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packaging material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7초

가정간편식 용기용 바이오매스 기반 발포구조체의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Biomass-Based Foam Structures for Home-Meal-Replacement Containers)

  • 김인애;김수민;;한정구;황기섭;권혁준;김용수;유승란;서종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77-83
    • /
    • 2020
  • 바이오매스가 포함된 발포구조체의 발포온도에 따른 SEM, 밀도, 공극률, 수분투과도 측정을 통해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소비자가 해당 용기를 사용할 때의 열적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MIL-STD규격에 따라 열충격 처리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측정 결과 발포온도가 증가할수록 대체로 기공의 크기는 증가하고 기공의 수는 감소하여 밀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공극률과 수분투과도 측정결과는 서로 다른 경향성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기공의 크기와 수, 기공 간의 구도가 변화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열충격 시험 결과, 열충격 반복횟수를 거듭할수록 기공의 크기가 감소하면서 밀도는 증가하고 공극률과 수분투과도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시료에 고온을 가함으로써 시료가 연화되었고, 연화된 상태의 시료에 곧바로 저온을 가하여 시료가 수축되면서 기공의 크기와 구도가 변화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밀도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수분투과도의 경우 수치가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해당 발포구조체로 제작된 HMR 용기는 열적 안정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Antibacterial Biopolymer Film

  • Cho, Dong-Lyun;Na, Kun;Shin, Eun-Kyung;Kim, Hyun-JIn;Lee, Ki-Young;Go, Jin-Hwan;Choi, Choon-S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193-198
    • /
    • 2001
  • Preparation of antibacterial biopolymer film which is suitable for food packaging film was investigated using K-carrageenan as a base material. K-Carrageenan showed good biodegradability and film-forming characteristic but poor mechanical properties under humid condition. Also, various bacteria grew well on its surface. The poor mechanical properties could be improved by mixing with alginate at a 1:1 ratio and crosslinking with $CaCl_2$ solution. Antibacterial property coul be provided by modifying the K-carrageenan film surface with acrylic acid plasma followed by ion-exchange with $Ag^+$ ions. Such prepared film still showed good biodegradability by various fongi.

  • PDF

유연성 플라스틱 포장재를 이용한 흑미의 저장 (Storage of Black Rice using Flexible Packaging Materials)

  • 김종대;김관;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58-163
    • /
    • 1999
  • 흑미(흑진주벼)를 PE와 PP 그리고 PE와 PP를 적층한 필름을 이용하여 포장한 후 $20^{\circ}C$에 저장하면서 흑미의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품질 측정은 수분활성도, 지방산도, 저장 중 무게변화, 색도변화, 경도변화, Hexanal 생성량, 지방산의 변화등을 측정하였다. 수분활성도는 초기 0.642이였는데 저장 8개월까지 거의 변화가 없었다. 지방산도는 포장재가 두꺼울수록 적게 변하였고, PE보다는 PP가 적게 변했지만 PE/PP 접착필름이 가장 적게 변하였다. 색도의 경우 초기 L, a, b값이 각각 15.6, 5.2, -1.6이였는데 저장 8개월까지 L값이 약간 증가했으나 포장재간의 차이는 거의 없었으며 초기 색도와도 거의 차이가 없었다. 경도도 초기 값보다 약간 증가했으며 PE와 PP를 적층한 포장재로 포장된 시료가 저장 8개월 후에 가장 변화가 적었으며 0.05 mm PE가 가장 많이 변하였다. Hexanal의 생성량은 PE와 PP를 적층한 것이 가장 적었으며 0.05 mm PE가 가장 많았다. 또한 지방산중 linoleic acid의 변화량도 PE와 PP를 접착한 필름이 가장 적었으며 0.05 mm PE가 가장 많았다. 전반적으로 가장 양호한 포장재는 PE와 PP를 적층한 필름이었으나 포장재간의 차이는 적었다.

  • PDF

탄산가스 포장에 의한 신선돈육의 저장성향상에 관한 연구 (Effect of $CO_{2}$ Gas Packaging on the Shelf-life of Refrigerated Pork Cuts)

  • 김용수;김윤지;유익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6-249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돈육의 저장기간연장을 위한 방법으로 $CO_{2}$를 이용하여 저장성을 연장시키고 포장내부에 충전되는 탄산가사의 적절한 양을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에 이용된 포장재는 가스투과도가 현저하게 낮은 필름(EVOH필름 ; Nylon/EVOH/PE, 두께 ; $80\mu$, 탄산가스투과도 ; 1 $cc/cm^{2}{\cdot}24\;hrs{\cdot}atm$)을 이용하였으며 시료와 탄산가스의 부피를 각각 1 : 1, 1 : 3, 1 : 5의 비율로 주입하였다. 포장된 시료는 $4{\pm}1^{\circ}C$의 냉장고에 보관하며 총균수, TBA가, 색도, 관능검사 등을 분석하여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시험결과 총균수의 경우 진공포장에서는 저장 24일만에 $4.6{\times}10^{6}\;CFU/cm^{2}$까지 증가하였으나 가스포장육에서는 $4.5{\times}10^{5}\;CFU/cm^{2}$에 도달하였으며 진공포장처리구와 동일한 수준까지 도달하는데 7일이 더 소요되었다. TBA가는 가스포장에 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고 L값 및 a값 에서도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그리고 황색도는 가스포장처리구가 진공포장처리구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색도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냄새 및 신선도에서 진공포장처리구 보다 가스포장처리구가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CO_{2}$ 가스포장처리는 진공포장 처리보다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그리고 관능적으로 양호하게 평가되었고 가스충전비율에 의한 차이는 발생되지 않았다.

  • PDF

화분발효물을 함유한 Gelidium corneum - 젤라틴 혼합필름의 항균활성과 돈육의 포장재 적용 (Antimicrobial Activity of a Gelidium corneum - Gelatin Blend Film Containing Fermented Pollen Extract and Its Application in the Packaging of Pork Loins)

  • 홍윤희;임금옥;송경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91-395
    • /
    • 2009
  • 화분발효물(FPE)을 함유하는 Gelidium corneum - 젤라틴(GCG) 필름을 제조하여 돈육의 포장재로 사용하였다. FPE를 첨가한 GCG필름의 투습계수는 대조구 필름 보다 향상되었고 FPE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Escherichia coli O157:H7와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효과는 증가하였다. 특히, 0.15% FPE 첨가는 E. coli O157:H7와 L. monocytogenes에 대해 대조구 대비 각각 2.98 and 3.68 Log CFU/g 감소시켰다. 또한 돈육 시료를 E. coli O157:H7 와 L. monocytogenes로 접종시킨 후 GCG 필름으로 포장한 후 저장 중 미생물 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0.15% 화분발효물이 첨가한 GCG 필름으로 포장 시 E. coli O157:H7와 L. monocytogenes 숫자가 저장 4일 후 대조구 대비 각각 1.49, 1.01 Log CFU/g 더 감소시켰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0.15% 화분발효물이 첨가한 GCG 필름으로 포장한 돈육의 유통기한이 증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troduction to the Technology, Applications, Products, Markets, R&D, and Perspectives of Nanofoods in the Food Industry

  • Kim, Dong-Myong;Lee, Gee-D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1권4호
    • /
    • pp.348-357
    • /
    • 2006
  • Nano is a unit that designates a billionth; accordingly nanotechnology could be described as the study and applications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phenomena of nanometer size materials. Applications of nanotechnology fall into two categories (one is top-down and the other is bottom-up). Currently, most products are the results of the top-down approach. Nanofoods have distinct functional characteristics stemming from the size, mass, chemical combinations, electrolytic features, magnetic properties of food sources at the nano level and which can be applied for safe absorption and delivery into the body. The greatest advantage of nanofood is that it permits the efficient use of small quantities of nutritional elements by increasing digestive absorption ability and by delivering natural elements without any change in their original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till unsolved problems, such as questions about safety and introduction of harmful material. The demand for new commercial food products is increasing, and commercial food producers are gradually combining nanotechnology and traditional food preparation methods. Nanofoods will improve our eating habits remarkably in the future. Tomorrow we will design nanofoods by shaping molecules and atoms. It will have a big impact on the food and food-processing industries. The future belongs to new products and new processes with the goals of customizing and personalizing consumer products. Nanotechnology is expected to be applied to not only foods themselves, but also to food packaging, production, safety, processing and storage. Also, it is believed that nanotechnology will be applied tracking finished products back to production facilities and even to specific processing equipment in those facilities. The aim of this study is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y, applications, products, markets, R&D, and perspectives of nanofoods in the food industry.

레토르트 삼계탕의 포장 개선을 위한 연구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Packaging of Retorted Samgyetang)

  • 이진환;이근택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49-54
    • /
    • 2009
  • 레토르트 삼계탕은 장기간 저장되는 제품이므로 포장 불량률을 가능한 한 최소화하는 것이 품질 안전과 소비자 식중독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중요한 사안이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현행 사용되는 삼계탕용 포장재를 이용하여 저장 시험을 병행하되 기존 포장재의 물성을 표준화하고, 아울러 포장작업시 가능한 한 포장내 잔존산소량이 낮게 유지되는 포장방법을 동원하고, 봉함부위가 오염되지 않도록 유의하며 멸균 후 열봉함강도가 낮아지는 것을 감안하여 포장재 스펙을 결정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가능한 한 포장내 잔존산소량을 줄이기 위하여 포장내 headspace를 줄이거나 질소 등 비활성기체를 주입 후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그러나 현행 업계에서 삼계탕을 질소치환포장하는 것이 공정의 속도와 운용비용 등을 고려할 때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삼계탕 포장시 육수의 충진온도는 최소한 85이상 가열된 상태로 주입하고, 주입시 열봉함부위가 오염되지 않도록 유의하며, 필요하면 guide bar등과 같은 보조 장치를 설치하거나 파우치 밀봉 전 headspace를 압착하는 기술, 그리고 파우치 하부의 유사핀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대를 설치하여 육수를 충진하는 기술 등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멸균 처리 후 봉함강도가 감소하는 만큼 이를 감안하여 포장재의 선택과 포장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아까시 꽃 추출물을 첨가한 성게 껍질 필름의 제조 (Preparation of Sea Urchin Skeleton Film Containing Robinia pseudoacacia Flower Extract)

  • 양현주;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78-78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폐기되는 성게 껍질을 이용한 생분해성 필름소재를 개발하고자 gelatin을 첨가한 복합필름 및 항산화,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해 아까시 꽃 추출물(RFE)을 첨가한 필름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gelatin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성게 껍질 필름의 인장강도가 증가하였고 신장률이 감소하였으며, 성게 껍질과 gelatin을 8:2 비율로 첨가하였을 때 최적의 물성을 보였다. 또한, 필름에 RFE를 첨가함에 따라 인장강도는 감소하였으나 신장률과 필름 투습도는 증가하였다. RFE 함유 성게 껍질 필름의 ABTS,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과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및 항균 능력을 측정하였는데, RFE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항균 능력이 향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RFE를 첨가한 생분해 성게 껍질 필름은 적절한 물성과 함께 항산화, 항균 능력이 있기에 가공식품의 저장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능성 포장 소재로의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Development of Antimicrobial Edible Film from Defatted Soybean Meal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 KIM , HYUNG-WOOK;KIM, KYUNG-MI;KO, EUN-JUNG;LEE, SI-KYUNG;HA, SANG-DO;SONG, KYUNG-BIN;PARK, SANG-KYU;KWON, KI-SUNG;BAE, DONG-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6호
    • /
    • pp.1303-1309
    • /
    • 2004
  • In order to extend shelf-life of the packaged or coated foods, an antibacterial edible film was develope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9 bacteriocin-like substance (BLS)­producing strains were evaluated after growing them on defatted soybean meal medium (DSMM). Bacillus subtilis was selected among those, because it showed the biggest inhibition zone against 6 problem bacteria in food. The antimicrobial edible film, containing $0.32\%$ of BLS, was produced from the fermented soybean meal with B. subtilis at the optimum condition of pH 7.0-7.5 and $33^{\circ}C$ for 33 h.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film was over $50\%$ of the maximum activity after film production with heat treatment at $90^{\circ}C$ and pH adjustment to 9. When the soy protein film with BLS was applied on the agar media containing E. coli, the growth inhibition was much higher than the ordinary soy protein fil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oy protein film with BLS from B. subtilis can be used as a new packaging material to extend the shelf-life of foods.

Poly(lactic acid)와 Nanomer®I.44P를 이용한 친환경 나노복합체 개발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Friendly Nanocomposites using Poly(lactic acid) and Nanomer®I.44P)

  • 조원주;황기;김준태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77-84
    • /
    • 2014
  • PLA와 nanoclay인 Nanomer$^{(R)}$ I.44P를 이용한 환경 친화적인 nanocomposites을 개발하였다. PLA/Nanomer$^{(R)}$ I.44P nanocomposites의 상온 건조 후 잔존하는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진공건조를 하였으며, 진공건조 시간이 8시간 까지는 신장율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Nanoclay가 PLA matrix내에서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초음파 처리를 하였으며, 초음파 처리시간이 5분까지는 인장강도 및 영모듈러스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5분 이상의 초음파 처리에서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인장 특성도 점차 감소하였고, 특히 15분 이상 초음파 처리를 하였을 때에는 nanoclay가 뭉치는 현상이 관찰 되었다. Nanoclay의 양이 증가할수록 nanocomposites의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투과성(trasmittance)은 62.5%에서 7.8%로 크게 감소하였다. Water vapor permeability (WVP)는 nanoclay의 첨가량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5%의 nanoclay 첨가 시 $3.5{\times}10^{-11}g{\cdot}m/m^2{\cdot}s{\cdot}Pa$로 control에 비해 약 43%가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