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cluster

검색결과 440건 처리시간 0.034초

3T3-L1 세포의 지방세포형성과정에서 Baicalin에 의한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 분석 (Effects of Baicalin on Gene Expression Profiles during Adipogenesis of 3T3-L1 Cells)

  • 이해용;강련화;정상인;조수현;윤유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4-63
    • /
    • 2010
  • Flavonoid 계열의 한 종류인 baicalin은 항염증, 항암, 항바이러스, 항세균 등의 효능을 가진다. 본 연구진은 선행연구를 통한 이전의 보고에서 baiclain이 adipogenesis pathway(지방세포 형성 경로)의 anti-adipogenic(지방세포 형성억제)과 pro-adipogenic(지방세포 형성 유도) factor들을 조절함으로써 비만 및 adipogenesis를 억제함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microarray 기술을 이용하여 3T3-L1 세포에서 baiclain이 유도하는 지방세포 형성 억제 효과에 대한 분자적 기작을 보다 상세하게 연구하고자 하였다. 지방세포의 분화 시간(0일, 2일, 4일 및 7일)과 분화 시 baicalin의 처리 유무에 따라 유전자 발현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해당 시료들을 microarray에 적용하였다. Microarray 결과로부터 2배이상의 변화가 있는 3972개의 유전자를 확보하였다. 그 유전자들의 발현 양상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hierarchical clustering 분석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로 20개의 cluster를 분류할 수 있었다. 그들 중 4개의 cluster는 분화의 전반적인 기간에서 baicalin의 첨가에 의해 뚜렷하게 상승(cluster 8과 cluster 10)하거나 반대로 뚜렷하게 감소(cluster 12와 cluster 14)하는 양상을 보였다. Cluster 8과 cluster 10에는 CHOP(CCAAT/enhancer-binding protein homologous protein), INSIG1(insulin induced gene 1), WISP2(WNT1 inducible signaling pathway protein 2), ADM(adrenomedullin), CCND2(cyclin D2), GRN(granulin) 및 TGFB3(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3)과 같은 세포 증식과 지방세포 형성 억제를 상승시키는 유전자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반대로 cluster 12와 cluster 14에는 세포 증식 억제, 세포 주기 억제 및 세포 성장 억제와 연관되거나 지방세포를 유도하는 유전자인 LTA(lympotoxin A), ACADSB(acyl-Coenzyme A dehydrogenase, short/branched chain), HMGCS2(3-hydroxy-3-methylglutaryl-Coenzyme A synthase 2), IGFBP7(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7), MERTK(c-merproto-oncogene tyrosine kinase), RASSF2(ras association(RalGDS/AF-6) domain family 2), RHOU(ras homolog gene family, member U) 및 SESN1(sestrin1) 등이 포함되었다. 결론적으로 baicalin은 세포 증식 및 지방세포 형성과 연관된 유전자들을 조절함으로써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baicalin이 유도하는 지방세포 형성 억제 및 비만 억제 효과의 분자적 기작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시한다.

산업클러스터 효과 추정 방법에 관한 연구 : 국가식품클러스터조성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How to Measure the Agglomeration Effects of Industrial Cluster : A Case Study of the FOODPOLIS ( KOREA NATIONAL FOOD CLUSTER ))

  • 김정욱;김석영;양승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2-62
    • /
    • 2012
  • 이 논문에서는 지역별 산업별로 다양하게 추진되고 있는 '산업클러스터' 조성에 있어 사전 타당성의 중요성과 클러스터 효과 추정 방법론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가식품클러스터 조성 사례를 중심으로 이러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산업클러스터의 경우 집적 및 HW시설 및 SW지원을 통한 혁신으로 인해 개별 입지해 있던 혹은 개별 입지하게 될 중소기업의 생산성이 혁신 클러스터 입주 후 입주기업간 혹은 지원기관간 하나의 대기업과 같은 네트워크 활동을 통해, 대기업의 효율성 수준으로 증가함을 가정하여 이들의 차이인 부가가치 증가분을 클러스터 효과 즉 생산성 제고로 계량하는 모형을 가정하였다. 이러한 모형 설정에 대한 실증분석을 위해 개별 기업 집적을 위한 산업단지 조성, 연구개발을 위한 지원시설로서의 6개 HW시설과 4개 SW지원 계획을 포함하고 있어 클러스터의 구성요소가 모두 포함된 '국가식품 클러스터'를 사례로 선정하였다. 식품산업에 있어 클러스터 입주 후 각 개별기업은 3.84%만큼의 부가가치 개선 효과를 얻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논문에서 산정한 집적을 통한 생산성 제고 효과 즉 산업클러스터 효과가 구현되고 증진되기 위해서는 산업단지 계획 수립 및 각 부처 혹은 지자체의 각종 클러스터 조성에 대한 사전 전략과 계획 수립에 있어 면밀한 검토 및 계획 수립이 필요할 것이다.

  • PDF

일본소비자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른 HMR 제품 시장세분화 (Segmentation of the Home Meal Replacement Product Market by Food-Related Lifestyle of Japanese Consumers)

  • 박시은;이나영;홍완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92-502
    • /
    • 2016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segments of the Home Meal Replacement (HMR) market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of Japanese consumers, and to investigate i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HMR purchase status and needs of new HMR product development. Methods: A total of 2,720 domestic consumers living in Japan were survey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488 responses were returned. Excluding responses with significant missing data, 467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three consumer segments were identified. The diet-highly concerned segment had the highest food-related lifestyle score, followed by the diet-moderately concerned segment, and the diet-unconcerned segment (p<0.001).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mong the three segments was found with respect to the type of residence (p<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ain place (p<0.01) and average expense (p<0.001) for HMR purchases by food-related lifestyle segments. In the case of new HMR products that need further development, 'low-sodium products' had the highest demand scores in all three segments. In the diet-highly concerned segment, the mean scores of demand for new produ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other segments (p<0.001).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new products for the Japanese' HMR market. The segments identified in this study should be updated and revised regularly to reflect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ood-related lifestyle segment.

중국 연변 조선족의 한국전통 일상음식에 대한 선호도에 섭취빈도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y of Daily Korean Traditional Food of China-Korean in Yanbian Area)

  • 박영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0-8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ptional patterns of Korean traditional food and to compare the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ies of daily traditional Korean food among the identified perceptional patterns in the Yuabian area. Data were collected from 261 Korean housewives in Yanbian and underwent cluster and group mean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wo different patterns: tradition-oriented vs. modem-oriented. Descriptive statistics showed that perceptional patterns are likely to vary depending on socio-demographic background as well as the preference and intake frequencies of daily traditional foo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se perceptional patterns, the preference and the intake frequencies of traditional daily food are discussed, and future implications for food nutritionists and Asia marketers are presented.

한국전통음식과 식생활 문화에 대한 인식차원 및 유형 - 연변 조선족 주부와 한국 주부에 대한 비교적 접근 - (Perceptional Dimensions and Patterns of Korean Traditional Food and Culture - Comparisons Between Yanbian and Korean Housewives -)

  • 정영숙;박영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46-45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mensions and patterns of the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and to find the determinants of the patterns between Korean and Yanbian housewives, taking food culture into account. Data were factor and cluster analyzed, and the results revealed two and three different dimensions and patterns for Yanbian and Korean housewives respectively. Descriptive statistics showed that perceptional patterns are likely to vary depending on cultural background of Korean traditional foo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al patterns between Yanbian and Korean housewives are discussed, and future implications for food as well as nutrition specialists and food marketers are provided.

한국 40세 이상 남성의 식이패턴과 비만 요인들의 상대적 위험도 (Relative Risk of Dietary Patterns and Other Obesity Factors in Korean Males above 40 Years of Age)

  • 곽창근;박준형;이민아;김은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753-175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식이패턴의 차이가 BMI 25 이상의 비만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지 구명하였다.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으로 일환으로 수행된 안성-안산 코호트 연구의 식품섭취빈도 자료에 대해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3개의 식이패턴 군집을 도출하였다. 3개의 식이패턴은 '다양성', '잡곡', 그리고 '쌀밥' 식이패턴이다. 식이패턴, 나이, 열량섭취량, 소득, 교육수준, 흡연여부, 음주량, 고강도 활동 시간, 직업 변수들을 비만 발병률에 대한 Cox Hazard Model을 회귀분석 실시한 결과 식이패턴변수는 비만 발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식이패턴보다는 나이, 섭취 열량, 소득, 고강도 활동시간, 직업 요인들이 비만 발병에 유의성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hanges in Fruit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by Fruit Clusters in June-bearing Strawberry Cultivars

  • Kim, Sung-Kyeom;Bae, Ro-Na;Na, Hae-Young;Song, Jeong-Hwa;Kang, Ho-Jong;Chun, Chang-Hoo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4호
    • /
    • pp.378-384
    • /
    • 2012
  • Three Korean-bred strawberry cultivars 'Maehyang', 'Seolhyang', and 'Keumhyang', and a Japanese cultivar 'Tochiotome' were grown in a greenhouse and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Fruit weight of 'Seolhyang' and 'Keumhyang' in the first and second fruit clusters were greater than those of other cultivars and that of 'Tochiotome' was the greatest in the fifth fruit cluster. Fruit firmness generally decreased at later fruit clusters, and was the lowest in 'Seolhyang'. The sugars/organic acids ratios in the first and third fruit clusters of 'Maehyang' were 4.9 and 8.0, respectively, representing the highest values among all cultivars. The ascorbic acid content was the greatest in the second fruit cluster for 'Seolhyang', 'Keumhyang', and 'Tochiotome' cultivars and that of 'Maehyang' was the greatest at the third fruit cluster. The anthocyanin content was higher in later fruit clusters and was the highest in 'Keumhyang'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Korean cultivars bred for the plastic protected culture, which are intended for very early harvest, showed more desirable physical characteristics in the first and second fruit clusters, while the content of anthocyanin was greater in the fruits from later fruit clusters.

다차원 데이터의 군집분석을 위한 차원축소 방법: 주성분분석 및 요인분석 비교 (A dimensional reduction method in cluster analysis for multidimensional dat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comparison)

  • 홍준호;오민지;조용빈;이경희;조완섭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5-143
    • /
    • 2020
  • 본 논문은 농식품 소비자패널 데이터에서 소비자의 유형을 나눌 때에 변수간 연관성이 많은 장바구니 분석에서 전처리 방법과 차원축소의 방법을 제안한다. 군집분석은 다변량 자료에서 관측 개체를 몇 개의 군집으로 나눌 때 널리 사용되는 분석기법이다. 하지만 여러 개의 변수가 연관성을 가진 경우에는 차원축소를 통한 군집분석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논문은 1,987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식품소비 데이터를 K-means 방법을 사용하여 군집화하였으며, 군집을 나누기 위해 17개의 변수를 선정하였고, 17개의 다중공선성 문제와 군집을 나누기 위한 차원축소의 방법 중 주성분 분석과 요인분석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성분분석과 요인분석 모두 2개의 차원으로 축소하였으며 주성분분석에서는 3개의 군집으로 나뉘었지만 분석하고자 하였던 소비 패턴에 대한 군집의 특성이 잘 나타나지 않았으며 요인분석에서는 분석가가 보고자 하는 소비 패턴의 특징이 잘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