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ral water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14초

산철쭉과 영산홍의 과냉각 능력과 수분함량에 관한 온도 영향 및 해부학적 특성 (Temperature Effects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n Supercooling Ability and Water Content of Rhododendron yedoense Maxim. var. poukhanense Nakai and R. simsii Planch.)

  • 신관배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6권1호
    • /
    • pp.33-39
    • /
    • 1983
  • Twigs bearing floral buds of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Ryp) and R. sinmsii(Rs), hardy species in Korea,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cold hardiness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and the changes of water content. In floral buds of both species, the reproductive organs, pistils and stamens, matured within the bud scales in early ctober to prepare for a cold acclimation. The ray parenchymatous areas occupied in xylem were 41% in Ryp and 38% Rs. As the storage temperature is raised from 2 to 17$^{\circ}C$, water content increased more highly in Rs than in Ryp. Exotherm temperature of floral bud in Ryp was generally lower than that in Rs. The result supports that the higher cold-hardiness is achieved owing to the earlier maturation of floral buds, to the larger area of ray parenchyma in xylem, and to the lesser increase of water content as the storage temperature is raised.

  • PDF

천연색소 함유 식물추출물과 플로럴 워터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hot-water extracts and floral waters from natural plant pigments)

  • 김연순;서화진;박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9-133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천연염색의 원료인 천연염료, 즉 천연색소의 열수추출물과 플로랄워터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항산화 활성은 총 페놀 함량 분석과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단일항산소 억제 효과로 확인하였다. 열수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IC_{50}$ 값은 0.0085~3.5 mg/mL를 나타내어 일부 색소 추출물의 DPPH 소거 활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오배자, 소목 추출물이 $8.5{\mu}g/mL$, $19.1{\mu}g/mL$로 높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는데, 비교 물질로 주로 사용되는 ascorbic acid의 $10.5{\mu}g/mL$ 만큼 높은 우수한 항산화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단일항산소 억제 효과 역시 오배자, 소목 추출물에서 각각 0.21, 0.12 mg/mL을 나타내어 높은 소거 활성을 띄는 것으로 강한 빛에 의해 야기되는 활성산소의 피해로부터 생물체를 보호해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총 페놀 함량도 열수추출물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반면, 플로라워터의 항산화 활성은 열수추출물 대비 미비한 효과를 보였으나 황련, 황벽천초근의 경우 열수추출물 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플로라워터의 경우 액상시료를 첨가하여 수행되는 실험 방법에 의해 정량적 수치를 명확히 나타내기 어렵기 때문에 연구방법적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일부 천연색소 추출물은 생물체의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야기되는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보다 심도 깊은 연구를 진행한다면 새로운 생물 소재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활성산소종이 무궁화 꽃의 노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active oxygen species on floral senescence in Hibiscus syriacus L.)

  • 서상규;김선형;이긍표;강승원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6권2호
    • /
    • pp.179-183
    • /
    • 2009
  • To understand the effect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on floral senescence in Hibiscus syriacus L., we have investigated change in relative water potential, malondialdehyde (MDA) content, H_2O_2 content and the activity of antioxidative enzymes in the petals during flower opening and senescence. Hibiscus flowers were achieved full bloom at early morning and started to in-rolling and showed petal in-rolling over than 50% at 24 h and 36 h after full bloom, respectively. The flower was a decrease in fresh weight by 30% and showed water loss with floral senescence. MDA content and activity of antioxidative enzymes such as APX, GR and CAT were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until 36 h after full bloom. In the flower 48 h after full bloom that showed complete petal in-rolling and wilting, however, activity of antioxidative enzymes and H_2O_2 content was grea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0 h after full bloom.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active oxygen species are related to accelerating the later senescence more than inducing the early senescence during Hibiscus flower senescence.

LiBr/$H_2O$계 흉수기의 흡수촉진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enhanced heat and mass transfer toy LiBr/$H_2O$ absorber)

  • 설원실;권오경;윤정인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581-588
    • /
    • 1998
  •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absorption process of water vapor into Lithium Bromide solution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absorption chiller-heater utilizing Lithium Bromide solution as working fluid, the absorber is the most effectiv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n absorber because it requires the largest heat transfer area in an absorption chiller-heater system. This paper introduces bare tube and floral tube for the absorber of absorption chiller-heaters. floral tube has higher heat and mass transfer performance than bare tube conventionally used in absorbers and the it is expected to perform high heat and mass transfer. This paper will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selection of absorber tubes in commercial absorption chiller -heaters.

  • PDF

화병 재료와 절화보존제 처리가 절화 장미와 거베라의 화색, 엽색 화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se Materials and Floral Preservative on Flower Color and Diameter in Cut Rose and Gerbera)

  • 임영희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1호
    • /
    • pp.59-66
    • /
    • 2011
  • 본 연구는 화병의 재질과 절화보존제 처리 여부가 절화의 화색, 엽색, 그리고 화경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조사하였다. 절화 장미 (Rosa hybrida) 'Aqua'와 'Corvernet' 및 거베라 (Gebera jamesonii) 'Honeymoon'과 'Golden Time'을 수돗물 또는 절화보존제 용액이 들어있는 유리, 자기 및 옹기 화병에 꽂고 화색, 엽색, 최대화경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처리 8일 후 화색에 있어서 장미 'Aqua'의 ${\Delta}E$값은 옹기와 자기화병의 보존제 처리에서 작게 나타났다. 장미 'Covernet'은 옹기화병의 보존제 처리에서 ${\Delta}E$값이 가장 작았고, L값도 처리 직전의 꽃잎 (대조구)과 가장 근접하였다. 거베라 'Honeymoon'의 경우 절화보존제 처리와 옹기화병에 의해 ${\Delta}E$값이 가장 작게 나타났고, a와 b값도 58.81, 34.29로 대조구와 가장 유사하였기 때문에 옹기화병에 꽂은 절화의 화색이 처리 직전의 화색과 유사하였다. 거베라 'Golden Time'의 ${\Delta}E$값은 옹기화병이 자기나 유리화병보다 크게 작았는데, a값은 옹기화병의 보존제 처리에서 -7.81로 가장 근접하였고, b값 역시 옹기화병에서 높게 나타났다. 장미의 엽색에 있어서는 옹기화병의 보존제 처리에서 L, a, b값이 처리 직전의 잎과 가까웠고 ${\Delta}E$값은 옹기화병에서 3.25로 나타나 자기나 유리에 비해 작았다. 화경은 장미 'Covernet'과 거베라 'Golden Time' 모두 옹기의 보존제 처리에서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존용액에 절화보존제를 첨가함으로써 미생물 번식을 감소시켜 절화수명이 연장되어 장미와 거베라의 품질 및 신선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다공질의 옹기 화병을 사용하여 통기성을 증가시키면 화색과 엽색을 좀 더 좋게 하고, 화경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옹기 화병이 절화 거베라의 수명 및 미생물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arthenware Vase on Vase Life of Cut Gerbera Flowers and Microbial Multiplication)

  • 임영희;오욱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2호
    • /
    • pp.110-115
    • /
    • 2011
  • 미세다공성의 옹기 화병의 절화수명 연장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거베라 절화를 식물재료로 하여 관행의 자기 및 유리 화병과 절화수명을 비교하였다. 수돗물과 절화보존제가 들어있는 유리, 자기, 옹기 화병에 거베라 'Honeymoon'과 'Golden Time'을 꽂고 절화수명과 미생물 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두 품종 모두 옹기 화병에서 절화수명이 길었으며, 절화보존용제가 수돗물에 비해 절화수명을 연장시켰다. 특히 절화보존제를 넣은 옹기 화병에서 두 품종 모두 절화수명이 14일 이상으로 가장 길었다. 누적 흡수량은 절화보존용제를 넣은 옹기 화병에서 'Honeymoon'이 19.2mL, 'Golden Time'이 15.8mL로 가장 많았다. 생체중은 대체로 옹기에 꽂은 절화가 다른 재질의 화병에 꽂은 것에 비해 컸으며, 절화보존제 처리가 생체중 감소를 지연시켰다. 특히 옹기에 절화보존제를 처리한 경우 처리 8일 후에도 초기 생체중의 89% 수준을 유지하여 수분 흡수가 원활했음을 알 수 있었다. 미생물수 측정 결과, 'Golden Time'은 옹기 화병 내의 보존용액의 총균수가 다른 재질의 화병에 비해 적게 나타났다. 'Golden Time'의 총균수는 8일째 옹기 화병 내의 보존용액에서 435cfu/mL 정도로 자기나 유리 화병 내의 보존용액보다 20-30%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옹기 화병은 보존용액 내 미생물의 증식을 지연시켜 절화 거베라의 물올림을 유지시켜 주기 때문에 도관 폐쇄에 의한 화경굽음 현상이 억제되었고, 절화수명도 길어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미세다공성의 옹기는 화병의 좋은 재질이며, 절화보존제는 그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RAM(일반기능평가기법)을 이용한 내륙 습지 기능 평가 (A Study on the Assessment for the Functions of Inland Wetlands Using RAM(Rapid Assessment Method))

  • 구본학;김귀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38-48
    • /
    • 2001
  • A wetland is an ecosystem which is the most useful and highly-energetic transition area.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develop the wetland function assessment methods and apply on the natural wetlands (Mul-young-ari wetland in Jeju-island and Bangdong wetland in Taejon Metropolitan city) using RAM (Rapid Assessment Method). The RAM is useful method for assessing the wetland functions in terms of general functions acquired by once or twice onsite surveying. Eight functions of 2-12 variables each are analyzed for assessing the wetland func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conservation values of two wetlands are "High". 2) In Mul-young-ari wetland, such functions as groundwater discharge, floral diversity and wildlife habitat, shoreline/stream bank protection are relatively high, but some functions such as flood/storm water storage, aesthetics and recreation are "Moderate" - "High". 3) In Bangdong wetland, such functions as floral diversity and wildlife habitat, groundwater discharge, flood/storm water storage, aesthetics and recreation are high, and another functions are "Moderate" - "High". The taxonomy of this study stems from assessing functions of inland wetlands using indices of RAM. So It is needed that consequent studies are to be performed with verifying the variables and indices.

  • PDF

갈색계 천연색소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 (Antioxidant properties of brownish natural dyeing agents from medicinal plant)

  • 김연순;권오준;서화진;박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87-392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이종산업인 섬유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천연염색의 원료인 천연염료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총 페놀 함량 분석, DPPH 라디칼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단일항산소 억제 효과를 분석하였다. 7종의 천연염료 열수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IC_{50}$ 값은 0.012~0.239 mg/mL를 나타내어 일부 색소 추출물의 DPPH 소거 활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폴리페놀함량이 높은 자단향과 아선약 추출물의 $IC_{50}$ 값이 각각 $12.4{\mu}g/mL$, $24.2{\mu}g/mL$로 높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다. 단일항산소 억제 효과 역시 아선약, 자단향 추출물에서 각각 0.19, 0.21 mg/mL을 나타내어 높은 소거 활성을 띄는 것으로 강한 빛에 의해 야기되는 단일항산소(singlet oxygen)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총 페놀 함량도 열수추출물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반면, 플로라워터의 항산화 활성은 열수추출물 대비 미비한 효과를 보였으나 한련초의 경우 열수추출물 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플로라워터의 경우 액상시료를 첨가하여 수행되는 실험 방법에 의해 정량적 수치를 명확히 나타내기 어렵기 때문에 연구 방법적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일부 천연색소 추출물은 생물체의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야기되는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보다 심도 깊은 연구를 진행한다면 새로운 생물 소재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저온 및 저온경과시간이 사과나무 왜성대목 및 주요품종의 내동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Low Temperature and Chilling Time on Freezing Hardness of Apple Dwarf-rootstocks and Main Cultivars in Korea)

  • 권헌중;사공동훈;송양익;박무용;윤태명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9-71
    • /
    • 2014
  • 본 시험은 왜성대목, 품종 및 저온에 따른 사과나무의 내동성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왜성대목은 M.9와 M.26이었고, 조사품종은 조생종인 '쓰가루', 중생종인 '홍로', 만생종인 '후지'였다. 저온처리는 $0^{\circ}C$부터 $-40^{\circ}C$ 사이였다. 조사부위는 대목, 원줄기, 측지, 꽃눈 및 잎눈이었다. 조사항목은 수분손실률, 전해질 누출률 및 발아율이었다. 결과를 살펴보면, 왜성대목에 따른 수분손실률, 전해질 누출률 및 발아율의 차이는 없었다. '후지'의 수분손실률은 '쓰가루' 및 '홍로'보다 낮았으나, 발아율은 '후지'가 '쓰가루' 및 '홍로'보다 높았다. 처리온도별 수분손실률과 전해질 누출률은 처리온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으나, 발아율은 반대로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35^{\circ}C$ 처리에서 대목과 원줄기부위의 발아율은 측지부위보다 높았으며, 꽃눈의 발아율은 잎눈보다 낮았다. $-10^{\circ}C$에서의 경과일수에 따른 과대지의 발아율은 28일에 100%되었다가 35일에 50%정도로 급격하게 낮아졌다. 결론적으로, M.9과 M.26의 내동성 차이는 없었으나, 만생종의 내동성은 조, 중생종보다 큰 경향이 있었다. 꽃눈의 내동성은 $-30^{\circ}C$이하에서 급격하게 약해졌다.

천마의 근경과 지상부의 성분 및 항산화 활성 연구 (A Study on Functional components, antioxidant activity of Gastrodiae Rhizoma and Gastrodiae Elata floral axis)

  • 박장필;이숭인;정종길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24
    • /
    • 2015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necessity of freezing and boiling process of Gastrodiae Rhizoma. Also we need to evaluate Gastrodia elata floral axis as a product ingridients. Methods : Frozen Gastrodiae Rhizoma (GF1, GF2) and Gastrodia elata floral axis (GFA) were prepared. They were divided into samples (GF1 : frozen at the freezer, GF2; frozen and boiled for 10 hours, GFA; dried at 7 $0^{\circ}C$ for 120 hours) for experiment. They were extracted using water, freeze dried and powdered. And we analyzed proximate compositions, free sugars, gastrodin, p-hydroxybenzyl alcohol and p-hydroxybenzyl aldehyde content, phenolic and flavonoid,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nitrate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Results : In moisture, crude ash, fructose, glucose, sucrose, p-Hydroxybenzyl alcohol GF2 showed lower level than GF1. But GF2 showed higher content than GF1, in crude fat (0.8% > 0.19%), gastrodin ($8.84{\pm}0.58%$ > $4.18{\pm}0.73%$), and p-hydroxybenzyl aldehyde ($2.45{\pm}0.26%$ > $2.07{\pm}0.16%$) content, phenolic ($9.98{\pm}0.07%$ > $3.35{\pm}0.03%$) and flavonoid ($3.01{\pm}0.06%$ > $1.09{\pm}0.04%$) content, electro donating ability ($15.21{\pm}6.51%$ > $10.44{\pm}4.78%$), nitrate scavening activity ($20.43{\pm}5.30%$ > $13.62{\pm}5.78%$). GFA has a relatively lower key indicators component, but has a enough impact on antioxidant effect in phenolic ($11.85{\pm}0.08%$) and flavonoid content ($1.45{\pm}0.03%$), electron donating ability ($18.58{\pm}9.06%$) and nitrate scavenging activity ($19.41{\pm}9.90%$). Conclusions : In the view of proximate compositions, free sugars, functional component and antioxidant activ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iling process is effective for the frozen Gastrodiae Rhizoma. And Gastrodia elata floral axis has a significantly func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