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vonoid content

검색결과 1,218건 처리시간 0.037초

품종, 지역에 따른 적색양파 화학성분 (Chemical Component of Red Onion (Allium cepa L.) according to Cultivars and Growing Areas)

  • 문진성;김희대;하인종;이선영;이종태;이상대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6호
    • /
    • pp.921-927
    • /
    • 2010
  • 육종효율 증진 및 소비확대를 위해 적색양파의 화학성분을 분석한 결과 S&P5294가 가장 높은 당 함량 및 감미도를 나타냈고 선발조합 모두 레드프라임, 썬파워에 비해 당 함량 및 감미도가 높았으며, pyruvic acid는 레드프라임=S&P5295> S&P5294=S&P7273>S&P5296=S&P7276>레드썬=썬파워 순으로 함량이 낮았다.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선발조합 대부분이 레드프라임, 썬파워에 비해서는 함량이 높고 레드썬에 비해서는 낮은 함량을 보였다. Rutin은 모든 품종에서 가장 높은 함량(136.9-$169.9{\mu}g{\cdot}g^{-1}$ F.W.)을 보였으며, quecetin과 myricetin의 함량은 각각 62.5-135.7, 11.2-$16.1{\mu}g{\cdot}g^{-1}$ 보였고 kaempferol은 검출되지 않았다. Quercetin과 rutin은 레드썬에서, myricetin은 S&P5296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선발조합 모두 레드프라임, 썬파워에 비해 rutin, quercetin 및 myricetin의 함량이 높았다. 지역별로는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함평지역이 가장 높은 반면 ruin, myricetin 및 quercetin의 함량은 창녕지역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안토시아닌의 경우는 레드썬에 비해서는 다소 함량이 낮으나 레드프라임에 비해서는 선발조합 모두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열처리 조건에 따른 한국산 배(Pyrus pyrifolia Nakai)즙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ear(Pyrus pyrifolia Nakai) Juice with Heat Treatment Conditions)

  • 황인국;우관식;김태명;김대중;양미희;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42-347
    • /
    • 2006
  • 한국산 배의 열처리조건에 따른 성분변화 및 항산화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열처리온도(110, 120, 130, 140 및 $150^{\circ}C$)와 열처리 시간(1, 2, 3, 4 및 5시간)을 변수로 처리하고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 유리당, 5-HMF 및 EDA(%)의 $IC_{50}$값을 측정하였다. 대조구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0.233{\pm}0.024\;mg/g$$1.50{\pm}0.20\;{\mu}g/g$이였으며 열처리온도가 높고 시간이 길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150^{\circ}C$, 1시간 처리구에서 $3.342{\pm}0.007\;mg/g$,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150^{\circ}C$, 4시간 처리구에서 $561.49{\pm}16.93\;{\mu}g/g$로 가장 높았다. EDA(%)의 $IC_{50}$값은 대조구에서 $64.58{\pm}0.99\;mg/g$이였고 처리온도가 높고 처리시간이 길수록 $IC_{50}$ 값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150^{\circ}C$, 2시간 처리구에서 $1.93{\pm}0.01\;mg/g$으로 최저 값을 보였다. 유리당 중 fructose는 $110-140^{\circ}C$, 2시간 처리구까지 변화가 작았지만 $140^{\circ}C$, 3시간 처리구부터 감소하였다. 5-HMF 함량은 대조구에서 $2.04{\pm}0.21\;ppm$이였고 처리온도가 높고 처리시간이 길수록 증가하였다. $140^{\circ}C$, 2시간 처리구까지 완만히 증가하다 그 이후 처리구부터 급격히 증가하였고, $150^{\circ}C$, 5시간 처리구에서 $5,594.93\;{\pm}6.43\;ppm$으로 최고값을 나타내었다. 통계분석결과 처리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 fructose, 5-HMF 및 $IC_{50}$값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01). 최적 열처리조건은 fructose 및 5-HMF의 함량변화가 적고, 총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및 항산화활성이 높은 $130-140^{\circ}C$, 2-3 hr 처리구를 선정하였으며 열처리에 의한 성분변화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는 배에 국한되어 있으므로, 앞으로 과일 및 채소류 등의 다양한식품의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Evaluation of the B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Star-Anise (Illicium verum)

  • Chung, Hai-J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4권3호
    • /
    • pp.195-200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star anise extracts obtained from four different solvents (water, methanol, ethanol and chloroform) by measuring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DPPH radical scavenging, hydroxyl radical scavenging,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The m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extraction yield, followed by ethanol, water and chloroform. The properties of the extracting solvents significantly affect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Methanol extracts contained more total polyphenols than any other extracts.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found in methanol extract. The hydroxyl radical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ere highest in methanol and ethanol extracts. In antimicrobial activity, water extract showed stronger activities than methanol and ethanol extract against Micrococcus luteus and Bacillus subtilis, and no inhibitory effects on Gram negative bacteria were found in all extracts at the concentration used.

꾸지뽕나무 잎의 생리활성 및 HPLC에 의한 성분의 정량 (Determination of Flavonoid by HPLC and Biological Activities from the Leaves of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 김성환;김남재;최재수;박종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8-72
    • /
    • 1993
  • 한국산 꾸지뽕나무 잎을 추출하여 생리활성 및 flavonoid 성분의 함량을 HPLC로 정량하였다. MeOH중 EtOAc 및 n-BuOH분획은 trypsin 효소활성 저해능을 나타내므로서 항염증활성 성분은 이 분획에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EtOAc분획은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효과도 있음을 발견하였다. EtOAc 분획에서 kaempferol 7-O-$\beta$-D-glucopyranoside 성분을 분리하여 MeOH 엑스중 함량을 측정한 결과 0.31%(w/w)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Flavonoid Composition of Korean Herbs in the Family of Compositae and their Utilization for Health

  • Nugroho, Agung;Choi, Jae Sue;Park, Hee-Juh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2권1호
    • /
    • pp.1-12
    • /
    • 2016
  • Compositional differences in flavonoids are varied in the big family of Compositae. By summarizing our previous analytical studies and other scientific evidences, new strategy will be possible to further analyze flavonoids and utilize them for human health. The HPLC analytical method has been established in terms of linearity, sensitivity, accuracy, and precision. Herbs of the family of Compositae have considerable amounts of peroxynitrite ($ONOO^-$)-scavenging effects and their phenolic substances. These effects may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disease associated with excess production of $ONOO^-$, depending on the high content of flavonoid substances.

오디에서 열처리와 자외선 조사가 Anthocyanin-Polyphenol Copigment Complex의 안전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emperature and UV Irradiation on Stability of Anthocyanin-Polyphenol Copigment Complex in Mulberry Fruits)

  • 방인수;유창연;임정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1-200
    • /
    • 2010
  • Anthocyanin and polyphenolic compounds present in fruits of mulberry (Morus alba L.) were determined and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UV irradiation on stability of the anthocyanin-copigment complex were investigated. The copigmentation substance selected in non-anthocyanin fraction from mulberry for the study included: phenolic acid (hydroxybenzoic acid) and flavonoid (quercetin-3-O-$\beta$-D-glucopyranoside). The copigmentation effect increased with the copigment content. UV irradiation had a stronger degradation effect on the copigmentation complex than heating at $80^{\circ}C$. The non-anthocyanin fraction of mulberry and isolated flavonoid (quercetin-3-O-$\beta$-D-glucopyranoside) from mulberry fruit predominated over other copigment substances.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프로폴리스의 에탄올 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Ethanol Extraction Conditions from Propolis (a Bee Product)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성호;김인호;강복희;이경희;이상한;이동선;김소미;허상선;권택규;이진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08-91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프로폴리스의 다양한 효능을 이용한 식품 소재 개발을 위해 반응표면분석을 이용하여 프로폴리스의 에탄올 추출농도(50, 60, 70, 80, 90%)와 추출시간에 따른 항산화능, 플라보노이드 등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에탄올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다가 80% 이상에서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출시간보다는 에탄올 농도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에탄올 농도가 높을수록, 추출시간이 짧을수록 전자공여능이 증가하였으며, 추출시간보다는 에탄올농도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능이 가장 높은 범위는 에탄올 농도 65~75%, 추출시간 2.2~3.6시간이었다. 추출물의 아질산염소거능은 에탄올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추출시간이 짧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탄올 농도 68~82% 및 추출시간 2.4~3.7시간 범위에서 최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에탄올 농도 및 추출시간 모두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탄올 농도, 추출시간에 따른 반응표면을 superimposing하여 얻은 프로폴리스의 최적 추출조건의 범위는 에탄올 농도 72-82%, 추출시간 2.2-3.3시간 범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방법을 달리한 보리 잎의 생리활성 (Physiology Activity of Barley Leaf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 박수진;이재순;허영회;문은영;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2호
    • /
    • pp.1627-1631
    • /
    • 2008
  • 다양한 방법으로 건조한 보리 잎의 생리활성을 분석한 결과, 보리 잎의 추출수율은 건조방법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페놀함량은 건조방법별 함량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열처리 후 건조한 보리 잎에서 생잎 다음으로 높게 나타났고, 음건, 진공 동결 건조, 전자레인지 후 건조한 보리 잎에서는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SOD 유사활성은 생잎 $95.69{\pm}0.33%$, 열처리 후 건조한 보리 잎 $94.96{\pm}0.77%$, 음건 $92.04{\pm}1.35%$, 진공 동결건조 $91.53{\pm}0.40%$, 전자레인지 건조 $92.58{\pm}0.27%$로 90% 이상의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대조군인 항산화제 sesamol $88.42{\pm}0.80%$, tocopherol $88.86{\pm}0.61%$, BHT $86.62{\pm}0.89%$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생잎과 전자레인지 건조한 보리 잎을 제외하고 80% 이상의 peroxyl radical 소거능 및 90% 이상의 높은 xanthine oxidase 저해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건조방법별 보리 잎의 총 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건조방법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나, 항산화 능력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발효 미생물에 따른 누에동충하초 발효산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Fermentation products of Paecilomyces tenuipes Fermented Using Different Microorganisms)

  • 조유영;권해용;김현복;지상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37-243
    • /
    • 2017
  • 누에동충하초의 유효성분 증가 및 흡수력 향상을 위한 발효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유산균, 고초균, 낫토균, 효모 등 4종의 미생물을 이용하여 각 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조합으로 단 발효와 복합 발효를 시도한 15가지의 모든 경우의 수를 미생물 접종 조건으로 하여 발효산물을 제조하였다. 각 조건의 발효산물의 당도, 환원당, 단백질 함량 등 기본 성분의 함량 변화와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 항산화 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 혈전 용해 활성 등 건강식품 개발에 요구되는 항목들의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발효산물에서 환원당과 단백질 등 함량은 다소 낮아졌으나 효모를 이용하여 발효한 발효산물에서는 당도가 높아져 단맛이 증가하였으며, 총 폴리페놀과 항산화 활성은 발효 전 누에동충하초에 비해 발효산물에서 증가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총플라보노이드와 tyrosinase 저해활성 및 혈전용해 활성에서는 발효에 의해 증가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효모를 이용한 복합 발효균에서 대부분 활성의 증가를 나타냈으나 효모만을 이용한 단 발효에서는 그 활성의 증가를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유산균과 효모를 이용한 복합 발효 조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더욱 탁월한 건강기능효과를 가지는 누에동충하초 발효식품을 개발한다면 국민 건강 증진 및 양잠농가의 소득증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