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t system

검색결과 1,663건 처리시간 0.028초

MEK SEPARATION FROM ITS AQUEOUS SOLUTION BY MEMBRANE CONTACTOR

  • Hyoseong Ahn;Yoonjin Oh;Lee, Yongtaek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2003년도 The 4th Korea-Italy Workshop
    • /
    • pp.17-20
    • /
    • 2003
  • Separation of MEK(methylethylketone) was carried out experimentally by a flat membrane contactor using a variety of extracting organic compounds. A correlation equation of Sherwood number was determined in terms of Reynolds number and Schmidt number for the flat membrane contactor system. This correlation equation was applied to get theoretically the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 of MEK: it was compared to the experimental one. It was found that they are in good agreement.

  • PDF

고진공 펌프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High Vacuum pump system)

  • 김수용;이오걸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1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6-318
    • /
    • 2001
  • In this paper,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flat fluorescent lamp using ultraviolet generated from gas discharge and powder type electrolyminescent display(P-ELD) using a phenomenon of the light emission eaused by the electrical field applied to phosphor are studied. The lamp is a simple structure with insulator layer, phosphor layer, and gas gap. Current(displacement current + discharge current) in flat fluorescent lamp using.

  • PDF

영산강 하구 갯벌의 퇴적환경 변화 (Changes of Sedimentary Environment in the Tidal Flat of the Dammed Yeongsan River Estuar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 김영길;이명선;장진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87-697
    • /
    • 2019
  • 하굿둑과 좁고 깊은 수로형 하구의 특성을 갖는 영산강 하구에서 하구 갯벌의 퇴적환경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6년 동안(2005~2011) 표층퇴적물의 입도와 조간대 바닥의 높이 변화(침·퇴적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고, 2008년 9월에는 하구 조간대에서 수리관측을 수행하였다. 전체 갯벌의 82 %가 연안개발에 의해 사라진 영산강 하구의 갯벌은 현재 대부분 하부조간대의 좁은 갯벌로 남아있으며, 대부분 점토와 실트로 구성된 퇴적물은 전체의 70 ~ 94 %를 실트가 차지할 정도로 점토-부족, 실트-우세의 특성을 보인다. 이는 개발에 따른 점토퇴적 공간(즉 조상대와 상부 조간대)의 상실과 낙조류 우세의 조류 특성 변화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하구의 갯벌 퇴적물은 바람이 강한 가을부터 봄까지 실트가 많아져 조립해지고, 바람이 약하고, 방류량이 많은 여름에 점토가 많아져 상대적으로 세립해지는 계절적 변화를 보임으로써 하구 갯벌에서 퇴적물 입자의 거동이 실트 입자의 경우 풍파에 의해서, 점토 입자의 경우 주로 담수 방류와 조석작용에 의해 영향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구 갯벌에 대한 6년 동안(2005~2011)의 침·퇴적 모니터링 결과는 영산강 하구 조간대에서 연평균 -2.6 cm/y의 침식이 이루어졌고, 2010년경에는 특이하게 연평균 4 cm/yr의 퇴적이 일어났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하구 조간대의 침식은 하굿둑 및 영암-금호 방조제 건설 이후에 이루어진 조석의 진폭 증가와 낙조 우세 조류의 비대칭성 강화에 기인된 것으로 평가되며, 2010년의 퇴적은 하구 준설에 따른 부유물의 대량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난방용 태양열시스템 (Solar District Heating System)

  • 백남춘;이진국;윤응상;윤석만;신우철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63-668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solar heating system design for district heating and it's the performance analysis by experiment. This experimental system was installed in Bundang district heating area in the end of 2006. The flat plate and vacuum tube solar collector are combined in one system. So district heating water is heated first by flat plate solar collector and than by vacuum tube solar collector. This solar heating system has not a solar buffer tank and is operating with variable flow rate to obtain a setting temperature of $90{\sim}95^{\circ}C$. As a result, the daily solar thermal collection efficiency is about 30 to 40% for the plate type and 50 to 55% for the vacuum tube solar collector. It varied especially depend on the weather condition like as solar radiation and ambient temperature. This variable flow rate system can be also reduced much pumping power more than 50%.

  • PDF

금속학적 분석을 통한 판상철부의 제작기술 연구 - 울산 하대고분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lat Iron Axe Manufacturing Technology Using Metallurgical Analysis - Focused on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Hadae Ancient Tombs in Ulsan -)

  • 조하늬;유하림;이재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3호
    • /
    • pp.240-251
    • /
    • 2019
  • 울산 하대고분에서 출토된 판상철부의 미세조직을 금속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제작기술을 살펴보았다. 또한 기존의 판상철부 연구자료와 비교 및 검토하여 판상철부에 적용된 다양한 제작기술을 파악하였다. 울산 하대고분 44호 목곽묘에서 나란히 배열된 상태로 출토된 판상철부 10점을 과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판상철부의 제작기술 체계를 '(1) 순철-형태 가공, (2) 순철-형태 가공-침탄, (3) 순철-형태 가공-침탄-탈탄'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판상철부는 모두 단조에 의해 제작되었고, 순철을 소재로 두드려 형태를 만들었다. 특히 다수의 판상철부는 형태 가공 후 침탄 처리를 통해 재질을 강화시켰는데, 이는 중간 소재 또는 화폐로 통용됨으로써 당시 제철산업의 근간을 이루었던 철강 제품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형태 가공이나 침탄 이후에는 담금질이 실시되지 않았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순철을 소재로 제작한 판상철부의 미세조직에는 불순 개재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고, 비금속 개재물을 성분 분석한 결과, 유리상과 뷔스타이트가 함께 혼재한 철재(鐵滓)의 특징을 보여주므로 제련 공정에서 저온환원법이 적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Flat TDR 시스템을 이용한 지반의 물리적 특성 및 전단파속도 예측 (Prediction of Physical Properties and Shear Wave Velocity of the Ground Using the Flat TDR System)

  • 정찬욱;김대현
    • 지질공학
    • /
    • 제32권1호
    • /
    • pp.173-19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Flat TDR을 이용하여 지반의 전단파속도를 측정하였고 측정값의 정밀도 분석 및 현장적용성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Flat TDR 내 결합되어 있는 Piezo-stack을 이용하여 현장에서의 전단파속도 측정값을 도출하였고, 도출한 값의 검증을 위해서 들밀도시험, 동적콘관입시험(DCPT), 문헌조사 등을 적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실험결과 그라우트재 주입시 재령 초기 전단파속도 변화의 평균값은 10.15 m/s이며, 7~14일차 이후의 전단파속도 변화의 평균값은 65.99 m/s로 재령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OMC를 기준으로 건조 측에서는 함수비가 증가할수록 건조밀도와 전단파속도가 증가하고, 습윤 측에서는 함수비가 증가할수록 건조밀도와 전단파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현장시험 결과 도출된 전단탄성계수 값이 최소 17.36 MPa에서 최대 28.13 MPa로 확인되어 참고문헌 값과 유사한 측정값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Flat TDR을 이용한 전단탄성계수의 측정값이 신뢰성이 있는 데이터임을 알 수 있고, 추후 현장 지반의 다짐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하구역 모래갯벌인 봉암갯벌(경남 마산)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봄철 공간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zoobenthos During Spring Season in the Estuarine Sandy Tidal Flat of Masan Bay, Korea)

  • 서진영;안순모;최진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3호
    • /
    • pp.211-218
    • /
    • 2007
  • 본 연구는 하구역 모래갯벌인 봉암갯벌(경남 마산)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공간적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2004년 3월에 12개 조사정점을 선정하여 수행되었다. 총 출현 종수는 13종이었고, 서식밀도는 $20,267\;ind./m^2$, 생물량은 $228.1g/m^2$였다. 봉암갯벌에서 가장 우점한 종은 다모류인 Prionospio japonicus로 $11,716\;ind./m^2$의 서식 밀도를 보였고 전체 출현개체수의 57.8%를 차지하였다. 다모류인 Polydora ligni($3,929\;ind./m^2$, 19.4%), Neanthes succinea($3,425\;ind./m^2$, 16.9%)도 우점하였다. P. japonicus는 모든 정점에서 높은 서식밀도를 보였고, 특히 해안에 인접한 정점들에서 대량으로 출현하였다. N. succinea는 갯벌중앙의 상부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서식밀도를 보였다. 종다양성지수(H')는 $0.6{\sim}1.2$의 범위로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봉암갯벌의 낮은 H'값은 정점당 출현 종수가 6종 내외로 적었고, 다모류인 P. japonicus를 포함한 2-3종의 우점종이 대량 출현한 현상에 기인하였다. 집괴분석 및 MDS배열법 결과 봉암갯벌은 크게 2개의 정점군으로 구분이 되었으며, 봉암갯벌의 대형저서동물은 조위에 따른 노출시간의 차이에 의해 군집조성과 우점종 분포에 차이를 보였다.

Rock-pile식(式) 집열기(集熱器)를 이용(利用)한 농산물건조(農産物乾燥)에 관(關)한 연구(硏究) (Drying of Agricultural Products by the Flat-plate Solar Collector with Rock-piled Heat Storage Medium)

  • 장규섭;김만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2호
    • /
    • pp.75-81
    • /
    • 1983
  • 태양열(太陽熱) 축열장치(蓄熱裝置)의 개발(開發)을 위(爲)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爲)하여 태양열(太陽熱)의 축열매체(蓄熱媒體)로 돌을 이용(利用)한 평판집열기(平板集熱器)을 제작(製作)하여 집열기(集熱器)의 효율(效率), 총열전달계수(總熱傳達係數), 집열기(集熱器)에 의(依)한 상승온도등(上昇溫度等)을 분석(分析)하고 이를 열원(熱源)으로 벼와 고추에 대(對)한 건조실험(乾燥實驗)을 하였다. 초기함수율(初期含水率) 24.5%인 벼를 14.5%까지 건조(乾燥)시키는데 상온통풍건조(常溫通風乾燥)에서는 약(約) 18일(18日), 튜브형집열기(型集熱器)에서 약(約) 12일(12日), 평판집열기(平板集熱器)에서 약(約) 10일(10日)이 소요(所要)되었으며 통고추 건조(乾燥)의 경우 일광건조(日光乾燥)에서 약(約) 68시간(68時間), 튜브형집열기(型集熱器)에서 약(約) 38시간(38時間), 평판집열기(平板集熱器)에서 약(約) 36시간(36時間)이 소요(所要)되었다. 고추를 절단(切斷)하여 건조(乾燥)할 경우 수평(水平)으로 절단(切斷)하는 것이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건조(乾燥) 과정중(過程中) capsanthine과 capsaicine성분(成分)의 변화(變化)는 건조방법(乾燥方法)이나 절단방법(切斷方法)에 따라 고추의 품질(品質)에 영향(影響)을 미치는 정도(程度)는 아니라고 사료(思料)되었다.

  • PDF

비대칭 엇갈림 배열로 구성된 납작관-평판휜 형상의 밀집형 열교환기에 대한 대류열전달 특성 해석 (Analysis of Convectiv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for the Compact Heat Exchanger with Flat Tubes and Plate Fins Having a Non-symmetric Staggered Arrangements)

  • 모정하;이상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3권5호
    • /
    • pp.318-325
    • /
    • 2009
  • Numerical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air-side convectiv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in compact heat exchanger with flat tubes and continuous plate fins having a symmetric and non-symm etric staggered arrangements. Simulation results such as air velocity and temperature distributions are presented, and heat transfer coefficients are compared with previous experimental resul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low and heat transfer features by periodic boundary conditions, the three blocks were used. Predicted heat transfer coefficients between the three blocks are similar while there are relatively differences,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data. From the calculated results a correlation for Colburn j factor in the compact heat exchanger system is suggested. The predicted results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optimal design of air condition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