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h host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8초

남해안 양식산 조피볼락에 기생한 Microcotyle sebastisci의 감염률 변동 (Ecological study on Microcotyle sebastisci of parasiting of cultured rocfish, Sebastes schlegeli, in Korea)

  • 최상덕;심두생;공용근;백재민;방인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9-126
    • /
    • 1996
  • 1995년 4월부터 10월까지 전남 가막만과 경남 남해 해역에서 양식하는 조피볼락에 기생하는 아가미흡충 Microcotyle sebastisci의 기생률 변동 및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M. sebastisci는 6~7월에 나타나지 않았고, 주로 새엽 II~III에 기생하였다. 기생된 부위는 미세한 출혈과 함께 점액이 다량 분비되었다. 남해의 경우 9월에 있어서 감염률, 상대 감염밀도, 평균 감염강도는 각각 40.0%, 30.7, 76.8을 나타내었다. 또한 가막만의 경우는 10월에 감염률, 상대 감염밀도, 평균 감염강도는 각각 46.0%, 40.5, 88.0으로 조사기간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병리조직학적 소견으로는 호흡상피세포의 증생, 비후, 새박판간상피세포의 중생과 새변의 곤봉화가 일어났다. 2차적으로 세균의 감염에 의한 아가미 부식도 관찰되었다.

  • PDF

강원도에 분포하는 Metagonimus속 장흡충과 제2중간숙주에 대하여 (Intestinal flukes of genus Metagonimus and their second intermediate hosts in Kangwon-do)

  • 안영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4호
    • /
    • pp.331-340
    • /
    • 1993
  • 강원도의 강 하천유역에 있어서 주민의 Metqgonimus속 흡충의 감염률, 어류의 피낭 유충 자연감염 및 동물감염 실험에서 얻은 성충의 형태 등을 관찰하였다 주민의 감염률은 평균 7.8%(1,067명 중 83명 양성)였다 성별로는 남자 11.4%. 여자 3.2%였다. 강별로는 영서지역에서 섬강유역 7.3%, 주천강유역 6.3%, 평창강유역 12.8% 동강유역 3.8% 홍천강유역 9.8%와 영동지역 삼척 오십천유역이 8.0% 등이었다. 조사한 어류의 Metoqonimus속 피낭유충 감염률은 평균 81.0%(318마리 중 256마리)였고 감염어종은 영서지역에서 피라미(Zacco platypus), 갈겨니 (Zacco temmincki) . 끄리 (Opsarrichthvs binens) . 몰개(Squalidis sp. ). 붕어 (Carossius corossius) 등이었다 영동지역 삼척 오십천에서는 은어(Pruoglossus altivelis), 황어(Ribolodnn hokonensis)였다. 퍼라미와 끄리에서 분리한 피낭유충을 흰쥐와 개에 실험감염시켜 얻은 성충체는 대부분이 MetogonimMlyata형이고 부분적으로 M. tukqhoshii가 혼재하여 있었다. 영동지역 삼척 오십천 은어에서는 M. Vokogawni만이 검출되었고 황어에서는 M. Vokogawci와 MetoEonim Miyata형이 혼재하여 있었다. 이상으로 강원도에 분포하는 Metagonimus속 흡충은 영서내륙지역에 서는 주로 피라미와 끄리를 감염원으로 하는 Metagonimus miyata형 흡충과 M. takahashii흡충이 분포하였다. 영동지역(삼척 오십천)에서는 주로 은어. 황어를 감염원으로 하는 M. yokogawai흡충 이 분포하며 일부 황어에서는 Metagonimus Miyata형도 혼재할을 알 수 있었다.

  • PDF

온도가 스쿠티카충 Miamiensis avidus의 증식과 넙치에 감염시 폐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mperature to scuticociliatida Miamiensis avidus proliferation, and to mortality of infect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배민지;임은영;김흥윤;정성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7-105
    • /
    • 2009
  • 본 연구는 양식넙치에 높은 폐사율과 성장저하를 일으키는 스쿠티카섬모충 Miamiensis avidus (syn. Philasterides dicentrarchi)의 성장과 병원성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in vitro 배양조건에서 이분열에 걸리는 시간은 $5{^{\circ}C}$에서 61.82시간, $10{^{\circ}C}$에서 26.32시간, $15{^{\circ}C}$에서 21.14시간, $20{^{\circ}C}$에서 16.86시간 그리고 25℃에서 는 16.21시간이었다. 최고로 배양 가능한 충수는 $1.54-1.75{\times}10^{5}$/ ml의 범위로 $10{^{\circ}C}$이상의 모든 온도범위에서 유사했다. 넙치(평균 8.34 cm, 4.33g)마리당 $1{\times}10^{2}$/ ul, $1{\times}10^{6}$/ ul, $1{\times}10^{4}$/ ul 과 $1{\times}10^{5}$/ ul 으로 스쿠티카충을 복강에 감염시킨 후 $10{^{\circ}C}$, $15{^{\circ}C}$$20{^{\circ}C}$에서 사육하면서 폐사를 관찰하는 실험을 2회 실시한 결과, 수온 $10{^{\circ}C}$에서는 폐사가 현저히 낮았고 온도가 높아질수록 폐사가 증가하였다. 또한 감염농도가 높아질수록 폐사는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스쿠티카섬모충 M. avidus는 온도가 높을수록 증식이 잘 되며 또한 수온이 높아질수록 온도의존적으로 폐사가 증가하므로 폐사를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고수온기의 수온관리가 중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뱀장어 부레에 기생(寄生)하는 선충(線虫), Anguillicola crassa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a Nematode, Anguillicola crassa Parasitic in the Air Bladder of the Eel)

  • 김영길;김을배;김종연;전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8
    • /
    • 1989
  • 지금까지 조사보고(調査報告)된 바 없는 한국산(韓國産) 양식(養殖) 뱀장어의 부레에 기생(寄生)한 선충에 의(依)한 피해여부(被害與否)와 예방대책(豫防對策)을 수립할 목적(目的)으로 기생(寄生)한 선충의 종(種)과 기생율(寄生率), 병해성(病害性) 그리고 생활사(生活史)를 조사(調査)하였다. 1. 성숙(成熟)한 충란의 크기는 $80{\sim}92(86.7){\times}62}\sim}71(67.4){\mu}m$였고, 자충의 크기는 $210{\sim}240(225){\times}18{\sim}23(20.6){\mu}m$였다. 2. 본충의 중간숙주(中間宿主)는 Thermocyclops hyalinus이며, 이것의 복강(腹腔)에 침입(侵入)한 유충은 4일후(日後)에 감염력(感染力)을 가졌고 이때의 유충 크기는 $360{\sim}420(390){\times}28{\sim}35(31)\;{\mu}m$였다. 3. 감염력(感染力)을 갖는 Thermocyclops hyalinus를 뱀장어가 섭취(攝取)한 뒤 50일(日) 경과(經過)되어 뱀장어 부레내에서 성충으로 발육(發育)되었다. 4. 검출(檢出)된 성충의 크기는 female$7.3{\sim}31.0(16.5){\times}0.5{\sim}2.2(1.2)mm$, male$4.9{\sim}13.3(8.3){\times}0.3{\sim}0.9(0.4)mm$로서 내외부(內外部) 형웅(形熊)를 비교(比較)한 바 Anguillicola crassa로 동정(同定)하였다. 5. 뱀장어에서의 월별기생율(月別奇生率)은 6, 9, 12월(月)에 높았고, 1~3월(月)에 비교적(比較的) 낮았다. 6. 감염(感染)되지 않은 정상어(正常魚)와 감염어(感染魚)의 비만도(肥滿度)를 월별(月別), 체장별(體長別)로 그 유의성(有意性)을 검정(檢定)한 결과(結果) 유의성(有意性)을 인정(認定)할 수 없었으며 본충 감염(感染)으로 인(因)한 뱀장어 성장(成長)에는 영향(影響)이 없는 것 같았다. 7. 본충의 기생(寄生)에 의한 뱀장어 부레조직(組織)의 이상(異狀)은 보이지 않았다. 8. 수온(水溫) $25.0{\sim}26.7^{\circ}C$ 때 masoten을 처리(處理)한 농도별(濃度別) Thermocyclops hyalonus의 사망시간(死亡時間)은 0.5ppm 14시간(時間), 0.4ppm 20시간(時間), 0.3ppm 22시간(時間), 0.2ppm 30시간(時間), 0.1ppm 42시간(時間)이었다.

  • PDF

어류신경괴사증바이러스(nervous necrosis virus, NNV) 감염에 따른 숙주의 방어기전관련 세포신호전달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 for Host Defense Mechanisms against Piscine Nervous Necrosis Virus (NNV))

  • 김종오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02-409
    • /
    • 2020
  • 신경괴사증바이러스(NNV)는 25 nm의 작은 입자 크기에 RNA1 (3.4 kb, RdRp), RNA2 (1.4 kb, capsid protein) 두 가닥의 RNA를 유전정보를 가진다. NNV는 1980년대 말 처음 보고된 이후 전 세계적으로 120여종의 어류에 감염을 일으키며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고 있는 바이러스이다. NNV 감염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백신들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NNV 감염에 따른 세포내 신호전달체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NNV는 세포내 감염 이후 숙주가 가진 바이러스 복제에 필요한 요소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숙주세포의 cell cycle arrest 등의 기작을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에 숙주 세포는 NNV와 감염된 세포를 제어하기 위해 RIG-1-like receptor signaling pathway 등을 통해 NNV 감염을 인지한 다음 IFN signaling pathway를 통해 항바이러스 작용에 필요한 ISG들을 발현시킨다. 또한 감염된 세포들을 사멸시키기 위해 ER stress를 통한 unfolded protein response (UPR), mitochondria-mediated cell death 작용을 통해 감염된 세포의 apoptosis를 유발한다. NNV 감염 기작에 대한 세포신호전달연구는 아직 초기단계이며 검증해야 할 pathway들이 아직도 많이 남아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NNV 감염과 연관된 다양한 세포신호전달체계를 탐색하고 질병 특이적인 세포신호전달체계를 이해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법 및 백신 개발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제한절편 길이 다형성(RFLP) 분자마커를 이용한 납자루아과 담수어류 3종의 난과 치어 종 동정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a Species Identification Method for the Egg and Fry of the Three Korean Bitterling Fishes (Pisces: Acheilognathinae) using RFLP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Markers)

  • 최희규;이혁제
    • 환경생물
    • /
    • 제36권3호
    • /
    • pp.352-358
    • /
    • 2018
  • 본 연구는 PCR 기반 RFLP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제한절편 길이 다형성) 분자기법을 활용하여 난 및 치어 대상 납자루아과 어류 3종의 동정을 좀 더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하고 납자루아과 어류의 종별 산란양상 및 번식생태 이해에 대한 기여가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 기존 선행된 문헌자료를 확인하고 납자루아과 어류가 2종 이상 동서하고 있는 지역을 확인하여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지조사 결과 확인된 납자루아과 어류는 묵납자루(Acheilognathus signifer), 줄납자루(A. yamatsutae) 및 각시붕어(Rhodeus uyekii)로 총 3종이 확인되었으며, 확인된 납자루아과 어류와 동서하고 있는 숙주조개(작은말조개; Unio douglasiae sinuolatus)를 채집하여 숙주조개 속 납자루아과 어류의 난 및 치어를 확보하였다. 현지조사 결과 확인된 납자루아과 어류 3종을 대상으로 미토콘드리아 DNA COI과 cyt b 유전자 염기서열을 비교하여 각각 종별로 특이성을 지닌 부위(단일염기변이; Single Nucleotide Variation: SNV)에 맞는 제한효소를 선정하였고, 숙주조개 속 난 및 치어를 대상으로 genomic DNA를 추출하여 PCR-RFLP 실험을 수행한 결과 현지조사 시 확인된 납자루아과 어류 3종의 독특한 제한절편 길이 양상을 전기영동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묵납자루, 줄납자루 및 각시붕어의 종을 판별할 수 있는 RFLP 마커를 개발하였으며, 숙주조개 난 및 치어를 대상으로 정확한 종의 동정을 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각각 납자루아과 종별 산란양상을 보다 정확히 규명하고 향후 이들 자연개체군의 효과적인 유지, 관리 및 보전 방법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청자갈치(Bothrocara hollandi)의 근육에 기생하는 점액포자충Myxobolus aeglefini (Myxozoa: Myxobolidae) (Myxobolus aeglefini (Myxozoa: Myxobolidae) infection in muscles of porous-head eelpout (Bothrocara hollandi))

  • 전찬혁;김정호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9-85
    • /
    • 2015
  • 동해안에서 어획된 청자갈치 (Bothrocara hollandi)의 체측 근육에 유백색의 불투명한 시스트를 형성하고 있는 점액포자충이 발견되었다. 시스트를 마쇄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해본 결과, 원형에 가까운 점액포자충의 성숙 포자가 관찰되었다. 성숙 포자의 평균 길이는 $11.9(11.0{\sim}13.5){\mu}m$, 평균 폭은 $11.6(10.7{\sim}13.6){\mu}m$, 평균 두께는 $7.8(6.9{\sim}8.8){\mu}m$이었다. 극낭의 평균 길이는 $4.4(3.2{\sim}5.3){\mu}m$이었으며, 평균 폭은 평균 $3.3(2.4{\sim}4.2){\mu}m$이었다. 감염숙주와 성숙포자의 형태학적 특징, 각 부위의 측정값으로부터 본 연구에서 발견된 점액포자충은 Myxobolus aeglefini Auerbach 1906으로 동정하였다. 또한 18S rDNA sequences를 이용한 계통분석 결과 M. albi와 M. groenlandicus와 같은 분지에 속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각각 97.7%와 96.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Ruminal Protein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Cell Mass from Lysine Production

  • Seo, S.;Kim, H.J.;Lee, S.Y.;Ha, Jong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3호
    • /
    • pp.364-370
    • /
    • 2008
  • Chemical analysis and in vitro studi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utritive value for ruminants of cell mass from lysine production (CMLP) which is a by-product of the lysine manufacturing process. Proximate analysis, protein fractionation, and in vitro protein degradation using protease from Streptomyces griseus and strained ruminal fluid were carried out to estimate ruminal protein degradability of CMLP with two reference feedstuffs-soybean meal (SBM) and fish meal (FM). Amino acid composition and pepsin-HCl degradability were also determined to evaluate postruminal availability. CMLP contained 67.8% crude protein with a major portion being soluble form (45.4% CP) which was composed of mainly ammonium nitrogen (81.8% soluble CP). The amount of nucleic acids was low (1.15% DM). The total amount of amino acids contained in CMLP was 40.60% DM, which was lower than SBM (47.69% DM) or FM (54.08% DM). CMLP was composed of mainly fraction A and fraction B2, while the protein fraction in SBM was mostly B2 and FM contained high proportions of B2 and B3 fractions. The proportion of B3 fraction, slowly degradable protein, in CP was the highest in fish meal (23.34%), followed by CMLP (7.68%) and SBM (1.46%). CMLP was degraded up to 51.40% at 18 h of incubation with Streptomyces protease, which was low compared to FM (55.23%) and SBM (83.01%). This may be due to the insoluble portion of CMLP protein being hardly degradable by the protease. The in vitro fermentation by strained ruminal fluid showed that the amount of soluble fraction was larger in CMLP (40.6%) than in SBM (17.8%). However, because the degradation rate constant of the potentially degradable fraction of CMLP (2.0%/h) was lower than that of SBM (5.8%/h), the effective ruminal protein degradability of CMLP (46.95%) was slightly lower than SBM (53.77%). Unavailable fraction in the rumen was higher in CMLP (34.0%) compared to SBM (8.8%). In vitro CP degradability of CMLP by pepsin was 80.37%, which was lower than SBM (94.42%) and FM (89.04%). The evaluation of protein degradability using different approaches indicated that soluble protein in CMLP may supply a large amount of ammonia in the rumen while insoluble protein can be by-passed from microbial attacks due to its low degradability.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CMLP can be used as a protein supplement to ruminants for supplying both non-protein nitrogen to rumen microbes and rumen undegradable protein to the host animal.

Echinostoma hortense 인체감염 2예 및 제이중간숙주 조사 (Two cabob of natural human infection by Echinostoma hoytense and its second intermediate horst in Wonju area)

  • 양용석;안영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1호
    • /
    • pp.33-40
    • /
    • 1985
  • 1984년 11월 Echinostoma hortense에 의한 인체감염의 2례를 발견하였다. 이는 praziquantel치료와 두 환자가 함께 보획하여 생식한 바 있는 담수어의 추적조사로 확인되 었다. 또한 버들치(Moroco oxycephalus)가 E. hortense의 제이중간숙주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새로이 밝혔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환자는 31세 및 30세 남자이며 강원도 원주시에 살고 있었고 한 가구에 같이 거주하고 있었다. 제1례는 E.H. fever의 병원에 입원하고 있었으며, 제2례는 건강한 상태로서 간헐적으로 가벼운 하복통과 연변 또는 경한 설사가 계속되었다. 대변검사에서 발견된 충란의 크기는 제1례가 $114.3{\times}71.0(평균){\mu}m$, 제2례가 $119. 1{\times}68.3(평균){\mu}m$이었다. 환자들에게 praziquantel 10~15mg/kg을 단회투여 하고 하제를 사용한 비 제2례의 환자 설사변에서 6마리의 E. hortense 성충을 수집하였다. 2. 환자들이 담수어를 보획한 그 장소에서 버들치 84마리와 붕어 20마리를 잡아서 피낭유충을 조사한 결과 버들치 3마리(3.5%)서 Echinostoma sp.의 피낭 유충을 발견하였다. 3. 분리된 피낭유충 3한마리의 흰쥐에게 경구 감염 시켜서 3마리의 E. hortense 성충을 얻는데 성공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충란만 발견된 제1례의 환자로 E. h hortense 감염자라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버들치가 E. hortense의 제이중간숙주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PDF

한국산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혈구의 분류 (The Morphology of the Hemocytes of the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Mollusca: Bivalvia))

  • 강선구;박성우;김영길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9-136
    • /
    • 2000
  • 한국산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혈구에 의한 생체 방어 기작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혈구의 분류와 혈구의 계절적 변동을 조사하였다. 바지락은 1998년 6월부터 1년간 전북 고창군 줄포만에서 채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후패각근에서 채혈한 혈구를 형태학적 관찰과 탐식능을 조사한 결과 과립을 가진 호염기성과립구, 호산성과립구 그리고 노쇠한 세포인 fibrocyte의 3종류와 과립이 없는 무과립구로 구분되었다. 초미세구조의 관찰에 의한 과립구의 특징으로는 전자밀도가 높은 공포가 무과립구보다 훨씬 많았다. 무과립구는 작은 액상 공포가 세포질내에 산재해 있었다. 광학현미경적 식작용 관찰에서는 zymosan을 탐식한 혈구의 핵은 세포질의 가장 자리로 편재되었으며 식작용 비율에서는 호산성과립구가 호염기성과립구보다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고 무과립구는 거의 탐식하지 않았다. 월별 혈구수에서 총혈구수는 4~7월이 많았으며 10~12월에 적게 나타났다. 각 혈구수의 조성은 호염기성과립구가 50-60%로 가장 높았고 호산성과립구는 25-40%, 무과립구는 10-20%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