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 stage evaluation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초

하천수위에 의한 침수피해 평가 시스템 (Evaluation System of Flood Damages using Stream Stage)

  • 김종순;이영대;오국열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151-158
    • /
    • 2009
  • 많은 사람들이 집중강우와 태풍으로 임한 침수로 고통 받고 있다. 비록 하천의 제방을 강화시키고 사람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펌프장을 건설함에도 불구하고, 침수피해는 제어되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재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강우자료 해석, 홍수위 계산, 홍수피해 규모를 통합시스템에서 수행 할 수 있는 CWMS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그램을 바로 국내에 이용하기에는 하천수위, 홍수재해모의 등과 같은 데이터 구축 에 부족함이 많기 때문에 우리의 침수피해를 평가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우리의 상황에 맞는 침수피해평가를 위한 체계적인 데이터 수집과 분석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의 주된 목적은 침수재해로 부터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데이터 수집과 평가방법을 제안하는 것으로 강우로부터 홍수 피해를 평가할 수 있도록 기존 모형과 많은 인자가 고려된 침수피해 평가시스템(Flood Damage Evaluation Model; K-FDEM)을 제안하였다.

하천유형별 식생모델의 홍수위 분석 (Flood Stage Analysis on Vegetated Patterns with River Sites)

  • 이종석;송중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452-460
    • /
    • 2010
  • 본 연구는 하천유형별 식생모델의 계획 홍수위에 대한 1차원 HEC-RAS 및 2차원 RMA-2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홍수위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식생모델은 하천을 흐르는 수로구간이 사회 문화적으로 위치하는 중요도에 따라 도시 농촌 산지하천으로 구분해 구축하였다. 수치모형에 의한 홍수위 검토결과는 대상하천의 식생 전 홍수위는 각 하천의 계획홍수위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또한 식생밀도를 변화시킨 도시하천의 경우는 식생밀도 25% 추가 시 홍수위 상승량은 약 0.20m 정도이나 제방월류는 나타나지 않았다. 농촌 및 산지하천의 경우에는 홍수위 상승량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성 해석에 의한 제방의 월류 위험도 산정 (Evaluation of Overtopping Risks of Levee by using Reliability Analysis)

  • 이철응;박동헌;심재욱
    • 산업기술연구
    • /
    • 제29권A호
    • /
    • pp.101-110
    • /
    • 2009
  • Due to frequent occurrence of a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 caused by global warming and change of outflow tendency caused by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risk analysis must be carried out in levee design with uncertainty. In this study, reliability analysis was introduced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overtopping risk of levee by the uncertainty. First of all, breaking function was established as a function of flood stage and height of levee. All variables of breaking function were considered as random variables following any distribution functions, and the risk was defined as the possibility that the flood stage is formed higher than height of levee. The risk evaluation model was developed with AFDA (Approximate Full Distribution Approach). The flood stage computed by 2-D numerical model FESWMS-2DH was used as input data for the model of levee risk evaluation. Risk for levee submergence were quantitatively presented for levee of Wol-Song-Cheon.

  • PDF

Evaluation of Japan'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jects on Flood Risk Management in Thailand

  • Jung, Minjung;Lee, Seungho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210-210
    • /
    • 2022
  • This study evaluates Japan'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jects in Thailand from 2011 to 2013 by deploying the Sendai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SFDRR) and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Development (OECD) evaluation criteria. Special attention is placed on disaster-related development assistance activities of Japan through reviewing long-term impacts of the projects. The 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JICA)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transferring Japan's experiences on disaster risk management to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Thailand. The study highlights two flood risk management projects in Thailand with the support of JICA after the 2011 floods, namely the Project for the Comprehensive Flood Management Plan for the Chao Phraya River Basin and the Project for Flood Countermeasures for Thailand Agriculture Sector. The case studies demonstrate that the projects wer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conducted for meeting Thailand's needs and requirements. JICA provided multi-hazards risk analysis through scientific data as well as local knowledge. However, achievements of the project did not last for long because of a lack of Thai stakeholders' commitment and JICA's post-project management. It is concluded that a development agency should consider impacts and sustainability of flood risk management projects more carefully from the stage of planning, an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knowledge, and technologies should also be monitored progressively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ject.

  • PDF

하천홍수량의 지역화 회귀모형개발을 위한 지역빈도해석 (Regional Frequency Analysis for a Development of Regionalized Regression Model of River Floods)

  • 노재식;이길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39-154
    • /
    • 1993
  • 본 연구는 자연하천 유역에서의 수위관측점들을 대상으로 지점 홍수빈도해석을 실시하고 하천홍수량의 지역빈도해석에 의한 지역화 회귀모형을 개발한 것이다. 홍수빈도해석은 국내 주요 5대 하천유역인 한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및 낙동강 유역내에 있는 자연하천관측점들을 대상으로 홍수빈도모형을 이용하여 지점별 홍수량의 크기 및 빈도를 추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홍수빈도예측을 위한 모형의 적용성과 효용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단기간 기록년수의 자료에서는 부분기간치계열 방법의 POT(Peaks Over a Threshold)모형이 연최대치계열 방법의 ANNMAX(ANNual MAXimum) 모형보다 효과적이고 합리적임이 판명되었다. 지역 홍수빈도해석에서 홍수빈도모형에 의한 지점별 홍수추정량과 홍수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지형학적 유역 특성인자들간의 상관분석법에 의해 미계측 지점에서의 설계홍수량 추정이 용이한 지역화 회귀모형을 개발하고, 첨두홍수량과 유역 특성인자들간의 상관도를 재현기간별로 작성 제시하였다.

  • PDF

HEC-FDA 모형을 이용한 홍수피해 저감계획 (Flood Damage Reduction Plan Using HEC-FDA Model)

  • 이종소;김덕환;김정욱;한대건;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7-24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홍수량과 홍수위 산정 및 치수경제성 분석을 함에 있어 본질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불확실성에 대한 고려를 분석에 포함하여 피해발생확률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섬강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고 각 홍수량 산정지점에서의 빈도별로 임계지속시간 개념을 사용하여 빈도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유역내 8개구간을 대상으로 연 피해 기대치, 연 초과확률, 장기간 위험도, 조건부 비초과확률 등을 계산하기 위해 HEC-FDA를 이용하여 유량-빈도, 수위-유량, 침수심-피해액 함수를 구축 하였으며 불확실성이 고려된 함수들로부터 500,000번 이상의 모의발생을 통하여 표본 추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연 피해 기대치를 구하였다. 여러 가지 설계빈도의 제방을 계획하여 이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여 적정 빈도나 투자우선순위에 대한 결과를 산정하였다. 분석결과 불확실성을 고려할 경우 B/C값이 12%정도 증가됨을 알 수 있었으며, 적정 빈도나 투자우선순위 등도 바뀔 가능성이 있었다. 실제 홍수피해 저감계획시 경제적인 분석이외에 정치적, 사회적인 분석을 함께 수행한다면 보다 합리적인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하천규모에 따른 식생모델의 홍수위 검토 (Flood Stage Evaluation for Vegetated Models in River Scales)

  • 이종석;김병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5B호
    • /
    • pp.509-518
    • /
    • 2010
  • 본 연구는 하천의 유역면적 또는 계획홍수량에 따라 하천 규모를 대 중 소하천으로 구분하고, 이들 하천에 대한 식생모델을 구축하여 수치모형을 이용해 제방고 여유율(CSR)을 기준으로 홍수위를 검토하였다. 식생모델 구축전 1차원 HEC-RAS와 2차원 RMA-2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와 기본계획홍수위와 비교한 결과, 1차원의 경우 제방고 여유율은 대하천 모든 단면과 중하천 상류부 2개 단면 외에는 100% 이상이었으나, 소하천은 평균 46.0% 정도로 나타났다. 2차원 대하천의 경우는 평균 101.5%, 중하천은 96.7%, 소하천은 평균 71.1%로 나타났는데, 이는 하천기본계획수립 시 주로 1차원 모형을 사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식생모델 적용 시 1차원에서는 대하천의 경우 평균 제방고 여유율은 91.8%, 중 소하천은 각각 74.2%, 38.3%로 나타났고, 2차원에서 대하천은 95.5%, 중 소하천은 각각 86.7%, 37.0%로 나타났다. 이는 대하천이 중 소하천 보다 유수단면적이 커 식생모델 적용 시 제방고 여유율의 영향을 적게 받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강변저류지 홍수위 저감효과 분석을 위한 수치모형 적용 (Numerical Model Application for Analysis of Flood Level Mitigation due to Retention-Basin)

  • 조길제;이동섭;김형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495-505
    • /
    • 2014
  • 강변저류지는 홍수량을 일시적으로 분담하여 홍수위험도를 저감시키는 시설로 국내에서도 대하천 정비사업을 통하여 여주, 나주, 영월 지역의 홍수 저감을 위하여 강변저류지가 새로이 설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신규 도입된 강변저류지 중 여주 강변저류지를 대상으로 1차원 및 2차원 수치모의를 수행하여 대하천에서의 강변저류지에 의한 홍수위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1차원 모의는 HEC-RAS 및 FLDWAV 모형의 저류지 기능을 적용하여 부정류 모의를 통한 홍수위 저감효과를 분석하였으며, 2차원 모의는 CCHE2D 모형을 이용하여 1차원 모형과 동일한 홍수 사상을 적용한 후 홍수위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1차원 모의에서는 월류제 부근에서 첨두홍수위가 가장 크게 감소하였으며, 2차원 모의에서는 모의 구간의 가장 상류에서 홍수위 저감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첨두홍수위는 1차원 모형에서 최대 0.13 m, 2차원 모형에서는 최대 0.20 m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토 결과 2차원 모형이 하도 흐름에 대한 지형의 물리적 특성이 반영되어 보다 합리적인 모의 결과를 얻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보이며, 횡월류위어의 부근에서 하도 내 흐름 거동뿐만 아니라 월류 유량이 유입된 후 강변저류지 내 거동을 검토하기에는 1차원 모형보다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HPG로 산정한 합류부 배수영향 구간의 유량 평가 (An Evaluation of River Discharge Estimates in a Junction with Backwater effect using Interpolated Hydraulic Performance Graph)

  • 김지성;김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6호
    • /
    • pp.831-838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합류부 배수영향을 받는 지점에서 유량을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최근 2개의 홍수사상에 대한 HEC-RAS 부정류 모의를 수행하여 모형을 보정하였으며, 관심구간 상하류 수위와 유량과의 관계 그래프를 작성하고 크리깅 보간을 수행함으로써 HPG (Hydraulic Performance Graph)를 작성하였다. 대상 홍수기간 동안 HPG와 상하류 연속 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구간 유량을 산정하였고, ADVM 같은 자동유량측정 자료와 비교하여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수위-유량 관계곡선의 이력현상이 큰 배수영향 구간에서 유량을 산정하는데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방법을 제공할 것이다.

댐하류의 하천환경 개선 (Improvement of river environment in the downstream reaches of dams)

  • Ozawa, Takashi
    • 한국환경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21
    • /
    • 2003
  • I introduce the Flexible Dam Operation (FDO) and some of sediment control techniques In dams which are implemented as trials to avoid or reduce environmental impact of dams on the downstream reaches. The FDO is a dam management method to improve river environment in the downstream reaches by means of the flushing flow, the maintenance flow and so on utilizing a vacant portion of capacity for flood control without interrupting prime flood control function during the rainy/typhoon season. It Is suggested by the guideline of the FDO that EDO should be implemented regularly after the trial for about three years. The basic conception of the FDO is described here. The example of excavation of deposited sediments in check dams and placement of sand ana gravel immediately downstream of the dams and the example of coordinated sediment flushing are described as some of sediment control techniques in dams. Now they are at the stage of experiment and trial.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examples and establish the technical methodology and the environmental evaluation method for th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