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A Review of the Efficacy of Ultraviolet C Irradiation for Decontamination of Pathogenic and Spoilage Microorganisms in Fruit Juices

  • Ahmad Rois Mansur;Hyun Sung Lee;Chang Joo L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4호
    • /
    • pp.419-429
    • /
    • 2023
  • Ultraviolet C (UV-C, 200-280 nm) light has germicidal properties that inactivate a wide range of pathogenic and spoilage microorganisms. UV-C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as an alternative to thermal decontamination of fruit juices. Recent studies suggest that the efficacy of UV-C irradiation in reducing microorganisms in fruit juices is greatly dependen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microorganisms, juice matrices, and parameters of the UV-C treatment procedure, such as equipment and processing. Based on evidence from recent studies, this review describes how the characteristics of target microorganisms (e.g., type of microorganism/strain, acid adaptation, physiological states, single/composite inoculum, spore, etc.) and fruit juice matrices (e.g., UV absorbance, UV transmittance, turbidity, soluble solid content, pH, color, etc.) affect the efficacy of UV-C. We also discuss the influences on UV-C treatment efficacy of parameters, including UV-C light source, reactor conditions (e.g., continuous/batch, size, thickness, volume, diameter, outer case, configuration/arrangement), pumping/flow system conditions (e.g., sample flow rate and pattern, sample residence time, number of cycles), homogenization conditions (e.g., continuous flow/recirculation, stirring, mixing), and cleaning capability of the reactor. The collective facts indicate the immense potential of UV-C irradiation in the fruit juice industry. Existing drawbacks need to be addressed in future studies before the technique is applicable at the industrial scal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White, Red, and Extruded Ginsengs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 Norajit, Krittika;Park, Mi-Ja;Ryu, Gi-Hy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4호
    • /
    • pp.850-856
    • /
    • 2008
  • White, red, and extruded ginsengs were studied against 8 strains of food-borne pathogens and/or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The ginseng powders were extracted with different extractants and screened for antimicrobial activity using the disc diffusion and broth dilution techniqu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yield of extraction was higher with increase of aqueous solution content and temperature. Preliminary screening revealed that the red ginseng extracts were most active, that has been found to be highly effective against all tested microbe except Listeria monocytogenes. Moreover, Bacillus subtilis has shown highly susceptible, which the diameters of inhibition zone values of 28 extracts were between 7 and 14 mm.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and 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recorded for the different crude ginseng extracts against microorganism using ranged from 6.25 to 100 mg/mL, indicated that the methanol extract of ginseng were more effective than ethanol and water extracts. The 60% methanol extract of red ginseng had the greatest effects against B. subtilis with MIC and MBC values at 6.25 mg/mL.

일부 식품 부패성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생약자원의 검색 (Screening of Herbal Plant extracts Show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ome Food Spoilage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 안대진;곽이성;김미주;이종철;신창식;정기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9-116
    • /
    • 2000
  • 115 종의 생약재 중에서 식품부패성 및 병원성 미생물을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생약자원을 검색한 결과 식품부패성 세균 Bacillus subtilis에 강한 항균활성을 보인 것은 단삼, 관중, 가자, 독활, 파고지, 오미자이었으며, 식중독균인 효모 Candida albicans IFO6258에 대해서는 지모와 관중 두 생약재가, 식품부패성 효모 Schizosaccharomyces sp.에 대해서는 지모, 관중, 원지가 각각 강한 항균 활성을 보였다.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해서는 관중, 단삼, 소목, 방기, 오미자, 오배자, 고삼, 목향이 강한 항균 활성을 보였다. 피부 각층 및 모발에 침입하여 피부병을 야기하는 백선균 Trichonphyton mentagrophytes에 대해서는 지모, 강황, 목향, 호장근, 지유, 황금, 가자들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 항균spectrum이 넓으면서 비교적 항균활성이 강한 관중, 단삼, 가자, 황금에 항균활성이 강한 생약자원인 가자, 계피, 방기, 황금등의 생약재를 각각 1 : 1로 혼합한 추출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모든 혼합 추출물에서 단독 추출물 보다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