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spoilage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27초

변형기체포장이 흑미 첨가 기능성 찐빵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n Preservation of the Steamed Bread Added with Black Rice)

  • 최동만;김남용;정순경;권호령;이동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8권1_2호
    • /
    • pp.33-38
    • /
    • 2012
  • 흑미를 첨가하여 제조한 기능성 찐빵에 변형기체포장으로 적용하여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흑미 첨가 찐빵은 미생물적으로 매우 민감하여서 쉽게 부패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억제할 수 있는 변형기체 포장이 저장성 향상과 유통기한 연장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생물적 품질과 관능적 품질에 근거하여 각 포장조건 별 저장수명은 함기 포장에서는 5일 미만, 질소 포장에서는 5일, 이산화탄소 60%/질소 40% 포장에서는 8일, 이산화탄소 100% 포장에서는 15일로 설정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산화탄소 포함 변형기체 조건에서도 노화에 의한 texture 변화는 계속 진행되므로, 이러한 저장수명 연장에의 변형기체 포장의 적용은 찐빵의 재가열 등의 상황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보리차 저장시의 변패 및 변패미생물에 관한 연구 (A microbiological Investigation of Barley Drink During Storag)

  • 이민정;유양자;경규항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51-58
    • /
    • 1990
  • Quality deterioration of barley drink during storage was examined by measuring viable count, titratable acidity (TA), turbidity and pH of barley drinks with or without barley particles stored at temperatures of 20, 25, 30, and 35$^{\circ}C$. Qualitative analysis of organic acids in spoiled barley drink was also performed. TA of barley drink during storage increased to 0.009, 0.0095, 0.0097 and 0.020% at 20, 25, 30 and 35$^{\circ}C$, respectively. TA reached the mixima between 7 and 10 days of storage and reduced from then on. pH values followed the exactly reverse trend of TA. The rate of bacterial spoilage of barley drinks was faster when it was stored at higher temperatures. The numbers of bacteria were in the range between 9.0${\times}10^6-8.0{\times}10^8$ cells/ml depending on the storage temperatures and the different brands. Those samples with higher bacterial growths showed higher optical densities. Volatile organic acids such as acetic, formic, propionic, isobutyric, isovaleric acids were detected in addition to ethyl alcohol. Non-volatile organic acids such as pyruvic, lactic, oxalacetic, succinic, fumaric acids were detected. Among them, acetic acids were most important in their quantities. Five different kinds of spoilage bacteria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s Bacillus Licheniformis, Bacillus coagulans, Badillus cirulans, Bacillus stearothermophilus and Bacillus brevis, all of which were found to form endospores.

  • PDF

일부 식품 부패성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생약자원의 검색 (Screening of Herbal Plant extracts Show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ome Food Spoilage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 안대진;곽이성;김미주;이종철;신창식;정기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9-116
    • /
    • 2000
  • 115 종의 생약재 중에서 식품부패성 및 병원성 미생물을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생약자원을 검색한 결과 식품부패성 세균 Bacillus subtilis에 강한 항균활성을 보인 것은 단삼, 관중, 가자, 독활, 파고지, 오미자이었으며, 식중독균인 효모 Candida albicans IFO6258에 대해서는 지모와 관중 두 생약재가, 식품부패성 효모 Schizosaccharomyces sp.에 대해서는 지모, 관중, 원지가 각각 강한 항균 활성을 보였다.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해서는 관중, 단삼, 소목, 방기, 오미자, 오배자, 고삼, 목향이 강한 항균 활성을 보였다. 피부 각층 및 모발에 침입하여 피부병을 야기하는 백선균 Trichonphyton mentagrophytes에 대해서는 지모, 강황, 목향, 호장근, 지유, 황금, 가자들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 항균spectrum이 넓으면서 비교적 항균활성이 강한 관중, 단삼, 가자, 황금에 항균활성이 강한 생약자원인 가자, 계피, 방기, 황금등의 생약재를 각각 1 : 1로 혼합한 추출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모든 혼합 추출물에서 단독 추출물 보다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무균포장밥으로부터 분리된 부패 미생물의 동정 및 전해산화수의 취반수로서의 이용 효과 (Identification of Spoilage Bacteria Isolated from Aseptic Packaged Cooked Rice and Application of Acidic Electrolyzed Saline Solution as Water-for-Cooked Rice)

  • 정정환;한선진;조원대;황한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88-793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오염된 무균포장밥으로부터 미생물의 분리 동정을 실시하고 AESS의 살균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취반수로 이용하여 취반미의 pH를 저하시킨 후 오염된 미생물의 사멸 및 생육억제 효과를 검토하였다. 오염된 3종의 시료로부터 총 6주의 오염미생물을 분리하여 생리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5주의 Bacillus subtilis와 1주의 B. cereus로 동정하였다. 이 결과는 지방산 분석법에 의한 미생물동정기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AESS의 살균효과는 0.1% NaOCl 및 70% ethanol 용액의 그것과 유사하거나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Bacillus spp.를 제외한 다른 시험미생물들은 5초간의 노출로 모두 사멸하였다. Bacillus spp.에 대해서는 AESS가 NaOCl이나 ethanole보다 우수한 살균 또는 성장 억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분간의 노출로 모두 사멸하였거나 성장 억제되었다. 또한 AESS를 취반수로 사용하면 pH $3.6{\sim}4.3$ 범위의 취반미를 얻을 수 있었으며, 제조된 밥의 pH는 저장기간 중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여기에 오염된 무균포장밥으로부터 분리된 Bacillus 균현탁액을 조제하여 접종 밀봉하고 $37^{\circ}C$에서 2주간 저장한 결과 수도수로 제조된 밥에서는 정상적인 성장을 나타냈으나, AESS로 제조된 밥에서는 오염 미생물들의 생육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 PDF

요구르트가 신선계육의 저장기간 동안 미생물학적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Probiotic Yogurt on the Microbial Quality of Fresh Chicken Meat during Cold Storage)

  • 김국경;엄석진;임중현;이경민;유석진;김현욱;김근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69-277
    • /
    • 2009
  • 이 연구는 기능성 요구르트를 이용한 신선계육의 포장이 냉장유통조건에서 닭고기의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그리고 관능적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닭고기의 가슴살, 정육, 절단육을 기능성 요구르트와 함께 폴리에칠렌 백에 포장한 다음, $10^{\circ}C$에서 저장하면서 0, 2, 4, 7일 후에 시료를 채취하여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요구르트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기능성 요구르트를 첨가한 포장에서 저장기간을 통하여 총미생물수와 대장균군의 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대조구의 경우에는 $10^{\circ}C$에서 2일 저장 후에 미생물학적 또는 관능적인 품질 기준의 한계에 도달하였으나, 기능성 요구르트를 첨가한 포장에서는 동일한 조건에서 4일 후에도 신선육의 품질기준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확인된 결과에 의하면 기능성 요구르트를 이용한 신선계육의 포장방법은 냉장유통 되는 닭고기의 총세균수와 대장균수를 현저히 낮추어줌으로써 유통기한을 연장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Ultraviolet-C 조사에 의한 복숭아의 저장 중 품질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of Peaches (Prunus persica L. Batsch) Treated by UV-C Irradiation during Storage)

  • 장주희;박재희;반기은;이경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798-1804
    • /
    • 2012
  • 국내산 복숭아에의 저장성 증진을 위하여 0~10.0 $kJ/m^2$의 선량으로 UV-C를 처리하고 저장 중 부패율, 이화학적 변화 및 기호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대조군 및 2.5 $kJ/m^2$ UV-C 처리군의 경우 부패율은 저장 4일까지는 부패된 것이 하나도 없었으나 저장 6일 이후부터는 부패된 복숭아를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저장 10일에는 각각 29.17% 및 25.0%의 부패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5.0, 7.5 및 10 $kJ/m^2$의 UV-C 처리군에서는 저장 10일에 각각 41.67, 50.00 및 58.33%로 조사선량이 높을수록 더 많은 부패율을 나타내었다. 무게변화의 경우 대조군과 2.5 $kJ/m^2$ UV-C 처리군은 저장 10일동안 변화폭이 가장 적었으나 5.0 $kJ/m^2$ 이상의 처리군에서는 이들보다 많은 변화를 보였다. 복숭아의 pH 변화에서는 UV-C 처리에 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기간 중 pH가 증가하였으나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도에서는 UV-C 처리 직후에는 모든 실험군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저장 6일까지는 2.5 $kJ/m^2$ 처리군이 대체적으로 대조군과 비슷하거나 약간 높은 경도를 보였으며 저장 8일 이후에는 대조군보다 감소하였다. 그러나 5.0 $kJ/m^2$ 이상의 처리군에서는 저장 4일 이후부터는 빠르게 경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도 변화에서는 UV-C 처리 및 저장 중 모든 실험군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며 적색도는 처리 직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대체적으로 저장 중 대조군과 마찬가지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황색도는 UV-C 처리에 의하여 다소 황색도가 낮아졌으며 저장 중에는 모든 실험군이 약간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맛, 향, 색, 조직감 및 종합적 기호도의 변화에서는 UV-C 처리에 의한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저장 중 모든 실험군에서 2일 혹은 4일차에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으며 그 후부터는 기호도값이 감소하였다. 전반적으로 대조군과 2.5 $kJ/m^2$ UV-C 처리군이 가장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actobacillus plantarum LMG 7945가 생산하는 bacteriocin의 항균력과 그 특성 (Antibacterial Activity and Characteristics of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LMG 7945)

  • 김상현;이명숙;장동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5-71
    • /
    • 1995
  • Bacteriocins from lactic acid bacteria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in recent years because of their useful worth in increasing safety and extending shelf life of foods. These substances show an inhibitory effect against some food spoilage bacteria and food-borne pathogens. The inhibitory effect fo the bacteriocin produces by lactic acid bacteria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L. monocytogenes) was examined in this study. The culture supernatants of 5 kinds of bacteria among the 10 kinds of testes lactic acid bacteria had the inhibitory activity against Listeria sp., various Gram positive and Gram negative bacteria.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Lact. plantarum) LMG 7945 was the most active toward L. monocytogenes. Bacteriocin production of the Lact. plantarum LMG 7945 cultured on MRS broth was increased late logarithmic phase over early stationary phase. This bacteriocin was stable at heat treatment and acidic pH relatively; The activity was retained after heating at 121$^{\circ}C$ for 15min and was active in the pH range of 2~4 but was lost above pH 5.

  • PDF

Plasmid Linkage of Bacteriocin Production and Sucrose Fermentation Phenotypes in Pediococcus acidilactici M

  • Kim, Wang-June;Ha, Duk-M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권3호
    • /
    • pp.169-175
    • /
    • 1991
  • Pediococcus acidilactici strain M produced a bacteriocin which was proteinaceous, heat stable, and exhibit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lactic acid bacteria, variety of food spoilage and pathogenic bacteria.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not caused by $H_2$$O_2$ and organic acid, and was remained between pHs of 4.0 to 9. Molecular weight of crude bacteriocin was approximately 2, 500. Phenotypic assignment after plasmid cruing experiment demonstrated that a 53.7 kilobase (kb) plasmid, designated as pSUC53, was responsible for the sucrose fermentation phenotype ($Suc^+$) and a 11.1 kb plasmid, designated as pBAC11, was associated with bacteriocin production phenotype ($Bac^+$). Neither of the two plasmids were linked to antibiotic resistance.

  • PDF

인진쑥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 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 on the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2호
    • /
    • pp.147-153
    • /
    • 2003
  • In this study, Artemisia capillaries, which has been used as a folk remedy, was investigated for its antimicrobial activity. First, the Aremisia capillaris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t room temperature, and fractionation of the methanol extracts from Artemisia capillaris was carried out using petroleum ether,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Secon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was determined using a paper disc method an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ethyl acetate extracts from Artemisia capillari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and food spoilage bacteria was measured. Finally, the growth inhibition curve was determined using ethyl acetate extracts of Artemisia capillari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Salmonella typhimurium. The ethyl acetate extract of Artemisia capillaris show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 typhimurium at a concentration of 1,000 ppm. The 3,000 ppm of ethyl acetate extract from Artemisia capillaris retarded the growth of S. aureus and S. typhimurium for up to 6 hours.

Model for Estimating CO2 Concentration in Package Headspace of Microbiologically Perishable Food

  • Lee, Dong-Sun;Kim, Hwan-Ki;An, Duck-Soon;Yam, Kit L.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6권4호
    • /
    • pp.364-369
    • /
    • 2011
  • Levels of carbon dioxide gas, a metabolite of microbial growth, have been reported to parallel the onset of microbial spoilage and may be used as a convenient index for a packaged food's shelf life.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kinetic model of $CO_2$ production from perishable food for the potential use for shelf life control in the food supply chain. Aerobic bacterial count and package $CO_2$ concentration were measured during the storage of seasoned pork meat at four temperatures (0, 5, 10 and $15^{\circ}C$), and their interrelationship was investigated to establish a mathematical model. The microbial growth at constant temperature was described by using model of Baranyi and Roberts. $CO_2$ production from the stored food could be explained by taking care of its yield and maintenance factors linked to the microbial growth. By establishing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microbial growth and $CO_2$ yield factor, $CO_2$ partial pressure or concentration in package headspace could be estimated to a limited extent, which is helpful for controlling the shelf life under constant and dynamic temperature conditions. Application and efficacy of the model needs to be improved with further refinement in the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