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ive colors

검색결과 337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 민화 화조화의 특성을 활용한 3D 디지털 패션 디자인 (Development of 3D Digital Fashion Design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 and Bird Paintings in Korean Folk Paintings)

  • 설경희;이연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5-31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fashion design development method using the external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 and bird paintings in traditional Korean folk paintings. As a research method, external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folk paintings were examin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search, and folk painting patterns were developed into digital textile designs. Five 3D digital fashion designs were proposed using the CLO 3D program. Th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folk paintings were as follows: simplification and planarization of object representation, diversification of viewpoints, ignorance of perspective and symmetrical enumeration, strong colors and contrast effects, and the simultaneous representation of time.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folk paintings were as follows: symbolic meaning, the beauty of free humor, modest aesthetics, complexity of reality and fantasy, and desire of shamanis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flower and bird painting was a decorative painting style that emphasized decorative beauty and was suitable for developing fashion designs with Korean originality because of the symbolic and internal meanings. Simple layouts and bold free-spirited representations were effective ways to fill the screen with objects and gave the pattern a decorative effect. Secondly, developing a virtual clothing prototype based on digital design method using the external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folk paintings and producing realistic fashion designs suggest the integrated use of science and technology, embodying modern fash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digital fashion content and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Thirdly,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3D digital fashion designs, an eco-friendly and sustainable fashion design methods with virtual clothing can suggest a design development method that saves time and cost in the fashion design process while considering the environment.

Variation of Major Isoflavone Contents in Soybeans (Glycine max (L.) Merill.) of Collection Area, Diversity, and Seed Coat Color

  • Yu-Mi Choi;Hyemyeong Yoon;Sukyeung Lee;Ho-Cheol Ko;Myoung-Jae Shin;Myung-Chul Lee;On sook Hur;Na young Ro;Kebede Taye Desta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6-96
    • /
    • 2020
  • Soybean seeds are important sources of non-nutritive health promoting metabolites. The contents of these metabolites are affected by both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present study, the contents of five common isoflavones including daidzin, genistin, glycitin, malonyldaidzin, and malonylgenistin were analyzed in 72 soybeans of different seed coat colors, diversity, and of different origins including China (22), Japan (9), USA (12), India (4), and Korea (25). The average total isoflavone content (TIC) was maximum in Indian soybeans (3302.36 ㎍/g) and minimum in Chinese landraces (1214.95 ㎍/g). The Korean landraces had higher average TIC (2148.05 ㎍/g) than the USA genetic materials (1580.23 ㎍/g) and Japanese landraces (1485.99 ㎍/g). The content of malonylgenistin was in the range of 54.31 - 2385.68 ㎍/g in the entire population, and was the most abundant isoflavone irrespective of origin although there was content variation among individual soybeans. Besides, glycitin was the least concentrated isoflavone, and its content ranged from 0.00 to 79.79 ㎍/g. With respect to seed coat color, green soybeans from all countries displayed the maximum malonylgenistin and TIC contents. Exceptions were those of Korean and Indian origins where black and yellowish-green soybeans presented the highest malonylgenistin and TIC contents, respectively. In multivariate analysis, 92.72% of the variance was explained by the first two principal components, and the soybeans were grouped in to three clusters based on isoflavone contents. Overall, our findings signify the importance of seed coat color and origin as discriminant parameters, and provide wide spectrum of routes for breeding soybean cultivars.

  • PDF

중국 전통 전지(剪纸) 공예 특성을 활용한 3D 디지털 패션 디자인 (Development of 3D digital fashion design using traditional Chinese paper-cutting characteristics)

  • 로림림;이연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32권3호
    • /
    • pp.345-363
    • /
    • 2024
  • This study aims to analyze fashion design cases using traditional elements based on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traditional folk cultural paper-cutting crafts in China, and to expand the area of fashion design using traditional elements by developing 3D digital fashion design. For herein, the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paper-cutting crafts were investigated. This survey facilitated an analysis of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battery crafts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As for the analysis case, the case of using battery crafts expressed in modern fashion for 10 years from 2010 to 2024 S/S was sele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paper cutting technology-relief, micro-carved, combined with relief and micro-carved expressive techniques of engraving art effect-can be explored by analyzing contemporary fashion case collections through the perspective and trend of leading traditional culture. Second, in the traditional paper cutting process, most paper-cutting works are expressed in red, but white and black are mainly used in fashion, in addition to the active use of the five colors.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fashion patterns primarily utilize the paper-cutting process, incorporating elements such as plants, animals, and geometric patterns. Fourth, the utilization of paper cutting in 3D digital design offers time and economic benefits, allowing for quick adjustments to various design developments. In contemporary fashion, it is expected that the use of paper cutting can provide useful creativity and value for the inheritance and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조선후기 박쥐상징 회화와 공예품의 분석-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Analysis by Bat Symbol of Paintings and Crafts in late-Joseon Period: Focused on museum collections)

  • 엄소연
    • 고문화
    • /
    • 69호
    • /
    • pp.41-62
    • /
    • 2007
  • 본고는 박물관 소장 조선후기 박쥐상징 회화와 공예품의 특징적 경향에 따른 잠재적 활용 및 재인식을 배경으로, 박쥐상징 공예품의 원천적 의미를 조선시대의 박쥐관념과, 이와 연관된 박쥐상징 회화의 의미체계에 두고, 그 외연과 내포적 함의관계를 조형.숫자.색채상징의 특성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박쥐상징 공예품은 소장연원이 분명한 박물관 소장품을 분류, 주생활 공예품으로 한정하였고 궁수용.민수용으로 구분하여 분석해 보았다. 조선시대의 박쥐관념은 박쥐의 형태적.생태적.어원적 속성을 기반으로 긍정적.중간적.부정적 측면이 공존하였다. 또한 박쥐상징 회화는 그 예가 드물었으나, 대개 박쥐의 형태적.생태적 속성에 대한 긍정적 관념을 바탕으로 한 도교의 의미체계와 결부, 신선.장생.천신의 수호자.장수의 축원을 의미하였다. 한편 궁수용 주생활 공예품의 박쥐상징은 회화의 의미체계와 연관된 장수의 상징물로, 왕실의 만대장수 및 번영을 축원하였다. 이러한 상징의미는 청나라 황실의 길상풍속인 오복관념의 동음이자에 의거, 숫자상징 '5'.'4' 와 '수자변형문' 의 결합을 기본으로 한 '박쥐[蝙蝠]$\rArr(蝙)蝠$\rArr$$\rArr$五福' 와, 숫자상징 '1'을 특성으로 蝠倒$\rArr$福到$\rArr$福運의 도래' 를 함의하였으나, 보다 장수 상징에 치중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에 비해서 민수용 주생활 공예품은 대부분 여성용 가구류의 금구장식과 지공예품에 등장하였다. 금구장식의 박쥐상징은 백색-은색의 색채상징과 숫자상징 '1' 의 '비행형' 을 특성으로 길상적 오복관념과 벽사적 '지킴이'를 의미하였다. 또한 지공예품의 박쥐상징은 박쥐 1쌍의 숫자상징 '2'와 삼태극의 결합형식을 기본으로, 오색의 색채상징 특성을 통해서 '쌍복' 과 여성들의 현세적 염원인 화목, 다남자의 기본적 측면을 투영하였다. 이러한 민수용 주생활용품의 박쥐상징은 도교적 의미체계나 길상적 동음이자보다는 외연의 시각적 이미지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박쥐$\iff$복.지킴이' 로 볼 수 있었다.

  • PDF

조선 후기 무위(武威)의 상징 대기치(大旗幟) 고증 (A historical study of the Large Banner, a symbol of the military dignity of the Late Joseon Dynasty)

  • 제송희;김영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4호
    • /
    • pp.152-173
    • /
    • 2021
  • 대기치는 임진왜란 중에 새로운 군사 제도와 함께 도입된 깃발이다. 군사 훈련에서 표식으로 세워 군사들의 움직임을 통제하거나 상급자를 영접하기 위해 세우던 사방 4자 이상의 큰 깃발로 군영에서 국왕을 영접할 때 국왕 행차 앞에 세우는 어전 대기치, 사신 영접과 파견, 지방관의 행차 등에 다양하게 쓰였다. 군사 훈련권을 상징하는 대기치를 통해 무위를 과시하는 사회적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대기치의 깃대 장식을 영두·주락(상모)·운봉을 갖춘 I유형과 영두·주락·치미를 갖춘 II유형으로 나누어 형식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I유형에는 청도기·각기·문기가, II유형에는 대·중·소 오방기와 금고기·표미기가 속하는데 각각의 용도에 맞추어 장식을 달리하였다. 깃발의 크기는 네 변이 4자 이상의 정사각형에 상하와 세로 한 면에 화염각을 달아 세로가 약간 긴 정사각형에 가까웠던 것으로 추정된다. 대기치는 음양오행의 원리에 따라 오방색을 기본으로 활용하였다. 대기치의 문양은 오방을 상징하는 신수와 도교 부적 글자를 결합한 대오방기, 오방을 호위하는 신장들을 그린 중오방기, 팔괘문을 그린 소오방기, 군문을 엄격히 지키라는 뜻의 익호 문양의 문기로 대별된다. 대기치 제작을 위한 채색 사료로 오사카부립도서관 소장품 컬러 필사본 『기제』를 18세기 중후반의 용호영의 견식으로 비정하고 본 논고 서술과 시각화 작업에서도 중요하게 활용하였다. 대기치의 바탕 재료는 군권의 위엄을 드러내기 위해 수입 운문대단을 썼다. 크기는 영조척 1자(30cm)를 적용하여 4자 깃발은 세로 170cm, 가로 145cm, 5자 깃발은 세로 200cm, 가로 175cm로 확정하였다. 아울러 국왕 의장기 중 대기 > 중기 > 대기치로 조선 후기 전체 깃발 안에서의 위계 질서를 확인하였다. 위의 문헌 및 회화 분석을 통한 고증과 유물 자료를 토대로 두 유형으로 나눈 대기치를 시각화하였다. 시각화에서는 본 논고에서 고증한 깃발의 크기, 깃대 장식, 깃발별 문양 장식을 고려하여 제시하였다. 깃발의 바탕은 운문대단으로 18세기 운보문단 유물에 표현된 운문과 보문 문양을 제시하여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고자 하였다. 색상과 크기, 재질의 문양, 부대물품 등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3D 콘텐츠 제작뿐만 아니라 실물 제작까지 가능하도록 하였다.

궁중정재 <오양선>의 전통문화콘텐츠화 시론 - 아시아 전통춤의 전파와 변용을 바탕으로 - (A Direction of Developing a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of Korean Court Dance Oyangseon - With a Base on the Historical Transmission, Reception of Asian Traditional Dance -)

  • 허동성
    • 공연문화연구
    • /
    • 제35호
    • /
    • pp.509-541
    • /
    • 2017
  • 본 연구의 기본 취의는 역사적으로 문화적 친연성을 지닌 아시아권의 전통춤을 대상으로 한 전통문화콘텐츠 구축을 위한 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당악정재 곡목인 <오양선(五羊仙)>을 한 예범으로 그 역사적, 문학적 근거를 통해 그 배경서사의 연원이 고대 남월(南越; 베트남) 지역의 오양선 설화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다섯 신선이 오색의 양을 타고 오양성(五羊城; 현재의 중국 광주(廣州)에 내려와 여섯 개의 벼이삭(六穗?)을 하사하였다는 설화이다. 나아가 후대에 쓰여진 베트남의 구전설화 <월정전(越井傳)>, 중국의 전기(傳奇) 작품인 <최위(崔?)>가 이 원(原)서사에서 비롯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우리나라 <오양선>의 창사에 나타난 배경서사는 원서사에 서왕모와 천도 모티프를 추가하여 군왕의 축수(祝壽)와 덕치, 나라의 태평성대를 축원하는 의례적 모티프를 강화하였다. 본고에서는 3국 내 오양선 서사의 이러한 공통성에 주목하여 그를 소재로 한 각국 전통춤의 전승 현황을 추적한 바 중국의 경우 최근 우리나라 <오양선>을 참고하여 <오양선무>를 재창작한 반면 베트남의 경우 전승이 부재하였다. 그에 따라 전통문화콘텐츠 구축 프로젝트의 추진을 위해 베트남 공연단을 섭외하여 <월정전> 설화를 소재로 한 <치유의 쑥잎>이란 곡목을 창작케 하였다. 그 결과 오양선 설화를 소재로 한 3국의 춤을 한 무대에서 합연함으로써 아시아 악무의 공통적 서사 기반에 기초한 새로운 전통문화콘텐츠 구축의 시론적 방향성을 제시하고 나아가 춤을 통한 아시아 문화공동체 구축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전통 상단예불의 음악적 특징 고찰 - 조계종과 태고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Sangdanyebul - Focusing on the Jogye Order and Taego Order -)

  • 차형석
    • 공연문화연구
    • /
    • 제35호
    • /
    • pp.471-508
    • /
    • 2017
  • 본 연구의 기본 취의는 역사적으로 문화적 친연성을 지닌 아시아권의 전통춤을 대상으로 한 전통문화콘텐츠 구축을 위한 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당악정재 곡목인 <오양선(五羊仙)>을 한 예범으로 그 역사적, 문학적 근거를 통해 그 배경서사의 연원이 고대 남월(南越; 베트남) 지역의 오양선 설화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다섯 신선이 오색의 양을 타고 오양성(五羊城; 현재의 중국 광주(廣州))에 내려와 여섯 개의 벼이삭(六穗?)을 하사하였다는 설화이다. 나아가 후대에 쓰여진 베트남의 구전설화 <월정전(越井傳)>, 중국의 전기(傳奇) 작품인 <최위(崔?)>가 이 원(原)서사에서 비롯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우리나라 <오양선>의 창사에 나타난 배경서사는 원서사에 서왕모와 천도 모티프를 추가하여 군왕의 축수(祝壽)와 덕치, 나라의 태평성대를 축원하는 의례적 모티프를 강화하였다. 본고에서는 3국 내 오양선 서사의 이러한 공통성에 주목하여 그를 소재로 한 각국 전통춤의 전승 현황을 추적한 바 중국의 경우 최근 우리나라 <오양선>을 참고하여 <오양선무>를 재창작한 반면 베트남의 경우 전승이 부재하였다. 그에 따라 전통문화콘텐츠 구축 프로젝트의 추진을 위해 베트남 공연단을 섭외하여 <월정전> 설화를 소재로 한 <치유의 쑥잎>이란 곡목을 창작케 하였다. 그 결과 오양선 설화를 소재로 한 3국의 춤을 한 무대에서 합연함으로써 아시아 악무의 공통적 서사 기반에 기초한 새로운 전통문화콘텐츠 구축의 시론적 방향성을 제시하고 나아가 춤을 통한 아시아 문화공동체 구축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한국 재래 계육 내 리놀레산과 아라키돈산 함량의 계통 간 차이 및 유전 모수 분석 (The Line Differences and Genetic Parameters of Linoleic and Arachidonic Acid Contents in Korean Native Chicken Muscles)

  • 진실;박희복;정사무엘;조철훈;서동원;최누리;허강녕;이준헌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51-157
    • /
    • 2014
  • 한국 재래닭은 한국 고유의 유전자원으로써 깃털 색에 따라 회갈색, 흑색, 적갈색, 백색, 황갈색의 다섯 계통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들은 일반 육계와 다른 독특한 육질과 풍미를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닭고기의 풍미를 높이는 것으로 알려진 아라키돈산의 함량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재래닭 5계통에서 아라키돈산의 함량과 그 전구 물질인 리놀레산의 함량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는 총 597마리의 $F_1$ 개체를 이용하였으며, 각 개체의 다리육과 가슴육에서 아라키돈산과 리놀레산의 함량에 대하여 조사하고, 계통 간의 유의성 검정, 유전력과 유전모수 추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한국 재래닭 5계통 간의 아라키돈산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라키돈산의 유전력은 다리육과 가슴육에서 모두 중도 이상의 높은 유전력(0.414~0.570)을 나타냈으며, 아라키돈산과 리놀레산의 유전 상관계수는 부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재래닭 5계통을 이용하여 풍미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라키돈산 형질에 대한 선발과 실용 재래닭 개량을 위한 육종계획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시판중인 일부 화장품의 중금속 농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cosmetics on the market)

  • 이헌;유유정;박명희;김정호;이용희;문찬석;황용식;문덕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4호
    • /
    • pp.666-679
    • /
    • 1998
  •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the fundamental data on the field of cosmetics by comparing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terms of domestic/foreign products, items, companies and colors. This study has determined the concentration of chromium, lead, mangagnese, nickel, copper and vanadium in cosmetics such as moisturizer, concealer, foundation (Ivory-yellow), compact powder (Ivory-yellow), lip colo. (Red, brown), eye shadow (Red, brwon and dark green) and eye liner (Black) manufactured by five domestic cosmetic companies and five foreign cosmetic companies on the market. The samples have been collected in cosmetic stores in Pusan from Dec. lst 1996 to Jan. 3lst 1997.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cosmetics was $2.420{\mu}g/g$ for chromium, $0.82{\mu}g/g$ for lead, $4.49{\mu}g/g$ for manganese, $1.69{\mu}g/g$for nickel, $0.53{\mu}g/g$ for copper, and $51{\mu}g/g$ for vanadium, respectively. 2. Lead and vanadium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omestic cosmetics than foreign cosmetics(p<0.05). 3. The mean(GM)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p<0.01) when classified with cosmetic items. The highest means shown at eye shadow in $Cr(14.96{\mu}g/g),\;Cu(1.32{\mu}g/g),\;V(1.28{\mu}g/g),\;and\;Ni(8.30{\mu}g/g)$, compact powder in $Pb(2.50{\mu}g/g)$, eye liner in $Mn(90.62{\mu}g/g)$. 4. The mean(GM)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 were different significantly (p<0.01) among colored cosmetics. The highest mean concentration of Cr, Ni, Cu and V were dark green-colored cosmetics, that of Mn was black-colored cosmetics, and that of Pb was ivory yellow- colored cosmetics.

  • PDF

이마피판술과 후이개부 전층피부이식술을 이용한 안면부 연부조직결손 재건 후 피부 색상의 비교 (Color Analysis of Forehead Flap and Full Thickness Skin Graft in Facial Reconstruction)

  • 조성후;유성인;노복균;김의식;황재하;김광석;이삼용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1호
    • /
    • pp.36-41
    • /
    • 2008
  • Purpose: For facial reconstruction, skin color match is crucial to achieve great aesthetic result. Forehead flap and full thickness skin graft have been used for many years to reconstruct facial defect. Their results are aesthetically valuable with remarkable resemblance and harmony of the skin color between donor and recipient si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compare the aesthetic outcome of the two methods as the analysis of skin color match. Methods: From January 1995 to December 2005, ten forehead flaps and ten full thickness skin grafts were performed. The reconstructed areas of forehead flaps were five noses and five eyelids. Recipient sites of full thickness skin grafts were seven eyelids, two noses and one forehead. In order to obtain the objective validity, the skin color of flap(or graft) and the recipient sites were measured by chromameter. The skin colors were quantified according to a three-dimensional coordinate system used in chromameter, L*(brightness), a*(redness), and b*(yellowness).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color difference between forehead flap site and adjacent skin in all color values. On the other hand, the L* and b* values of graft sit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adjacent skins. The a* values of graft sit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adjacent skins.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that skin color match of forehead flap is greater than that of full thickness skin graft. As forehead flap has adequate volume and great color match, it can be useful to reconstruct deep facial defect such as nasal defect. On the other hand, full thickness skin graft can be used for superficial defect like partial eyelid de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