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ming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1초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의 플레밍(Flaming) 현상과 공론장의 가능성 - 2011년 서울시장 선거 이슈 분석 - (A Study on Flaming Phenomena in Social Network: Content Analysis of Major Issues in Seoul Mayor Reelection in 2011)

  • 조화순;김정연
    • 정보화정책
    • /
    • 제20권2호
    • /
    • pp.73-90
    • /
    • 2013
  • 소셜 네트워크 공론장에서의 이성적 토론과 공개적 대화는 숙의 민주주의 실현에 중요한 조건이다. 그런데 온라인 공간에서는 현실 공간보다 빈번하게 부정적 커뮤니케이션이 이뤄질 수 있으며 상호 적대적인 메시지가 나타나고 있다. 2011년 10.26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과정에서는 특정 지지자를 중심으로 결집한 시민들이 후보를 인신공격하거나 욕설, 비방하는 행동이 나타났다. 그렇다면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에서 플레밍 현상은 어떻게 그리고 어떤 수준으로 나타났는가? 플레밍 현상을 선동하는 영향력자가 존재하는가? 이들 영향력자의 플레밍 정도는 일반 사용자와 비교할 때 어떤 수준인가? 본연구는 선거과정에서 나타나는 플레밍 현상에 주목하여 메시지의 파급정도를 데이터 마이닝하여 이슈별로 분석하고 영향력자(Influencer)와 일반 트윗의 차이를 내용 분석하였다. 후보자 개인을 비판, 조롱, 악의적으로 공격하거나 편향된 정보가 유통되는 플레밍 현상이 빈번하게 나타났고 의견을 선도하는 영향력자들이 일반 이용자보다 더 높은 플레밍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 PDF

온라인 플레밍(flaming) 발생 요인과 해소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riggering and Medicating Factor of Online Flaming)

  • 구교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9권
    • /
    • pp.224-249
    • /
    • 2007
  • 본 논문은 반사회적 활동으로 평가받고 있는 온라인 플레밍 현상을 설명하고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상황에 걸쳐 일관된 행위 패턴을 보여주는 개성 특질(personality trait) 그리고 사회인구학적 요인(성별, 연령)을 통해 플레밍 행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높은 플레밍을 보여주는 유의미한 설명변인 집단들에게 메시지 신뢰도가 미치는 영향 정도를 연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인터넷 조사기관의 온라인 설문을 통한 자료수집이 이뤄졌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성별과 연령 그리고 언어적 공격(verbal aggression) 특질은 플레밍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남성, 10대, 그리고 공격 특질이 높은 사람들은 플레밍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플레밍 해소방안으로서 분석된 메시지의 신뢰도는 성별, 연령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개성 특질과는 어느 정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에서 이뤄지는 커뮤니케이션의 질(quality)은 플레밍을 해소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플레이밍(Flaming)에 영향을 끼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영향 모델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Online Flaming: Centering on the Social Influence Model)

  • 심재웅;김진희
    • 정보화정책
    • /
    • 제20권4호
    • /
    • pp.51-70
    • /
    • 2013
  • 이 연구는 톰슨(Thompsen, 1996)의 사회적 영향 모델을 중심으로 인터넷 플레이밍에 대한 해석과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변인을 탐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특히, 사회적 영향 변인의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고등학생과 대학생 집단의 응답을 서로 비교분석했다. 분석결과, 플레이밍 행위의지에 관해서는 고등학생과 대학생 모두 집단규범에 따른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와 함께 고등학생은 플레이밍에 대한 대리학습이 많을수록, 대학생은 플레이밍에 대한 대화가 많을수록 플레이밍 행위의지가 높았다. 플레이밍 행위경험과 관련해서는 고등학생과 대학생 모두 집단규범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고등학생은 직접적 언급이 많을수록 플레이밍 행위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변인들의 영향력을 고려한 이 연구는 플레이밍에 대한 보다 포괄적 이해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온라인 상의 적대적 행동에 정보과부하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formation Overload on Hostile Behaviors Online)

  • 진상형;이철;장영빈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9-197
    • /
    • 2019
  • 온라인 상에서의 사용자 행동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어떤 메커니즘에 의해 사용자들이 적대적인 행동을 하는지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많지 않다. 이러한 점에서, 이 연구는 무엇이 사용자의 적대적인 행동을 야기하는지를 밝혀내고자 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악성 댓글 같은 플레이밍(Flaming)과 지각된 위험, 익명성, 기대 감정 반응(Expected Emotional Reaction) 등의 인지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했다. 이러한 관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설문조사가 이루어 졌고, 모든 변수들이 플레이밍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정보 과부하(Information Overload)가 지각된 위험과 플레이밍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사용자들이 경험하는 정보 과부하를 줄이는 것은 온라인 커뮤니티를 건전하게 유지하는 방법일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생활 주변에서 사용되는 건축용 목재의 연소성 (Combustion Properties of Construction Lumber Used in Everyday Life)

  • 우태영;유지선;정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2호
    • /
    • pp.37-43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4종의 삼나무, 스프러스, 나왕, 레드파인 시험편을 콘칼로리미터(Cone calorimeter, ISO 5660-1, 2)와 연기밀도시험기(ASTM E 662)를 이용하여 연소성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삼나무가 착화시간이 가장 빨랐고 평균열방출율($HRR_{mean}$)이 $58.52kW/m^2$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레드파인의 평균열방출율($HRR_{mean}$)이 $71.75kW/m^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CO 발생량에서는 나왕과 삼나무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반대로 $CO_2$ 발생량에서는 레드파인과 스프러스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동적방법에서의 총연기방출율은 레드파인이 연기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스프러스가 가장 적게 발생하였다. 정적방법에서의 연기밀도는 레드파인이 훈소(Non-flaming) 방식과 불꽃(Flaming) 방식에서 가장 높았다. 나왕은 훈소(Non-flaming) 방식에서 2번째로 연기가 많이 발생한 데 반하여 불꽃(Flaming) 방식에서는 가장 적게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열방출율 측면에서 화재위험성은 4가지 시험편 중 레드파인이 가장 높았다. 연기발생 관점으로 보아도 동적인 방식과 정적인 방식 모두 레드파인이 화재 위험성이 가장 높은 재료였다.

대사증후군이 동반된 간화상염 변증 환자에 대한 한의정신요법 병행 한의치료 증례보고 (A Patient with Liver Fire Flaming Upward and Metabolic Syndrome Improved by Korean Medicine: A Case Report)

  • 조준희;임정화;김보경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85-495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a case of a patient with pattern identification of liver fire flaming upward and metabolic syndrome improved by Korean medicine. The patient felt completely lost. She was treated for headache, insomnia, and metabolic syndrome with Korean medicine and psychotherapy.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Insomnia Severity Index (ISI), Pattern Identification Tool for Insomnia (PIT-Insomnia),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MMPI-2), and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 were used for assessment. During treatment for six months, the patient stopped taking headache pills. Her blood pressure was stabilized. Her body weight, body fat, body mass index (BMI), and visceral fat decreased significantly. The sum of ISI, PSQI, PIT-insomnia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Her Ego strength increased in the MMPI-2 supplementary scale. We assume that Korean medicine treatment through acupuncture, herbal medicine, and psychotherapy is effective in treating pattern identification of liver fire flaming upward and metabolic syndrome.

THE PARTICLE SIZE EFFECT ON COMBUSTION BEHAVIOR OF CELLULOSE INSULATION

  • Choi, Jeong-Hwa;Kim, Hong;Ryu, Kyong-Ok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7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re Science and Technology
    • /
    • pp.185-192
    • /
    • 1997
  • The combustion of cellulose insulation treated with Borax, Boric acid and Aluminum Sulfate as combustion retardants is examined by candle type combustion tester. The cellulose fibers in cellulose insulation are classified by diameter as less than 0.2mm, 0.2mm-0.5mm, 0.5mm-2mm and more than 2mm. The burning behavior of cellulose insulation are studied by LOI (Limit Oxygen Index: Beginning point of smoldering), L- point (Lower point of combustion transition from smoldering- flaming to flaming combustion), LOI, L-point and H-point rise with the increasing particle size of cellulose fibers because thermal decomposition rate of cellulose fiber decreases. The phenomena of combustion transition from smoldering to flaming combustion are determined by the generating rate of combustible gas and the formation rate of combustible gas mixture within the zone of cellulose fiber heated.

  • PDF

졸-겔법으로 제조된 방염제졸의 연기밀도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moke Density Characteristics of Flame Retardant Sol Manufactured by a Sol-gel Method)

  • 조경래;이춘하;김시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3호
    • /
    • pp.11-1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내에 사용되는 실내장식물의 가연성으로 인해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로 인한 인명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무기물의 실리케이트와 유기물의 실란커플링제를 졸-겔법으로 합성하여 방염성을 부여할 수 있는 비할로겐 방식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방염제졸을 새롭게 제조하였다. 제조된 방염제졸의 성능확인을 위해 방염성능기준에 의거한 연기밀도 측정기준인 ASTM E 662의 시험장치 및 절차에 따라 훈소모드 실험 및 불꽃모드 실험을 진행하여 성능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조된 방염제졸은 기존의 방염제의 물성과 내열성능을 높여 화재 시 연기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향후 다양한 실내장식물에서도 확대적용 함으로써 연기에 의한 피해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생각된다.

목재 가연물의 두께에 따른 화염연소와 훈소상태에서의 화재특성 (Fire Characteristics of Flaming and Smoldering Combustion of Wood Combustibles Considering Thickness)

  • 김성찬;남동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67-72
    • /
    • 2015
  • 본 연구는 콘칼로리미터 실험을 통해 건축물 마감재와 가구소재로 널리 적용되는 목재 가공품의 화염연소와 훈소시 화재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시험대상 목재 가연물은 MDF, 합판, 칩보드이며 $50kW/m^2$의 복사열유속을 시편에 가하여 점화를 유도하였다. 실험과정에서 화재특성을 나타내는 발열량, 연소가스 생성율, 유효연소율 등의 주요 인자를 가연물의 두께에 따라 정량화하였다. 실험결과 초기 평면방향의 화염전파와 후기 시편의 관통에 의한 화재확대로 인해 단위면적당 발열량에 대한 두 개의 피크점이 관측되었다. 화염연소시의 질량감소율이 훈소시에 비해 5배 이상 높게 나타난 반면에 훈소과정에서 CO 생성율은 화염연소에 비해 10배 이상 높게 측정되어 훈소시 높은 독성가스 생성율을 보였다. 본 연구는 목재 가연물의 화재성상을 이해하고 화재해석을 위한 물성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난연도료의 도포 두께별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each Coating Thickness of Fire Retardant Paints)

  • 김홍;박형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36-4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지하공동구 및 트레이에 설치된 케이블의 화재시 화염전파를 막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수성 및 유성계 난연도료의 도포 두께별 연소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연기밀도(ASTM E 662)와 산소지수 (ASTM D 2863) 시험법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난연도료의 연소특성은 다음과 같다. (a) 난연도료의 최적 두께는 수성계의 경우 1.5∼2mm, 유성계의 경우 0.2mm 것으로 나타났다. (b) 연기밀도는 Non-flaming방식보다 Flaming방식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c) 연기밀도와 산소지수를 측정한 결과 수성계 난연도료가 유성계 난연도료 보다 연소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d)수성 및 유성계 난연도료의 산소지수가 규격(30이상)에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