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aming capacity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3초

Phytase와 Protease 혼합처리에 의한 참깨박 단백질 용출 및 기능성 변화 (Change of Functional Properties and Extraction of Sesame Meal Protein with Phytase and Protease)

  • 천성숙;조영제;조국영;최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895-901
    • /
    • 1998
  • 폐단백질을 활용하는 방도의 하나로 참깨박으로부터 불용성 단백질의 분리 효율성을 높이고 기능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미생물이 생성하는 phytase와 protease를 처리하였다. 이때 참깨박 단백질의 용출을 위한 최적 pH, 최적 온도, 최적 처리시간과 최적 첨가효소량은 pH $10{\sim}12$까지의 알칼리 영역, $60^{\circ}C$, 11시간, phytase 900 unit+protease 60 unit이었다. 효소처리된 참깨박단백질은 거품 형성력과 거품 안정성이 대조구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고, 유화력과 유화 안정성 및 유지 흡착력과 수분 흡착력도 효소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매우 증가하였다.

  • PDF

Protease 처리에 의한 폐단백자원의 단백질 용출 및 기능성 변화 (Change of Funtional Properties and Extraction of Protein from Abolished Protein Resource by Protease)

  • 천성숙;조영제;손규목;최희진;최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1호
    • /
    • pp.13-17
    • /
    • 1998
  • 폐단백질을 활용하는 방도의 하나로 폐단백질 자원으로 부터 불용성 단백질의 분리 효율성을 높이고 기능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protease를 생산하는 Aspergillus sp. MS-18균주를 토양으로 부터 분리하고 이 균주가 생산하는 효소를 이용한 단백질 추출 최적 조건을 규명하고 추출 단백질의 기능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참깨박 단백질의 용출을 위한 최적 pH, 최적 온도, 최적 처리 시간과 최적 첨가 효소량은 pH 9.0, $60^{\circ}C$, 8시간 처리, 40 unit 이었다. 효소 처리된 참깨박 단백질은 효소 처리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기포 형성력과 기포 안정성이 매우 증가하였고, 참깨박 단백질의 유화력은 효소 처리구의 경우 전 pH의 범위에서 유화력과 유화 안정성이 매우 증가하였다. 참깨박 단백질의 유지 흡착력과 수분 흡착력은 효소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서 높은값을 나타내었다.

  • PDF

아세틸화와 숙시닐화한 번데기 농축단백질의 기능성 (Functional Properties of Acetylated and Succinylated Silkworm Larvae Protein Concentrates)

  • 박정륭;박금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8
    • /
    • 1987
  • 번데기 농축단백질을 무수초산 및 호박산으로 숙시닐화 및 아세틸화시켜, 식품단백질원으로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몇가지 중요한 기능성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번데기농축단백질이 아세틸화율은 82.0%, 숙시닐화율은 88.0%였으며, 아실화되는 과정에서 번데기 농축단백질은 밝은 상아빛으로 부드러웠으며, 특유한 냄새도 제거되었다. 2. 번데기 농축단백질은 pH 5.0에서 최소의 용해도를 나타내었으나 에세틸화 및 숙시닐화한 단백질은 pH 4.5에서 최소를 나타내었으며, 아실화에 의하여 용해도가 증가되었고 특히 숙시닐화는 약5배의 증가를 보였다. 3. 번데기 농축단백질의 겉보기 밀도와 수분흡수력은 아세틸화와 숙시닐화에 의해서 높은 증가를 나타내었다. 4. 번데기 농축단백질이 유화활성, 유화안정성, 유화용량은 아세틸화한 단백질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나 숙시닐화한 단백질은 높은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5. 번데기 농축단백질의 포말성은 숙시닐화한 단백질에서 30%의 증가 현상을 나타내었으며 포말안정성은 아세틸화 및 숙시닐화에 의해서 3시간, 8시간으로 향상되었다. 6. 각 농도별 점도는 아세틸화한 단백질에서는 별 영향이 없었으나 숙시닐화는 점도가 많이 증가되었으며 4∼5%에서 증가 현상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 PDF

Protease 처리가 누에번데기 단백질 추출 및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otease on the Extraction and Properties of the Protein from Silkworm pupa)

  • 권효정;이경환;김정환;천성숙;조영제;차원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4호
    • /
    • pp.304-308
    • /
    • 2006
  • 누에번데기에 함유되어 있는 불용성 단백질을 가용성 단백질로 추출시키기 위하여 누에번데기에 Bacillus sp. JH-209 균주로부터 생산된 protease를 작용시켰다. 이때 누에번데기 단백질의 추출을 위한 적정 pH는 pH $7{\sim}11$까지의 알칼리 영역에서 추출율의 증가를 보였다. 최적 온도는 $40^{\circ}C$였고, 최적 작용시간은 11시간이었고, 효소의 최적 첨가량은 60 unit 정도였다. 효소처리 된 누에번데기 단백질은 효소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기포력, 기포안정성, 유화력과 유화안정성이 증가하였고, 유지흡착력과 수분흡착력도 대조구에 비해서 높은값을 나타내었다.

난각막 분해물의 식품 소재로서 기능적 특성 (Functional Properties of Egg Shell Membrane Hydrolysate as a Food Material)

  • 전태욱;박기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67-273
    • /
    • 2002
  • 본 연구는 난각막(egg shell membrane)에 keratinase를 생성하는 Bacillus licheniformis를 배양하여 제조한 효소분해 난각막분해물(enzyme-degradation egg shell membrane hy-drolysate, EESMH)과 IN NaOH-Ethanol로 분해한 알칼리분해 난각막분해물(alkalic-degradation egg shell membrane hy-drolysate, AESMH)을 제조하여 식품소재로 활용하고자 성분분석 및 분해물의 유화성, 거품형성력, 항산화력 등의 식품학적 기능을 확인하였다. 즉, EESMH의 생산수율은 약 15% 였고 AESMH의 경우 약 70%의 수율로 가수분해물이 생성됐으며 아미노산 분석 결과 EESMH와 AESMH의 아미노산 구성은 주성분이 aspartic acid, glutamic acid, cystine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EESMH의 경우 histidine이 18.69%로 AESMH의 2.56%에 비해 6배 정도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단백질의 기능적 특성 측면에서 용해성은 EESMH와 AESMH 모두95%이상의 높은 용해성을 나타내었다. 유화 활성의 경우 EDESDBB가 더 효과가 있었으며, 유화 안정성도 EESMH가 AESMH보다 약 8% 안정하였다. 거품 형성력은 AESMH가 EESMH보다 모든 pH범위에서 약 2배 정도 높았으며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항산화력의 경우AESMH가 항산화력이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고 EESMH의 경우 전체적으로 매우 약하게 나타났다.

Phytase, Protease 및 Phytase와 Protease 혼합 효소처리가 폐대두박의 단백질 추출율 및 그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ytase, Protease and the Mixed Enzyme of Phytase and Protease on the Extraction and Properteis of the Protein from Abolished Soybean Meal)

  • 조영제;천성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7-63
    • /
    • 2000
  • To extract insoluble proteins from abolished soybean meal, the meal was treatesd with phytase and protease produced by Aspergillus sp. SM-15 and Aspergillus sp. MS-18. The extraction of insoluble soybean protein was increased at alkaline range more than pH 5 in case of phytase, pH 7 to 11 in case of protease and pH 5 to 12 in case of the mixed enzyme of phytase and protease. The optimum extraction temperature of insoluble protein was 5$0^{\circ}C$ for phytase and the mixed enzyme of phytase and protease, and 6$0^{\circ}C$ for protease. The optimum treatment time for extraction of protein was 9 hrs for phytase, 11 hrs for protease and the mixed enzyme of phytase and protease and optimum unit of enzyme for extraction of protein was 600 unit, 40 unit and 900 unit+60 unit in case of phytase, protease, phytase and protease, respectively. The treatment of mixed enzyme showed higher extracton rate of protein than single enzyme treatment. The foaming capacity, foaming stability, emulsion capacity, and emulsion stability of soybean meal protein by the treatment of the enzymes increased at all pH range. Further more oil absorption as well as water absorption capacities by the treatment of the enzymes were also increased. The functional properteis of the soybean meal protein treated by the mixed enzyme were higher than those of soybean meal protein treated by the single enzyme.

  • PDF

Adsorption of Carbon Dioxide onto Tetraethylenepentamine Impregnated PMMA Sorbents with Different Pore Structure

  • Jo, Dong Hyun;Park, Cheonggi;Jung, Hyunchul;Kim, Sung Hyu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3호
    • /
    • pp.382-390
    • /
    • 2015
  •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supports and amine additives were investigated to adsorb $CO_2$. PMMA supports were fabricated by using different ratio of pore forming agents (porogen) to control the BET specific surface area, pore volume and distribution. Toluene and xylene are used for porogens. Supported amine sorbents were prepared by wet impregnation of tetraethylenepentamine (TEPA) on PMMA supports. So we could identify the effect of the pore structure of supports and the quantity of impregnated TEPA on the adsorption capacity. The increased amount of toluene as pore foaming agent resulted in the decreased average pore diameter and the increased BET surface area. Polymer supports with huge different pore distribution could be fabricated by controlling the ratio of porogen. After impregnation, the support with micropore structure is supposed the pore blocking and filling effect so that it has low $CO_2$ capacity and kinetics due to the difficulty of diffusing. Macropore structure indicates fast adsorption capacity and low influence of amine loading. In case of support with mesopore, it has high performance of adsorption capacity and kinetics. So high surface area and meso-/macro- pore structure is suitable for $CO_2$ capture.

Acyl화에 의한 어류 단백질의 이화학적 성질의 변화 (Changes of Functional Properties of Acylated Fish Protein)

  • 방찬식;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1호
    • /
    • pp.52-61
    • /
    • 1990
  • 단백질의 기능성을 높이고자 acetic anhydride(AA), succinic anhydride (SA) 및 maleic anhydride(MA)로 단백질을 acyl화 시켜 소수성과 기능성 변화를 측정하여 기능 특성과 소수성의 관계를 고찰한 결과, 단백질의 아미노산 잔기인 amino기와 sulfhydryl기의 acyl화에는 AA에 의한 수식율이 가장 높아 amino기의 89.5 % sulfhydryl기의 72.2 %가 수식되었으며 amino기가 sulfhydryl기 보다 쉽게 acyl화 되었다. Succinyl화 및 maleyl화에 의해 어류 단백질의 소수성은 감소 하였으나 acetyl화는 단백질의 소수성이 근육 단백질보다 높다. AA, SA 및 MA로 acyl화 되면 단백질의 용해도, 유화특성, 포말특성, 수분 흡수력 및 지방 흡수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근육 단백질이 농축 단백질보다 기능적 특성이 좋았다. 단백질의 소수성 감소와 용해도 증가는 높은 상관을 보였고 유화특성 및 포말특성은 단백질의 용해도와 깊은 관련이 있었으며 단백질의 소수성도 중요하였다. 단백질의 수분 흡수력은 용해도와 상관이 크나 소수성과는 큰 관계가 없었으며 지방 흡수력은 단백질의 용해도 보다는 소수성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 PDF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알로부터 등전점 가용화/침전공정으로 회수한 분리단백질의 식품기능성에 미치는 pH-shift의 영향 (Influence of pH-shift on Food Functionality of Protein Isolates Recovered by Isoelectric Solubilization and Precipitation from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Roes)

  • 강상인;권인상;윤인성;김진수;이정석;김형준;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1-14
    • /
    • 2024
  • We investigated the functional properties and in vitro bioactivity of protein isolates (RPIs) recovered from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roes by isoelectric solubilization/precipitation process, according to pH-shift treatments. The buffer capacity of RPIs was shown to be stronger in alkaline pH than in acidic pH. Water holding capacity of RPIs was in range of 4.5-5.2 g/g protein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The foaming capacity and emulsifying activity index of RPI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PI-1 (pH 11/4.5) and 3 (pH 12/4.5), however they were superior to RPI-2 (pH 11/5.5) and 4 (pH 12/5.5). Th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RPI-3 (2.5 mg protein/mL) was 102.4 ㎍/mL, and the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was 30.8%. Among the RPIs, RPI-3 was relatively superior in protein functional properties such as buffer capacity, foaming capacity, emulsifica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Therefore, we suggest that RPI prepared from olive flounder roes could serve as a potential food resource.

FUNCTIONAL PROPERTIES CHANGE OF PIGSKIN COLLAGEN BY CHEMICAL MODIFICATION

  • Lee, M.;Kwon, S.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4권4호
    • /
    • pp.407-410
    • /
    • 1991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sible structural change due to chemical modifications and functionality changes was studied in pigskin collagen. Amino groups in collagen were modified by succinylation and reductive alkylation. Carboxyl groups were modified using carbodiimide. Thermal denaturation temperature of collagen increased remarkably by carboxyl groups modification whereas decreased by succinylation and reductive alkylation. Emulsifying capacity was improved by reductive alkylation and carboxyl groups modification while emulsion stability was improved by succinylation. Chemical modifications increased solubility whereas decreased the foaming capacity of collagen. Viscosity of collagen at various pH varied with methods of mod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