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llicle number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9초

생쥐 난소내 Fas 및 Fas Ligand의 발현과 세포자연사 (Apoptosis and Expression of Fas nnd Fas Lignnd Genes in Mouse Ovary)

  • 윤정미;윤현숙;양현원;김세광;조동제;윤용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7권1호
    • /
    • pp.15-22
    • /
    • 2003
  • Fas는 세포자연사를 유도하는 세포 표면 수용체 단백질로서 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Fas mRNA는 림프조직뿐만 아니 라 비 림프조직에서도 발현한다. 한편 대다수의 난포들은 세포자연사와 연관된 기 작을 통해 난포폐쇄로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난포폐쇄에 관한 기작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생쥐의 난소의 과립세포와 난자에서 Fas와 Fas ligand의 발현 여부를 알아보고, Fas와 Fas ligand발현과 난포폐쇄와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RT-PCR을 수행한 결과, 난소내 과립세포와 난자에서 Fas와 Fas ligand mRNA가 모두 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결과 또한, 원시 난포를 제외한 모든 발달 중인 난포의 과립세포와 난자들에서 Fas와 Fas ligand가 검출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폐쇄를 보이는 난포에서 강한 발현을 보였다. 한편, 난소에서 세포자연사를 확인하기 위해 TUNEL 염색을 수행한 결과, TUNEL 양성을 보이는 과립세포와 난자의 수는 건강한 정상 난포에 비해 폐쇄난포에서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난소내 과립세포와 난자에서 Fas와 Fas ligand 발현과 난포폐쇄와 상관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Fas와 Fas ligand가 생쥐 난소내 난포폐쇄 유발에 관여하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골든 햄스터의 생식내분비계에 미치는 멜라토닌의 영향 (Effects of Melatonin on the Reproductive Endocrine System in Male Golden Hamsters)

  • 최돈찬;우대균;임시내
    • 환경생물
    • /
    • 제20권3호
    • /
    • pp.224-231
    • /
    • 2002
  • 광주기(하루 중 빛의 길이)는 골든 햄스터의 생식을 조절하는 주된 요인이다. 광주기 정보는 멜라토닌을 통하여 생식 내분비계로 전달된다. 따라서 멜라토닌이 생식에 미치는 효과를 여러 광주기에 노출시킨 햄스터에서 조사하였다. 단주기(하루 중 12시간 이하의 조명)에 노출시킨 동물들과 저녁에 멜라토닌을 주사한 동물들의 정소 무게는 현저하게 줄어들었으나, 장주기 (하루 중 12.5시간 이상의 조명)에 유지된 동물과 오전에 멜라토닌을 투여한 동물들의 정소 무게는 줄어들지 않았다. 퇴화된 정소를 조직학적으로 조사한 결과, 세정관 직경이 감소되었고, 세정관내 세포수가 두드러지게 줄어들었다. 또한 생식 능력이 퇴화된 동물의 혈중 여포자극호르몬과 황체호르몬의 수준도 생식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동물에 비해 뚜렷하게 감소하였다. 멜라토닌 수용체가 역전사 polymerase chain reaction으로 동정되었고 조직특이성 또한 조사하였다. 동정된 멜라토닌 수용체는 309염기였으며, 시상하부와 뇌하수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기에서 발현되었다. 생식을 조절하는 핵심 물질인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GnRH) 유전자의 발현 또한 동정되었다. 그러나 멜라토닌 처리와 광주기 처리는 GnRH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종합하면, 광주기의 효과는 멜리토닌을 경유하여 발휘되며, 멜라토닌은 GnRH유전자의 발현보다는, 생성된 GnRH의 분비에 영향을 미쳐 생식내분비계에 간접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면역형광측정법에 의한 우수정란의 성 판별 (Immunofluorescent Detection of H-Y Antigen on Preimplantation Bovine Embryos)

  • 고광두;양부근;박연수;김정익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3-120
    • /
    • 1989
  • In order to determine the sex of preimplantation embryos prior to transfer in cattle,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45 Holstein donor cows to examine the ovarian response on the gonadotropin and PGF2${\alpha}$, and the morphology of fresh embryos or frozen/thawed embryos after deep freezing at -196$^{\circ}C$. The sexing of embryos treated with the medium containing H-Y antiserum(10%, v/v) and FITC anti-mouse IgG(10%, v/v) were analysed by chromosomal analysis, and the sex of the embryos which survived were ascertain after delivering the pup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average number of developed follicle and corpus luteum per cow were 13.5 and 8.1, and the ovalation rate was 60.1%. 2. Of 220-ova recovered, 75(34.1%) were morula and 91(41.4%) were blastocyst, and the morphological normal and abnormal rate of ova recovered were 75.5% and 24.5%, respectively. 3. Of 39 frozen/thawed embryos, the scores of normal morula and blastocyst, after thawing were 79.2%(19/24) and 73.3%(11/15). The average rate of frozen/thawed embryos which appeared morphologically normal post thawing was 76.9%(30/39). 4. The sex ratio was measured using the embryos treated with immunofluorescence assa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mbryo developmental stage, sex ratio of morula stage embryo was 42.2%(19/45) fluorescing and 57.8%(26/45) non-fluorescing, on the other hand, the ratio switched to 46.8%(29/62) fluorescing and 53.2%(33/62) non-fluorescing embryo in blastocyst stage. The sex ratio was also measured between fresh and frozen/thawed embryos, fresh and frozen/thawed treated embryos were indicated 45.8%(38/83) fluorescing, 54.2%(45/83) non-fluorescing and 41.7%(10/24) fluorescing, 58.3%(14/24) non-fluorescing. This trend indicated the approximal sex ratio was 1 : 1. 5. The result of karyotype test showed the successful rate of sexing embryo is fluorescing and non-fluorescing was 21.2%(7/33) and 29.6%(8/27). The female to male ratio within 33 fluorescing was 28.6 : 71.4, and the ratio of 27 non-fluorescing embryos was 87.7 : 12.5. 6. Of the embryo transferred after assignment of H-Y phenotype, five of the fluorescing embryos survived to term, all was males. Whereas six non-fluorescing embryos also survived to term and the sexes of the calves were 1 male 5 female.

  • PDF

PCR-SSCP Polymorphism of Inhibin ${\beta}_A$ Gene in Some Sheep Breeds

  • Chu, M.X.;Xiao, C.T.;Fu, Y.;Fang, L.;Ye, S.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7호
    • /
    • pp.1023-1029
    • /
    • 2007
  • Inhibins participate in the regulation of pituitary follicle-stimulating hormone synthesis and secretion, follicular maturation and steroidogenesis in the female. Inhibin ${\beta}_A$ gene (INHBA) was studied as a candidate gene for the prolificacy of shee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of the entire coding region and partial 3' untranslated region of INHBA were detected by PCR-SSCP in two high fecundity breeds (Small Tail Han and Hu sheep) and six low fecundity breeds (Dorset, Texel, German Mutton Merino, South African Mutton Merino, Chinese Merino and Corriedale sheep). Only the PCR products amplified by primers 3, 4 and 5 displayed polymorphisms. For primer 3, genotype CC was only detected in Chinese Merino sheep, genotype AA was detected in the other seven sheep breeds. Genotype BB was only detected in Hu sheep. Only Hu sheep displayed polymorphism. Eight or four nucleotide mutations were revealed between BB or CC and AA, respectively, and these mutations did not result in any amino acid change. For primer 4, genotypes EE, EG and GG were detected in Dorset and German Mutton Merino sheep, genotypes EE, EF and FF were detected in Chinese Merino sheep, only genotype EE was detected in the other five sheep breeds. Only Dorset, German Mutton Merino and Chinese Merino sheep displayed polymorphism. Sequencing revealed one nucleotide mutation ($114G{\rightarrow}A$) of exon 2 of INHBA gene between genotype FF and genotype EE, and this mutation did not cause any amino acid change. Another nucleotide change ($143C{\rightarrow}T$) was identified between genotype GG and genotype EE, and this mutation resulted in an amino acid change of $serine{\rightarrow}leucine$. For primer 5, genotypes KK and KL were detected in German Mutton Merino and Corriedale sheep, genotypes KK, LL and KL were detected in the other six sheep breeds. Genotype MM was only detected in Hu sheep. All of these eight sheep breeds displayed polymorphism. Sequencing revealed one nucleotide mutation ($218A{\rightarrow}G$) of exon 2 of the INHBA gene between genotype LL and genotype KK, and nine nucleotide mutations between genotype MM and genotype KK. These mutations did not alter amino acid sequence. The partial sequence (395 bp for exon 1 and 933 bp for exon 2) of the INHBA gene in Small Tail Han sheep (with genotype KK for primer 5) was submitted into GenBank (accession number EF192431). Small Tail Han sheep displayed polymorphisms only in the fragment amplified by primer 5. The Small Tail Han ewes with genotype LL had 0.53 (p<0.05) or 0.63 (p<0.05) more lambs than those with genotype KL or KK, respectively. The Small Tail Han ewes with genotype KL had 0.10 (p>0.05) more lambs than those with genotype KK.

돼지의 폐쇄여포내 스테로이드 수용체의 변화와 여포액내 생식소자극 호르몬의 활성도 변화 1. 활성적 Testosterone의 농도 (Changes in Steroid Receptor Number of and Bioactivity of Gonadotropin in the Follicular Fluid of Porcine Ovafian Atretic Follicles I. Bioavailable Testosterone)

  • 윤용달;이창주;전은현;이주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81-289
    • /
    • 1989
  • 포유동물의 생식주기중 대부분의 여포는 폐쇄되고 극히 일부만 배란된다. 돼지의 폐쇄여포액내에는 다량의 androgen이 존재하며 이들이 폐쇄의 한 요인이라는 결과로 보아 폐쇄여포액내에는 다량의 활성적 testosterone이 존재할 것으로 추론하고 이를 정량하고져 하였다. 사람의 여포액내 progesterone, testosterone, estradiol, androstenedion과 dihydrotestosterone의 농도를 본 연구에서 정립된 섬광면역측정법 및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사람의 폐쇄된 여표액내 T,A.DHT의 농도는 소, 중, 대 여포 공히 정상의 여포액내 이들 스테로이드의 농도보다 현저히 증가되어 있었다. 그러나 소여포의 경우 폐쇄여포액내 A의 농도는 정상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반면 P와 E의 폐쇄여포액내 농도는 정상에 비해 현저히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돼지의 소, 중, 대의 폐쇄여포액내 P의 농도는 정상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의 경우 역시 각 각의 크기를 가진 폐쇄여포액에서 정상 여포액 농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그러나 E의 경우는 폐쇄여포액내 농도가 정상에 비해 편저히 낮게 나타났다. 한편 여포액내 활성적 T의 점유율은 혈청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즉 bioavailable T는 정상과 폐쇄여포액내에서 각기 90% 이상을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동물중, 크기에 따라 폐쇄의 요인은 다른 것으로 사료되며 폐쇄여포액내 활성적 androgen의 농도는 정상에 비해 높고 또한 E의 농도는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포액내 대부분의 스테로이드는 활성형의 상태로 존재하며 활성적 T는 폐쇄여포의 판정에 주요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Gametogenic Cycle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Biological Minimum Size in Protothaca (Notochione) jedoensis (Bivalvia: Veneridae) in Western Korea

  • Park, Kwan-Ha;Chung, Ee-Yung;Lee, Chang-Hoon;Kim, Sung-Han;Kim, Sung-Yeon;Seo, Won-Jae;Ryu, Dong-Ki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1-271
    • /
    • 2011
  • The gametogenic cycle, the spawning season and the biological minimum sizes in female and male Protothaca (Notochione) jedoensis were investigated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In females, monthly changes in the percents of the follicle areas to the ovarian tissue areas and the percents of the oocyte areas to the ovarian tissue areas increased in February and reached the maximum in April,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from May to July, with the spawning peak between June and July. In males, monthly changes in the percents of the testicular tissue areas to total tissue areas and the percents of the spermatogenic stage areas to the testicular tissue areas increased in February and reached the maximum in April, and then showed a rapid decrease from May to July. From these data, it is apparent that the number of spawning seasons in female and male P. (N.) jedoensis occurred once a year, from May to July. Therefore, P. (N.) jedoensis in both sexes showed a unimodal gametogenic cycle during the year. Compared the gametogenic cycle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in 2007 with the previous qualitative results of this species, the results of the gametogenic cycle calculated by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some differentiations in the spawning seasons evaluated by the gonad index by qualitative histological analysis. The intervals of the beginning of two spawning seasons showed one month between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The biological minimum sizes (considering to 50% of group sexual maturity) in female and male clams by quantitative analysis of this species are 32.01 mm in shell length in females and 30.58 mm in male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mean shell length fitted to von Bertalanffy's equation, 30.58 and 32.01 mm in shell length were considered to be two years old. Therefore, we assume that both sexes of this population begin reproduction from two years of age.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의 난자형성과정에 관한 미세구조적 기재 (Ultrastructural Description on Oogenesis of the Melania Snail,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 (Gastropoda: Pleuroceridae))

  • 김은경;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45-151
    • /
    • 2009
  • 담수 복족류인 다슬기, 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의 난자형성과정 동안 생식세포의 미세구조 변화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난소는 나탑 후방부의 간췌장의 표면에 위치하며, 성숙시기에는 녹색을 나타내었다. 난소는 다수의 난자형성소낭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난자형성과정은 5단계로, 난원세포기, 난황형성전기, 난황형성개시기, 난황형성활성기, 성숙기로 구분하였다. 난원세포는 직경 $4-6\;{\mu}m$의 원형으로 커다란 핵을 가진다. 난황형성전기의 난모세포는 직경이 약 $20\;{\mu}m$이며, H-E 염색에서 세포질은 호염기성을 나타냈다. 난황형성개시기의 난모세포는 직경 $60-80\;{\mu}m$ 내외로 세포질에는 전자밀도가 낮은 난황과립들을 가지며, 난병에 의하여 난자형성소낭에 연결되어 있었다. 난황형성 활성기의 난모세포는 직경 $100-120\;{\mu}m$로 난황과립의 전자밀도, 크기, 양이 증가하였으며, 세포질에는 골지체, 미토콘드리아, 조면소포체들이 발달하였다. 성숙기 난모세포의 세포질 대부분은 전자밀도가 높은 단백질성의 난황과립들로 채워져 있었으며, 난막에서는 길이 약 $1.1\;{\mu}m$의 미세융모가 관찰되었다.

  • PDF

돼지 난포란 유래 체외수정란 생산에 대한 제요인의 영향 IV. 체외발달 배양액의 종류와 배양액 교체가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Factors on In Vitro Production of Embryos from Antral Follicle-Derived Porcine Oocytes IV. Effects of Development Media and Those Change on In Vitro Development)

  • 연성흠;최선호;조창연;한만희;손동수;이규승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75-282
    • /
    • 2004
  • 본 연구는 체외성숙/체외수정 유래의 돼지 난자를 이용하여 체외발달시 배양액의 종류나 교체에 따른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mNCSU-23에서 체외성숙시킨 다음 mTBM에서 체외수정시킨 난자를 목적에 따라 두 가지로 나누어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외성숙/체외수정란을 NCSU-23에서 배양액 교체없이 7일 동안 배양하거나 CZB에서 4일 배양한 다음 Pig-MEM으로 옮겨서 나머지 3일간 배양한 결과, 난분할율은 배양액간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추정수정란대 배반포 발달을(P<0.05)과 분할란대 배반포 발달율은 NCSU-23에서 배양된 것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그러나 배 반포의 ICM 세포수, TE 세포수 및 총세포수에서는 모두 차이가 없었다. 2. 체외성숙/체외수정란를 NCSU-23에서 배양액 교체없이 7일 동안 배양하거나 체외배양 5일째에 신선한 동일 배양액이나 0.4% BSA를 10% FBS로 대체한 배양액(mNCSU-23F)으로 완전히 교체하여 배양한 결과, 난분할율, 배반포발달율, 배반포의 ICM 세포수, TE 세포수 및 총세포수 모두 처리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NCSU-23이 CZB/Pig-MEM보다 체외성숙/체외수정 유래의 난자를 체외발달시키는데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며, 체외발달배양 과정에 신선한 배양액이나 일부 변경된 배양액으로의 교체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linical analysis and review of literature on pilomatrixoma in pediatric patients

  • Hu, Ju Long;Yoo, Hyokyung;Kwon, Sung Tack;Kim, Sukwha;Chung, Jee Hyeok;Kim, Hyeonwoo;Kim, Jinhyun;Yu, Na Hee;Kim, Byung Jun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288-293
    • /
    • 2020
  • Background: Pilomatrixoma is a benign tumor that originates from the hair follicle matrix. It usually presents as a hard, slow growing, solitary mass that can be easily misdiagnosed as other skin mass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inically analyze a case series of pilomatrixoma in pediatric patients from Korea. Methods: A total of 165 pediatric patients from 2011 to 2018 with a histological diagnosis of pilomatrixoma were included.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using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including patient demographics, number and location of the mass, clinical and imaging presentation, and postoperative outcomes. Results: There were 61 male and 104 female patients with 152 solitary and 13 multiple pilomatrixomas. Among solitary pilomatrixomas, the lesion commonly occurred in the head and neck (84.2%), followed by upper limbs (11.2%), lower limbs (3.3%), and trunk (1.3%). The pilomatrixoma lesion presented as the following types based on our clinical classification: mass (56.02%), pigmentation (25.31%), mixed (12.65%), ulceration (4.82%), and keloid-like (1.2%). Ultrasonography showed a high positive predictive value (95.56%). There were no specific complications observed except for two cases of recurrence. Conclusion: Pilomatrixoma has various clinical feature presentations and commonly occurs in the head and neck. Ultrasonography is a helpful diagnostic tool. Surgical removal of the lesion is the main treatment method with a low recurrence rate.

감마선에 조사된 생쥐 난포 과립세포의 세포주기 분석 (Cell cycle evaluation of granulosa cells in the $\gamma$-irradiated mouse ovarian follicles)

  • 김진규;이창주;이영근;송강원;윤용달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17-22
    • /
    • 1999
  • 이온화방사선이 동물 생식세포에 미치는 생화학적 및 형태학적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미성숙 생쥐 (ICR, 3 주령)에 $\gamma$선을 선량 $LD_{80(30)}$으로 전신조사하였다. 방사선 조사 후 6 시간, 12 시간, 1 일, 그리고 2 일 후에 난소를 적출하였다. 난소에서 추출한 과립세포의 세포주기를 DNA에 대한 유세포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세포자연사를 확인할 수 있는 $A_0$ 세포주기는 이온화방사선이 조사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높은 값을 보였다. 이온화방사선을 조사한 후 6 시간 군에서 TUNEL 면역조직화학 염색도를 나타낸 난포의 수가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 방사선 조사에 의해 유발되는 난포의 퇴화는 6 시간 이내에 급성으로 진행되는 과립세포의 세포자연사에 의해 매개됨을 알 수 있었다.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한 세포주기 평가는 방사선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자연사 기작의 이해와 퇴화난포의 정량화를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