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vonoid compounds

검색결과 741건 처리시간 0.046초

데침조건에 따른 참취의 생리활성성분 및 품질특성 변화 (Changes of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unds and Quality Properties of Aster scaber( Chamchwi) by Blanching Conditions)

  • 최남순;오상석;이종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45-75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예로부터 나물로 많이 애용되어 오던 산체중의 하나인 참취를 데침시간별로 1, 3, 5분과 데침액에 첨가한 소금농도를 0, 1, 2%로 달리하여 처리한 다음 vitamin C, carotene, chlorophyll, flavonoid와 polyphenol, 무기질 그리고 데침액의 이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데침조건에 따른 참취의 vitamin C 함량은 차이가 없었으며, ${\beta}-carotene$은 데침시간에 따른 영향은 받지 않은 반면 데침액의 소금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보유량이 증가했다. 2. Chlorophyll a의 함량은 무첨가시에만 데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소금을 1%, 2%로 첨가했을 때는 데침시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chlorophyll b는 데침시간과 소금농도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3. Flavonoid와 polyphenol 함량는 데침시간과 데침액의 소금농도에 의한 영향을 모두 받았는데, 데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데침액의 소금농도가 증가할수록 손실이 억제되었다. 4. 무기질 성분 중 Na함량은 소금, 데침시간, 그리고 두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한 영향을 받았다. 또한 K와 Mg함량은 데침시간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았으나 소금농도의 증가에 따른 함량변화는 없었다. Fe은 데침조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5. 데친 잎의 색도와 색차는 데침시간의 영향을 받았으나 소금농도에 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데침액은 적색도와 황색도 그리고 색차가 데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했으며 소금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무첨가시에 비해 색차의 변화가 적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참취를 데침조건을 달리하여 처리할 때 생리활성성분인 flavonoid와 polyphenol함량이 데침시간과 소금농도에 의해 가장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이는 데침액의 색도변화와도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므로 데침액에 용출되는 양은 데침조건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으며 데침시간이 짧고 소금농도가 높을수록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두충나무잎의 생리활성 Flavonoid 분석 (Flavonoid Analysis from the Leaves of Eucommia ulmoides)

  • 박종철;김성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901-905
    • /
    • 1995
  • 기호음료 및 약용으로 사용되는 두충나무잎의 품질 평가를 위한 HPLC로서 함유된 flavonoid 화합물을 정성, 정량 분석하였다. 즉 두충나무잎의 n-BuOH 분획으로 부터 astragalin, isoquercitrin, quercetin $3-O-{\beta}-D-xylopyranosyl(1-2)-{\beta}-D-glucopyranoside$의 3종 flavonoid 성분들을 분리하였으며, 이들 화합물은 LPLC의 THF-dioxane-MeOH-HOAc-5% $H_3PO_4-H_2O$(145 : 125 : 50 : 20 : 2 : 658) 혼합용매에서 양호한 분리능을 나타내었다. MeOH 엑스와 n-BuOH 분획 중에 astragaline의 함량은 각각 0.09%(w/w), 0.46%(w/w), isoquercitrin은 0.08%(w/w), 0.48(w/w), quercetin $3-O-{\beta}-D-xylopyranosyl(1-2)-{\beta}-D-glucopyranoside$은 0.40%(w/w), 1.22%(w/w) 함유되어있다.

  • PDF

삼지구엽초(Epimedium koreanum Nakai)의 추출성분 (Extractives from Epimedium koreanum Nakai)

  • 이태성;조재현;황병호
    • 임산에너지
    • /
    • 24권2호
    • /
    • pp.16-23
    • /
    • 2005
  • 삼지구엽초의 각 부분(잎, 줄기, 뿌리)을 MeOH로 추출한 후 농축하고 핵산, 클로로포름, 부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수용성으로 분획하여 동결건조하였다. 각 추출물은 메탄을 수용액 및 에탄올-핵산 혼합액을 사용하여 Sephadex LH-20 칼럼크로마토그래피로 화합물을 분리 한 후 TBA 및 6% 초산에 전개하는 셀룰로오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단리물질을 확인하였다. 단리물질의 화학적 구조는 $^1H-NMR,\;^{13}C-NMR$ 및 질량 분석으로 결정하였으며 단일화합물로 정제된 물질은 caffeic acid를 비롯하여 flavonoid와 그 배당체 화합물인 icariin, caffeic acid, hyperoside, Ikarisoside A, (+)-catechin이었다. 또한, 각 부분의 클로로포름 분획을 GC/MS (Libraries search)를 이용하여 정성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Opuntia ficus-indica Fruits

  • Kim, Jung Wha;Kim, Tae Bum;Yang, Heejung;Sung, Sang Hy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2권2호
    • /
    • pp.117-121
    • /
    • 2016
  • On the phytochemical investigation of a 70% ethanol extract of the fruits of Opuntia ficus-indica, (Cacataceae), we could result in the isolation of thirteen phenolic compounds including seven flavonoids (1 - 9) and four simple phenolic glycosides (10 - 13) by column chromatographic methods. Among the isolated compounds, picein (11), androsin (12), and $1-O-feruloyl-{\beta}-{\small{D}}-glucopyranoside$ (13)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O. ficus-indica; additionally, this is the first report $benzyl-O-{\beta}-{\small{D}}-glucopyranoside$ (10) from the genus Opuntia. The structures of the compounds were determined by spectral data analysis which included 1D, 2D NMR spectrum and ESIM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Leave Extractives of Platanus orientals L.

  • Si, Chuan-Ling;Kim, Jin-Kyu;Kwon, Dong-Joo;Park, Wan-Geun;Bae, Young-Soo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5호
    • /
    • pp.511-515
    • /
    • 2006
  • From the EtOAc soluble fractions of Platanus orientals Linn leaves, (+)-catechin (1), (+)-epicatechin (2), (+)-gallocatechin (3), kaempferol (4), quercetin (5), kaempferol-3-O-${\alpha}$-L-rhamnopyranoside (6), quercetin-3-O-${\beta}$-D-glucopyranoside (7) and tyrosol (8) were isolated. The structures of the isolated compounds were characterized by NMR and MS spectrometers.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isolated compounds and fractions were evaluated b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method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mpounds 1, 2, 3, 4, 5 and EtOAc soluble fraction exhibited greater activities than ${\alpha}$-tocopherol and BHT, while compounds 6, 8 and other fractions showed low activity compared to the controls.

고춧잎 품종별 항산화 활성과 항산화 성분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nstituents of Pepper Leaves from Various Cultivars and Correlation between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nstituents)

  • 구강모;김혜숙;김병수;강영화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2권2호
    • /
    • pp.70-76
    • /
    • 2009
  • 고춧잎의 항산화 성분을 알아보가 위해 13종의 고추품종으로부터 총 비타민 C, 총 패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스펙트로포토미터로 측정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의 범위는 각각 100g당 231 mg에서 516mg과 100 g당 251 mg에서 689 mg이었다. 고춧잎의 항산화 효과는 DPPH, ABTS 및 FRAP 실험으로 측정하였다. 비타민 C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총 페놀 함량과 DPPH, ABTS 및 FRAP 활성간에는 유의하게 높은 상관계수가 확인되었다. 특히 고춧잎의 항산화 효과는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일치하였다. 이 결과들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고춧잎의 항산화 활성에 크게 관여하는 것을 시사한다. 다양한 품종들의 고춧잎은 모두 다른 수준의 항산화능을 보였다. 이 연구는 고춧잎의 항산화능과 항산화 물질에 대한 좋은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머루 줄기와 자소자로부터 분리한 Resveratrol 올리고머와 Flavonoid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Resveratrol Oligomers and Flavonoids from the Stems of Vitis coignetiae Pulliat and the Seeds of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 손락호;진휘승;함아름;마응천;남궁우
    • 약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22-26
    • /
    • 2010
  • We studied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five compounds isolated from the stems of Vitis coignetiae Pulliat and the seeds of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Based on spectroscopic evidence, compounds 1 to 5 were characterized as resveratrol, $\varepsilon$-viniferin, ampelopsin E, apigenin, and luteolin, respectively.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Gram-po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nd -negative (Pseudomonas aeruginosa) bacteria and a fungus (Candida albican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disc diffusion and broth dilution methods. C. albicans was not inhibited by the five compounds. Compounds 2 and 5 had significan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 aureus, and the 50% inhibitory concentration ($IC_{50}$) of compound 2 against S. aureus was 7.2 ${\mu}M$. Compounds 4 and 5 significantly inhibited P. aeruginosa and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compounds 2 and 5 was 0.07 and 2.0 ${\mu}M$, respectively. Compounds 2, 4, and 5 ha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 aureus and P. aerugino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